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격자단위 분석기법을 적용한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홍재주,임호종,함영한,이병재,Hong, Jeajoo,Lim, HoJong,Ham, YoungHan,Lee, ByoungJa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6

        오늘날 인간의 정주공간이 도시로 집중화되면서 도시 생활공간의 복잡화, 다양화, 고도화 되는 상황을 고려한 도시계획 관리기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형화 다양화되고 있는 기후변화 재해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재해 취약성에 대한 분석에 근거한 토지이용, 기반시설 등을 계획하는 도시계획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입된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UC-VAS)제도는 현재 집계구단위 분석방식으로 운영됨으로 도시계획활용을 위한 세부적인 구역검토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분석단위를 격자방식으로 변경하고 2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해당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집계구 단위보다 세부적인 결과도출이 가능하며, 항공영상과의 현황비교결과 세부적인 구역설정이 가능한 결과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비교검토결과와 더불어 분석지표에 따라 격자단위 결과 활용에 문제점이 발생됨을 발견함으로써 향후 도시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제도의 과학성과 객관성을 추가 확보하는 전문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제도운영의 효율성을 기대한다. Today, because human settlements are concentrated into urban area,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technique considering the complexity, diversity, and advanced situations of urban living space is being requested. Especially, to effectively respond to large and diverse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urban planning technique including land use, infrastructure planning based o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However, because current urban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UC-VAS) is using census output area as spatial analysis unit,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 analysis results for specific urban planning. Instead, this study applies the grid manner to two study area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it can generate more detailed results and it can be used for detailed zoning decision by comparing with areal photos. Furthermore, by describing the limitation of the grid manner and providing professional way to secure additional scientific character and objectivity of the future urban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ffectiveness of system management.

      • 사용자 수요요구에 따른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시스템 기능 설정에 관한 연구(2)

        원동현 ( Donghyun Won ),홍재주 ( Jeajoo Hong ),박찬기 ( Changi Park ),최병한 ( Byounghan Choi ),이백 ( Baeg Lee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2020년부터 5개년도로 구성된 「농업 재난,재해 대응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및 운영체계 개발」연구는 기존 국가건설기준센터에서 제공하는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내용을 분석하고, 다양한 객체와 관련 신규 문서 간의 연계를 고려하여 각 객체요소에 대한 관계를 정의하거나 인터페이스 요소를 가미하여 기능을 구현하였다. 인터페이스는 사람과 전자매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한 가시화 기능을 구성하고 명령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끔 하는 사용자 도구이다. 이번 2022년(3차년도)기능 설정 연구는 농업생산기반시설에 해당하는 분류에 따라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역할과 설계기준 내용을 개요도와 연계 배치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자 기능화하고자 하였다. 개요도와 연계배치하는 대상은 본 연구과제로 개정되는 5종(농지관개, 농업용 댐, 양배수장, 농지배수, 농업용관수로)의 설계기준 외 최근까지 개정된 2018년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체계로 취입보, 용배수로, 농도, 경지정리, 개간, 해면간척, 농지보전, 농업 수질 및 환경 등의 설계기준과 연계하고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업생산기반 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설계기준을 검색하는데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 사용자 수요요구에 따른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시스템 기능 설정에 관한 연구(2)

        원동현 ( Donghyun Won ),홍재주 ( Jeajoo Hong ),박찬기 ( Changi Park ),최병한 ( Byounghan Choi ),이백 ( Baeg Lee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2020년부터 5개년도로 구성된 「농업 재난,재해 대응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및 운영체계 개발」연구는 기존 국가건설기준센터에서 제공하는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내용을 분석하고, 다양한 객체와 관련 신규 문서 간의 연계를 고려하여 각 객체요소에 대한 관계를 정의하거나 인터페이스 요소를 가미하여 기능을 구현하였다. 인터페이스는 사람과 전자매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한 가시화 기능을 구성하고 명령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끔 하는 사용자 도구이다. 이번 2022년(3차년도)기능 설정 연구는 농업생산기반시설에 해당하는 분류에 따라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역할과 설계기준 내용을 개요도와 연계 배치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자 기능화하고자 하였다. 개요도와 연계배치하는 대상은 본 연구과제로 개정되는 5종(농지관개, 농업용 댐, 양배수장, 농지배수, 농업용관수로)의 설계기준 외 최근까지 개정된 2018년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체계로 취입보, 용배수로, 농도, 경지정리, 개간, 해면간척, 농지보전, 농업 수질 및 환경 등의 설계기준과 연계하고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업생산기반 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설계기준을 검색하는데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 문서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농업생산설계기준 웹시스템 설계

        원동현 ( Donghyun Won ),홍재주 ( Jeajoo Hong ),박찬기,이백 ( Baeg Lee ),( Shinj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1968년 필댐편(댐편)의 최초 제정 이후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수요에 따라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의 설계기준이 변화되어왔으며, 2013년 체계적인 설계기준의 관리와 국가건설기준표준체계 도입을 고려하기 위한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표준코드 개발 연구(`13.12)”를 통하여 기존의 17개 설계기준을 23개의 대분류 설계기준으로 조정하고 표준코드를 부여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급변하는 기술의 변화와 사용자와 단절된 지침정보 제공 구성은 업무담당자의 이용 효율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국가설기준센터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검색 및 지침제공은 현재에도 진행되고 있으나, 현장에서 활용되는 최신기술 적용사례가 반영된 해설집 연계제공은 되지 않고 있음에 따라 최적 설계기준과 해설집을 매칭하여 사용자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 개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기존 개발된 국가건설기준센터의 코드분류체계를 분석하고, 코드를 적용한 신규 개정 지침의 정보 객체화 과정과 객체화된 정보를 기준 노드로 하여 해설정보를 연계하는 구조설계를 진행해야 하며, 설계를 바탕으로 Web 환경의 사용자 친화적 정보접근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2020년부터 5개년도로 구성된 전체 연구과정 중 2020년 본 연구에서는 국가건설기준센터의 정보체계를 분석하고, 신규작성되는 지침상의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객체와 관련 문서 간의 연계를 고려하여 각 객체요소에 대한 관계를 정의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구조설계를 진행하였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기반구조 설계를 바탕으로 정보 가시화와 제공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화면설계를 진행하였으며, 진행된 결과를 기반으로 추후 시스템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되는 결과는 지침의 개정과 최신기술을 반영한 해설집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업무 효율성을 증대하고, 초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정보순환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