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영자의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사회적 책임 활동 및 직원의 수단성 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홍운기,김영신,최용득 한국윤리경영학회 2022 윤리경영연구 Vol.22 No.2

        This research examines the impact of CEOs’ belief in a just world on their companies’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performance. This belief refers to an individual’s general perception that the world is a just place where people get what they deserve. Based on system justification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we argue that when CEOs have a strong belief in a just world, they are willing to maintain this just world via their discretionary management activities. We hypothesize that a CEO’s belief in a just world is positively related to a company’s CSR activities. We further argue that CSR activities have an impact on employee attitudes such that employees’ perception of CSR activities weakens their perception of being objectified at work. We tested our theoretical model on the basis of samples of 425 university students (Study 1), 57 executives (Study 2), and 435 full-time employees (Study 3). In Study 1, we asked university students to make decisions regarding their willingness to engage in CSR activities as corporate executives. Study 2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EOs’ belief in a just world and CSR activities at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e results of Study 1 and Study 2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belief in a just world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engagement in CSR activities. Finally, the full-time employees in Study 3 indicated that the perception of their organizations’ CSR activitie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erceived objectification at work. Together, these studies provide insight into how CEOs’ belief in a just world influences their CSR activities, which weakens employees’ perceived objectification at work.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본 연구는 경영자의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조직의 사회적 책임 활동(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란 우리 사회가 공정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개인의 인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과 시스템 정당화 이론(system justification theory)을 바탕으로 세상이 공정하게 움직인다는 믿음이 강한 경영자는 공정한 세상을 보존하고 유지하려는 CSR 활동을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CSR은 공동체, 고객, 환경 등 외부 CSR 활동과 직원들에 대한 내부 CSR 활동(예: 헌신형 인사제도 및 가족친화정책)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의 CSR 활동이 궁극적으로 직원들의 수단성 인식(perceived objectification)에 부(-)의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세 개의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첫째, 경영자의 공정한 세상에 대한 인식이 CSR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Study 1, 2)이다. 둘째, CSR 활동이 직원의 수단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Study 3)이다. Study 1에서는 대학생 452명을 대상으로 자신을 경영자라고 가정하고 CSR 활동에 대한 의사결정을 실험하였다. 연구 결과,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클수록 외부 CSR과 가족친화정책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려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Study 2에서는 중소기업 경영자 57명을 대상으로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CSR 활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Study 3은 직장인 435명을 대상으로 자신이 속한 기업의 CSR 활동과 직원들의 수단성 인식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CSR 활동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직원들은 기업이 자신을 수단으로 사용한다는 인식에 부(-)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의의와 함께 CSR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본 금융상품거래법상 대량보유보고제도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홍운기,손영기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가천법학 Vol.8 No.1

        The system of reports of possession of large volume under the Act on Sales of Financial Products in Japan is a system introduced in 1990 to provide investors with information on stocks, etc. possession of large volum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status of stocks, etc. possession of large volume is critical to investors in terms of supply and demand in market and influence on management. This system obliges a person who holds stocks, etc. of any stock-listed corporation exceeding 5% of the total number of stocks, etc. to submit a ‘report of possession of large volume’ indicating the holding ratio, the purpose of holding, matters on funds for acquisition; and to offer it for public inspection.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discloses information on a change in the control of a stock-listed corporation, etc., information that may affect management, or information on supply and demand in the market,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ng the soundness of capital market and protecting investors. Recently, Japan revised matters on this system including ‘own stocks’, ‘descriptions in the case that the submitter is an individual’, ‘applicable scope and descriptions’ of a report on short-term possession of large volume, ‘obligation to simultaneously submit’ a report on change, ‘methods of notification’ to the corporation issuing a report of possession of large volume, and ‘a period of public inspection’ of a corrective report; and has their enforcement ahead. This paper will sum up the system of report of possession of large volume under the Act on Sales of Financial Products in Japan, examine trends of the recent revision, and review implications for Korea’s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일본의 「금융상품거래법」상 대량보유보고제도는 경영에 대한 영향력 및 시장에서의 수급이라는 관점에서 주권 등의 보유 상황이 투자자에게는 중요한 정보에 해당하기 때문에, 해당 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1990년에 도입된 제도이다. 본 제도는 주권상장법인이 발행한 주권 등의 발행 주식 등의 총수의 5% 이상을 보유하는 자에 대해서, 보유비율⋅보유목적⋅취득자금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한 대량보유보고서의 제출을 의무화 하고 이를 공시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이는 주권상장법인에 대한 지배권의 변경이나 경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정보 또는 시장에서의 수급에 관한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여 기업지배권경쟁의 공정성 및 증권시장의 투명성을 제고함으로써 자본시장의 건전성 확보 및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서 그 중요성이 크다. 최근 일본의 대량보유보고제도는 증권시장에서의 공정성이나 투명성에 유의하면서, 대량보유보고제도 보고의무자의 업무 부담의 경감을 위한 대책으로서 대량보유보고서의 제출자가 개인인 경우의 기재사항, 변경보고서의 동시제출의무, 발행인에 대한 대량보유보고서의 통지방법, 정정보고서의 공시기간, 자기주식, 단기대량양도보고의 적용범위⋅기재사항에 관한 내용들을 개정하고 그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본 금융상품거래법상의 대량보유보고제도를 개괄하고 최근 개정 동향을 살펴본 후, 우리나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대한 시사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육상교통환경 위성항법 성능 예측을 위한 Sky-View-Factor 기반 Dilution of Precision 분석

        홍운기,최광식,이은성,임성헉,허문범 韓國航行學會 2012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6 No.6

        위성항법의 가시성, Dilution of Precision (DOP), 신호대잡음비 등과 같은 위치결정 성능지표는 개활지 환경과 같이 항법위성의 가시성이 좋은 지역에서 그 활용도가 높으며, 육상교통환경의 경우 그 활용도가 낮다. 본 논문은 육상교통환경에서 위성항법 신호를 활용하여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경우 활용도가 높은 성능지표로 Sky View based DOP (SVDOP)을 제안한다. SVDOP은 Sky-View Factor(SVF)를 응용하여 개발되었으며, 기존의 SVF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Sky-View 영상을 활용하여 특징점을 선택하고 이를 활용하여 DOP를 계산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SVF 사용보다 육상교통환경에서 위치결정 성능 예측에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indexes for describing the GNSS positioning performance such as satellite visibility, dilution of precision (DOP) and signal to noise ratio is very useful in open sky, however, they are not useful in the land road environment. In this paper new index is suggested for describing the GNSS positioning performance for the road environment. The new index is called Sky View based DOP (SVDOP). SVDOP is derived referring the Sky-View-Factor (SVF). The usefulness is analyzed by comparing the SVDOP and SVF in land road environment after the singularity points are selected and SVDOP is calculated.

      • KCI등재

        후복막강 출혈이 동반된 복부 둔상시 진단적 복강 세척술의 의의

        홍운기,조영국,김현종,김영진 대한외상학회 1992 大韓外傷學會誌 Vol.5 No.2

        Diagnostic peritoneal lavage is safe, accurate, rapid and effective means in evaluating blunt abdominal trauma. However, one of major problems in this thechnic is the high sensitivity leading to a significant incidence of unnecessary laparotomies. Some investiga- tors pointed out that peritoneal lavage is an inaccurate indicator of retroperitoneal organ injury. They recommended the use of further diagnostic modalities for the diagnosis of retroperitoneal I.njuries, such as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bdominal ultrasonogra- phy, angiography, intravenous pyelogram, cystography and gastrographic upper gastrointes- tinal serie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58 cases with blunt abdominal trauma accompaning retroperitoneal hemorrhage, which had been admitted to emergency room of Chonnam University Hopital from Jan, 1988 to May, 1991. All of them were performed peritoneal lavage. Fourth-nine patients had a positve peritoneal lavage and twenty-nine of fourthy-nine had intraperitoneal injury and they were performed surgiacal procedure, the others (twenty patients) had no intraperitoneal injury except retroperitoneal hemorrhge in spite of positive peritoneal lavage. Only four of twenty patients were performed surgical procedure concerned to retroperitoneal organ injury. Nine patients had a negative peritoneal lavage. There was one false negative. As he was more worsening clinically, we performed laparotomy and repaired jejunal perforation in spite of negative peritoneal lavage. We noticed a high incidence of false positive rate (41%) which led to unnecessary nine laparotomies, because they had no another intraabdominal pathologic feature except retroperitoneal hemorrahge. And seven patients were observed and then recorvered well without any complication by roentgenographic imaging studies and repeated physical examination in spite of positive peritoneal lavage. Finally, sensitivity, specificity and false positive rates of diagnostic peritoneal lavage for blunt abdominal injury accompaning retroperitonael hemorrhage are 96.7%, 28.6% and 40.8%. Thus diagnostic peritoneal lavage is an inaccurate indicator of laparotomy for blunt abdominal injury accompaning retroperi- toneal hemorrhge. We also emphasize that diagnostic peritoneal lavage should be carefully interpreted for decision to perform laparotomy so that we can avoid unnecessary laparotom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