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교육서비스와 디자인의 만남: 교육서비스디자인의 방법론 탐색

        홍정순,장환영 한국기업교육학회 2019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1 No.3

        In the wak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hype rconnected, hyper intelligent society has emerged. With it, a new demand for an education service that can fulfill those needs has also arisen. This study has its roots in “Education Service Science”, which attempts innovation by viewing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e lens of service science, and was started as a way to explore the methodologies that the combination of education service and design could provide. To achieve this, we examined the meaning and value of design as the driving force behind innovation and analyzed the value and role of Service Design, which is the combination of Service Science (created for the purpose of service innovation), and Design. We then divided the Education Service system into three levels (learner system,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environment system) using system design and service design, which are methodologies provided by Education Service Design. Then, using service design tools, we suggested a framework for education service design that was suited for each level, one that maximized customer satisfaction and allowed for value co-creation. With this framework as the base, we were able to discover a possibility that this may provide the catalyst for education service innovation. With this in mind, we suggested future research topics, such as design elements for each system level and research into education service design cases that suit an organization’s needs. 이 연구는 초연결, 초지능화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새로운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교육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교육활동을 서비스과학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교육서비스 혁신을 시도하는 ‘교육서비스사이언스’를 출발점으로 삼고, 교육서비스와 디자인의 만남이 교육활동 개선에 어떠한 방법론을 제공해줄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 탐색의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먼저 혁신촉진자로서 디자인의 의미와 가치, 서비스혁신을 목적으로 태동한 서비스사이언스와 디자인과의 만남을 통한 서비스디자인의 가치와 역할을 살펴보고, 교육서비스와 디자인과의 만남인 교육서비스디자인이 교육활동 개선에 제공해 줄 수 있는 방법론으로 시스템디자인과 서비스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서비스시스템을 학습자시스템, 학습시스템, 학습환경시스템의 3수준으로 나누고, 각 시스템수준에 따라 서비스디자인 툴을 활용하여 고객의 경험을 극대화하고 공동가치창조가 가능한 교육서비스를 디자인하는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육활동개선을 위한 디자인으로 교육서비스디자인은 교육에 대한 시스템디자인관점과 동시에 서비스디자인 관점을 제공하며, 이를 토대로 교육서비스 혁신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탐색되었으며, 향후 각 시스템수준별 디자인적 요소 및 조직의 환경에 맞는 교육서비스디자인 사례연구를 후속 연구 과제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진정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홍정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Authenticity Scale (KAS). 83 pre-items were chose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fter content validity, 51 items were selected. 402 adults were utilized to perform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ing in three factors: unbiased recognition of inner experiences, congruence, and sincerity. A total of 18 items (six for each factors) were formula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a three-factor hierarchical model which exemplified the data’s strength. In addition,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nd this scale to be a suitable tool, as a measurement of authenticity, for both the general public and counselors. Results of the latent mean analysis performed showed the counselor group to have a higher latent mean related to congruence and sincerity. Results clearly proved the Korean Authenticity Scale to be a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진정성 개념을 반영한 진정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진정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83문항의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51문항의 최종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40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치성, 내적 경험에 대한 비편향적인 자각, 진심어린 태도의 3개 하위 요인으로 이루어진 18문항의 진정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개발된 진정성 척도에 대한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411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위계적 3요인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수렴타당도,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실성(AS), 삶의 만족(SLS), 심리적 안녕감(PWS), 자존감(RSES)과 정적 상관을, 미성숙 방어(KDSQ)와는 부적 상관을 보여 진정성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211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추가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일반인 집단과 상담자 집단 간의 구인동등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진정성 척도가 상담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잠재평균 분석에 따르면, 상담자 집단이 일반인 집단보다 일치성과 진심어린 태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 KCI등재

        상담자 진정성 연구에 대한 고찰

        홍정순,정남운 한국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5 No.3

        Authenticity is an important factor under general social interactions as well as counselor-client interaction. However, research on authenticity in counseling setting was rarely conducted due to difficulty of definition and systematic organiz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mixed and ambigu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revious studies on the counselor’s authenticity and to provide suggestions to further studies on the authenticity. First, we reviewed the humanistic, existentialist humanistic, and psychodynamic perspectives in defining counselor’s authenticity. We also reviewed scales which were used to measure authenticity. Mediational variables on the relation between counselor’s authenticity and outcomes were also presented. Second, reasons why mixed findings has been shown were discussed. Additionally, the problems and resolution which occurred in the middle of conceptualizing a counselor’s authenticity and measuring the authenticity were discusse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인간관계에서 진정성은 중요한 요인이며 치료관계에서는 더욱 더 중요할 것이다. 그러나 정의와 체계적 조작화의 어려움으로 인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오지 못하였으며, 연구결과들 또한 일관적이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진행된 상담자 진정성 연구를 정리하고 비판적으로 고찰해봄으로써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인본주의적 관점뿐만 아니라 실존주의적 관점, 정신역동적 관점, 실제 연구들에서 상담자 진정성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들을 제시하고 상담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개관하였다. 둘째,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념정의의 문제, 측정의 문제,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검증의 문제 3가지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추후 연구에서는 진정성 개념에 대하여 문화적 관점을 고려한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 한국적 상황에 맞는 척도개발이 필요하다는 것, 다양한 검증방법을 통하여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선명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것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 관련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상담자 진정성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고 이후 연구를 위한 첫걸음을 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무시선(無時禪)이 아동의 메타기분, 사회적 적응력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마음일기를 중심으로

        홍정순,윤호균 한국상담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4 No.4

        본 연구는 무시선(無時禪) 마음공부를 아동에게 실시하여 이들의 메타기분, 사회적 적응력 및 적응행동의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려는 것이다.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2개 학교에서 2개 학급씩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은 70명으로 2개월 간 매일 무시선 마음공부를 하고 이를 마음일기로 기재하도록 하였으며, 비교집단은 72명으로 보통일기를 기재하도록 하였다.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메타기분 척도, 사회적 적응력 척도, 아동행동평가척도가 사전․사후 두 차례에 걸쳐 측정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의 메타기분 점수는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주의력과 회복력의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사회적 적응력 점수 또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우월한 적응능력과 충동통제력의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다. 적응행동에서는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불안행동과 과잉행동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OOSI SUN(Timeless ZEN) on increasing in meta-mood, social adaptability, and behavioral adjustment to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our elementary school classes students, who were chosen class units in two school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Seventy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recorded mind diary each day during two months according to MOOSI SUN mind study. On the other hand, 72 students in comparative group wrote ordinary diary. Metamood scale, social adaptability scale, and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each group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o examine the effects of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ubjects' scores of metamood in experimental group, especially in the sub categories of attention to feeling and mood repair, improved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 In addition, it also enhanced social adaptability and especially in the sub categories of superior adjustment and impulse control. But the behavioral adjustment failed to show a meaningful change. When the sub categories were examined, anxiety behavior and hyperactivity showed significant decr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