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遼河文明論에 대한 비판적 검토

        홍은경(Hong Eunkyung)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국상고사학보 Vol.92 No.-

        Liaohe civilization(遼河文明) and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are the major issues in ancient Chinese history. Hongshan culture is one of neolithic cultures thrived in the Liao River(遼河). In some Chinese academic circles, it is accepted that the Hongshan culture already reached a level of civilization, based on the goddess temple, stone mound tombs and elaborate jade artifacts in Niuheliang site(牛河梁遺蹟). Thus the Liaohe civilization has been claimed to be the origins of later Chinese civilizations.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series of phenomena presented in remains and relics of Hongshan culture would fit in the level of civilization defined with scientific and commonly accepted concepts. Although we admit the fact that in the Hongshan culture the ranking among the tombs and ritual sites had been established, as well as the advanced social stratification with the chief priest at its height, it is not sufficient enough to reach a the level of the civilization. In particular, the settlement sites and stone artifacts in Hongshan culture did not show clear evidence to reflect a high level of social stratification on the basis of stable agricultural production. Due to the lack of archaeological indication of social stratification in Hongshan culture, it appears that Liaohe civilization cannot be regarded to reach the level of civilization discussed in archaeological dis-courses. 요하문명론에 따르면, 홍산문화(紅山文化)를 대표로 한 요서지역은 지금으로부터 약 5,000년 전 가장 먼 저 문명시대에 진입함으로써 동북지역뿐만 아니라 중국 대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문화적 중심지의 하나 가 되었다. 그러나 실제 고고학 자료에서 확인되는 양상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요하문명론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홍산문화의 고고학 자료인 주거(취 락) 및 무덤과 유물을 살펴 당시 사회계층화의 수준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통해 홍산문화가 이미 문명단계 에 이르렀다는 주장이 타당한지를 검토하였다. 홍산문화의 취락은 분명 그 이전 시기보다 수적, 공간적 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대형 취락의 출현과 이를 중심으로 한 중소 취락의 집체화가 나타나고, 이러한 현상이 높은 수준의 사회복합도를 보여준다는 주장은 유구 및 유구 간의 구체적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진하고, 시간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한계로 인해 그 근거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홍산문화의 계층화와 문명론에서 무덤과 제사 유적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며, 특히 우하량유적은 거의 절대적 자료로 제시되고 있다. 우하량유적의 적석총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무덤은 묘실의 구조와 규모, 부장품과 묘역 여부 등을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형식으로의 구분이 가능한데, 중국학계는 이 를 사회계층화의 뚜렷한 증거로 판단하였다. 이는 적석총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축조되었음을 전제한 것이다. 그러나 토기를 기준으로 우하량유적의 분기를 설정한 대부분의 연구는 유적이 짧은 시간에 걸쳐 조성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절대연대측정치 또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최근에는 우하량유적 내 무덤들은 그 위치와 구조에서 차별성이 드러나긴 하지만, 부장품 의 종류와 수량에서 현격한 차이가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무덤의 등급을 통해 홍산문화를 고도로 계층화된 사회라고 평가하기 어렵다는 견해도 제시되었다. 생계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홍산문화의 농업생산력은 높은 수준의 계층화를 이룰 수 있을 정도로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식량자원의 공급 수단이 되지는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 과 관련한 석기(농공구)가 어느 정도 규격화되고 기능에 따라 분화된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장 기간에 걸친 농경과 일정 수준 이상의 발달을 추측하는 연구자도 있지만, 유적에서 출토되는 농 공구의 절대적 수량이나 비중, 탄화식물에서 농작물이 차지하는 비율 등은 전체 생산경제에서의 농업 의존도가 그리 높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고고학적 자료의 종합적 양상은 홍산문화가 이전 시기에 비해 사회적 복합도가 증 가했음을 드러내고 있지만, 그 수준은 문명단계로의 진입을 논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며, 오히려 족장사회의 특징과 부합한다. 즉 홍산문화 시기부터 요하지역이 문명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이른바 ‘요하문명론’은 그 고고학적 근거가 빈약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암사동유적의 시간적 위치 재고

        홍은경(Hong, EunKyung)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3

        이 논문은 암사동유적의 주거지에서 출토된 토기의 문양 분석을 바탕으로 유적의 시간적 위치를 살펴본 것이다. 암사동유적은 중서부지역은 물론 한국 신석기시대 전반에 걸쳐 영향력이 매우 큰 중요한 유적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시간성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암사동유적의 물질자료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오랜 기간에 걸친 누적과 혼재의 결과라고 하더라도 시기에 따른 자료를 구분할 수 없다면 암사동유적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다른 유적과의 관계를 검토하고 유적의 성격을 가늠하는 기본 자료로써 가치를 부여하기 어렵다. 암사동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문양은 매우 다양하지만, 시간적 흐름을 비교적 민감하게 반영하면서 동시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문양 종류는 한정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가진 주요 문양을 선별하여 분석 자료로 삼았다. 문양구성 분석에 따르면 암사동유적의 주거지는 네 개의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결과는 시기적 차이보다 오히려 주거지의 위치와 관련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모든 주거지를 동일한 시기의 것으로 볼 수는 없지만, 고고학적 시기가 분명하게 구분된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다면 암사동유적은 어느 시기에 해당하는 유적일까? 암사동유적 주거지에서 출토된 토기의 문양구성을 중서부지역 전기와 중기 전반의 대형 주거유적과 비교한 결과 암사동유적은 중기 전반의 여러 유적과 좀더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적 전체에 대한 결과는 아니지만, 암사동유적 일부 주거지에 대한 시간적 위치를 비정함으로써 동시기 여러 유적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temporal horizon of the Amsa-dong site based on the pattern analysis of pottery excavated from its dwellings. Although Amsa-dong is an important site that has a great influence not only in the Midwestern region but also throughout all regions of Korea for the Neolithic period, the temporal horizon has not yet been clearly identified. There are various problems deriving from this, but the biggest problem is that material data from the Amsa-dong site cannot be actively used. If the period cannot be distinguished due to the results of accumulation and mixing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difficult to assign a value to the Amsa-dong site as basic data for examining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sites, temporally and spatially, and for estim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s. Although the patterns of pottery excavated from the Amsa-dong site are very diverse, the types of patterns that reflect time flow relatively sensitively and occupy a high proportion are limited. Therefore, in this study, major patterns with these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nd used as analysis data. According to the pattern composition analysis, the Amsa-dong dwelling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and the result is judged to be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wellings within the settlement rather than the temporal difference.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regard all the dwellings as being of the same period, but it is also difficult to consider that the archaeological periods are different. Then, what period does the Amsa-dong features belong to?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he pottery pattern composition of the Amsa-dong site was compared with other large residential sites of the early and mid-early period in the midwestern reg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msa-dong site was more similar to the middle period sites. Although it was not a result of the entire site,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secured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in which to explore the relationship with several sites at the same time by determining the temporal horizon of some dwellings at the Amsa-dong site.

      • KCI등재

        신석기시대 야외노지에 대하여

        홍은경(Hong, Eunkyung) 중부고고학회 2011 고고학 Vol.10 No.2

        야외노지란 불을 사용할 목적으로 야외에 제작한 하나의 시설로 주거지 내부의 노지와는 규모나 형태에서 차이를 보인다. 신석기시대의 야외노지는 시기나 지역, 유적의 성격을 불문하고 확인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조사 사례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그다지 진전되지 못하였다. 이어 본고에서는 신석기시대 야외노지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각지에서 확인되고 있는 야외노지의 다양한 속성을 검토하고 단면형태를 형식분류의 기준으로 삼아 6개의 형식(편평형 집석노지, 모목형 집석노지, 분신형 집석노지, 하부형 집석노지, 무시설노지, 위석노지)을 설정하였다. 단면형태 는 야외노지의 형태, 구조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속성으로 각 형식은 기능 혹은 사용방법 상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는 각 형식의 등장시기,이용빈도와 유적의 성격과의 관계 등을 살폈다. 이에 따르면, 편평형집 석노지는 전 시기에 걸쳐 어느 유적에서나 상대적으로 빈번히 이용된 것으로 핀단된다. 빈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만 무시설노지와 위석노지 역시 시기와 장소를 불문하고 지속적으로 이용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 그 외 야외외노지는 등장과 이용시기, 빈도 출현 유적의 성격 등에서 몇 가지의 특징이 관찰되었다. 오목형 집석노지는 중기에 처음으로 등장하며, 패총유적에서 유독 낮은 비율로 확인되고 있다. 발견 사례가 많지 않지만, 분신형 집석노지는 야외노지유적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유적의 성격에 따라 특정 형식의 야외노지가 다른 빈도로 출현한다는 점 역시 기능적 차이를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서부지역에서 조사된 대형 추락유적 중에는 야외노지가 확인되지 않거나, 최락의 규모에 비해 빈 약한 수의 야외노지만이 확인된 예가 있다. 이는 동일한 지역의 때총유적이나 01외노지유적과의 생계전략상 연관성(예를 들면 계절적 생계행위)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의 중서부지역 야외노지 연구는 이 같은 점에 주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Hearths are facilities established for warmth, cooking, lighting and such like. In the Korean peninsula, hearths have been usually found from archaeological sites of the Neolithic and thereafter: the numbers of hearths themselves as well as Biles conlaining hearths increased, diversifying the structure of hearth that might be related to efficient use of fire. Based on the structure, open-hearths of the Neolithic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types: flat stone-filled hearth, concave stone-filled hearth, dispersed stone-filled heatth, hearth with stone-filled lower part, hearth without equipment, stone-encircled hearth. Flat stone-filled hearths accounts for 70% of the Neolithic open-air hearths, and have been most frequently uncoveted regardless of phase, region, and the nature of site in the Neolithic. Concave stone-filled hearths that emerged since the middle Neolithic, but have been less found in shellmidden sites, Dispersed stone-filled hearths have been found only in limited activity station, especially being concentrated in open-air hearth site. In conclusion, each type has diffetences in size, plane form, yielded attifaets, phase to be emerged and to be used, and the nature of sites containing the type.

      • KCI등재

        한국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의 전·중기 편년 재고 : 인천과 경기 지역의 새로운 자료를 중심으로

        홍은경(Eunkyung, Hong) 한국신석기학회 2021 한국신석기연구 Vol.- No.42

        이 논문은 최근에 조사가 많이 이루어져 새로운 자료가 급증한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주거 유적의 편년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중서부지역은 전기, 중기, 후기와 말기로 이어지는 4단계 혹은 전기, 중기와 후기의 3단계로 시기를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기원전 3500~3000년 사이의 변동을 기준으로 전반과 후반으로 나누는 것이 적절하다는 견해도 있다. 분석 대상에 따라 각 시기별 특징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의 출현과 확산으로 이어지는 전기와 중기의 양상에 대한 견해는 대체로 일치한다. 토기 문양을 중심으로 하는 편년에서 전기는 기원전 3600년까지, 중기는 기원전 3100년까지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서부지역에서는 다수의 주거지로 구성된 주거유적이 적지 않게 확인되었다. 그 중 일부는 상 대적으로 긴 기간에 걸쳐 형성되어 고고학적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 동일 유적 내에서의 시기 구분은 문양구성의 변화는 물론 주거유적의 분포와 사회적 관계의 변동을 추적하는 데 필요한 선 행 작업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중서부지역 대형 주거유적의 내부적 분기를 설정하고 최근의 새로운 자료를 반영하여 기존의 편년안을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시기별 문양구성과 변화양상의 측면에서는 선행 연구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조사된 중서부지역 주거유적 중에 기존 편년에서 중기에 해당하는 토기 양상을 보이 면서 방사성탄소연대는 중기 상한보다 앞서는 측정치를 보이는 사례가 적지 않은 점은 주목할 만 하다. 전기와의 연속성보다 중기로의 지속성과 일관성이 좀더 분명하기 때문에 이를 단순하게 전 기 말에 출현하여 중기로의 이행을 보여주는 예라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현재의 자료만으로 중기 의 시작 연대를 소급하여 명확하게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중기로의 전환은 기존의 견해보다 이른 시기에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chronology of the Neolithic residential site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where new data have accumulated due to the recent excavations. The Midwestern region is generally divided into four phases or three phases leading to the early, mid, late, but there is also a view that it is appropriate to divide it into the first and the second half based on the fluctuations between 3500 and 3000 BC. This can be seen a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nalysis targe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depending on the analysis target, but they generally agree on the aspects of the early and mid-term period leading to the emergence and spread of culture in the midwestern region. If we look at the chronology centered on decorative patterns of the pottery, the early period corresponds to 3600 BC, and the mid-term period corresponds to 3100 BC after that. However, among the residential sites in the midwestern region, which were recently investigate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radiocarbon date is ahead of the mid-term upper limit, showing the pattern of pottery equivalent to the mid-term period. It is difficult to simply evaluate these sites as examples of the changes to the mid-term period by appearing at the end of the early period, because their persistence and consistency to the mid-term are more evident than continuity with the early period.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ites where dozens of dwellings have been investigated, there are many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archaeological period by being occupied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The classification of periods within the site can be said to be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tracking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decorative patterns on pottery according to the period as well as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residential site and social rela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large residential sites in the midwestern region, which were previously evaluated as belonging to similar period, and recent new data were reviewed, and the chronology were reconstr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dwellings with different periods internally according to the sites, and it was concluded that it wa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mid-term period began earlier than the existing view. In addi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temporality of the Amsa-dong site, which have not been clarified until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