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지디우스 로마누스의 『군주통치론』: 중세 말 프랑스에서 정치 텍스트의 생산과 유통

        홍용진 ( Yong Jin Hong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1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27

        Giles of Rome`s De regimine principum constitute a matrix text in the field of ``the politic`` in the late Middle Ages in France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tate system. This text belongs to the genre of ``the Miroir of Prince``, political text before the political science. It advices the king and the prince to be a ``wise ruler`` for the good government. Two dimensions must be considered for this text. First, in the dimension of the contents, it present the most comprehensive political themes for the contemporaries. Above all, it mark three points of renovation in the genre of the ``Miror of Prince``: consideration of all the three phases of aristotelian virtues (personal, familial and political) in the context of the political community new relationship pastoral between the papacy and the kingship as the leader of the ``res publica`` aiming the ``common good``; application of the methode of rhetoric for the political science. Secondly, it is marked by the enormous production of manuscripts and by its large diffusion in the late Middle Ages. Seven sorts of French translations prove also its great popularity among the political society members such as not only the nobles but also the bourgeois in the French Kingdom. This analysis of the production and the circulation of the De regimine principum aims therefore at the ideological praxis of a text in relation to the medieval society and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Fourteenth Century.

      • KCI우수등재

        특집 : 서양역사 속의 공공성과 공론장 ; 14세기 전반기 프랑스의 정치현실과 공공성

        홍용진 ( Yong Jin Hong ) 한국서양사학회 2011 西洋史論 Vol.0 No.110

        This paper is intended to present the appearance of ``Political Field`` in France in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For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urvey various scholastic discussions on the ``Common Good`` and the ``Common Profit``. Although their insistences were all heterogeneous after their philosophical and political positions and their writing in Latin hindered a large diffusion of the texts, they contributed to furnishing theoretical bases for the coming debates on the ``Political community (res publica)`` by the formation of the system of the Modern State in France. The political discourses are formed in the context of political realities developed about the divers problems raised by the system of the State. Four phases marked the political struggles of the French political society on the question of ``political community``: 1) royal centric political community; 2) decentralized forme insisted by the ``noble league`` in 1315-1316; 3) the policy of Philip V and Philip VI in order to rebuild the royal centric State; 4) the struggle of hegemony for the government of state between the representatives of three estates and the kingship. In the middle of these struggles, the political field was formed with multiple political discourses. The ``publicness`` thus appeared but doesn``t include one concept representing the historical substance. Political movement, however, was peopled with various discourses on political community, insisted and proposed by real political powers.

      • KCI우수등재

        13세기 말~14세기 초 프랑스 왕권 이미지 생산

        홍용진(Hong Yong-Jin) 역사학회 2012 역사학보 Vol.0 No.21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duction of royal images in the late 13th and early 14th centuries in France in consideration of the medieval culture of the image.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and the material nature of its medium with regard to its functionality. On the other hand, this period is marked by the appearance of the State system imposed by the kingship, which provoked critical discontent and strong challenge to political society. In this context, the images produced by the kingship functioned as a political communication. Various royal images, in particular sculptures of the French kings are analyzed: the Montjoies, the statues and the reliquaries of ‘Saint Louis’, the statues of the kings in the Palais de la Cite etc.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of these image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wo political events: the canonization of Louis Ⅸ, immediately idealized as the most christian king the form of a cult to the new saint, and the outrage at Agnani against pope Boniface Ⅷ as a result of accusations of ‘idolatry.’ These two events allowed the kingship to produce various royal images that avoided the risk of idolatry. Especially for Philip Ⅳ,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representation of the sanctity of the French dynasty continued from the Merovingian and the Carolingian to the Capetian, i.e. the continuation of the dynasty and the perpetuity of the kingship. In this sense the production of royal images represents a mode of political communication through the exploitation of visual culture which had gradually developed since the early 13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496년(?) 12월 25일, 클로비스의 세례와 개종

        홍용진(Yong-Jin HONG) 한국프랑스사학회 2016 프랑스사연구 Vol.- No.35

        본 논문은 클로비스와 프랑크왕국을 되돌아보고 중세부터 현대까지 어떻게 프랑스적 정체성의 원천으로 만들어져 왔는가를 일별해본다. 프랑크족의 왕인 클로비스는 서로마제국이 소멸된 이후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에 갈리아 지역 대부분을 정복하고 아타나시우스파 가톨릭을 수용하였다. 9세기 후반에 랭스 대주교좌가 서프랑키아에 소속되고 랭스 대주교 앵크마르가 클로비스와 그의 개종을 신비화하기 시작하면서 클로비스는 곧 프랑스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되었다. 특히 취약한 왕권을 지닌 카페왕조 초기에 그와 관련한 각종 신화와 전설이 고안되었고 이후 발루아왕조 초기에 백년전쟁과 함께 증폭되었다. 하지만 프랑스 대혁명 이후 그는 왕당파와 교권주의자, 현재는 보수 우파의 상징이 되었다. 이제 그를 새로운 역사적 해석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n ruminating Clovis and his kingdom, attempts to survey how they were configured as source of French identity from the Middle Ages to the present. After the fall of the empire, King Clovis conquered most of the Gallia and accepted Catholic Christianity. In the second half of the 9th century, the annexation of the archbishopric of Reims to the Western Francia and the invention of his myth by Archbishop Hincmar made Clovis closer to the history of France. In particular, at the time of the first Capetians, marked by weak royalty, many legends and myths were invented and, with dynasty of Valois and the Hundred Years War, much amplified. However, after the French Revolution, he became a symbol of royalists and clericalists, and also of the conservative right at present.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him historically.

      • 영화 <킹덤 오브 헤븐(Kingdom of Heaven)>

        홍용진(Yong-Jin Hong) 이주사학회 2015 Homo Migrans Vol.12 No.-

        2005년 개봉된 리들리 스콧의 영화 <킹덤 오브 헤븐(천상의 왕국)>는 세세한 역사적 고증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줄거리와 역사적 사실 차원에서 역사학계의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하지만 논란이 되는 이른바 ‘역사왜곡’의 문제가 이 영화의 역사적 가치를 폄훼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역사왜곡을 무릅쓰고 이 영화가 강조하고자 하는 문제틀은 진정한 의미의 공존과 공생을 12세기 십자군의 역사에서 모색하는 데에 있다. 그것은 대외적인 종교적 이분법과 대내적인 위계적 구분을 넘어선 인간공동체에 대한 희구로 표현되고 있다. 특히 영화에서 이 두 가지 장애물들은 상호전제적인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영화는 이른바 ‘천상의 왕국’이란 내세의 다른 어느 곳이 아닌 이 두 장애물들이 모두 극복되는 현실 세계에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즉 영화 <킹덤 오브 헤븐>은 실증적인 차원에서 역사왜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극작품의 자율성이라는 차원에서 이해할만한 것이며 더 중요한 것은 이른바 실증적 역사서술이라는 것이 놓치고 있는 역사적 문제의식을 오히려 영화라는 장르를 통해 의미심장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The film <Kingdom of Heaven> of Ridley Scott released in 2005 aroused historical controversies about historical facts and its main synopsis despite its accuaracy in historical representation. However, the so-called ‘problem of historical distortion’ doesn’t harm historical values of this movie. Its insisting problematique despite historical distortion consists in search for coexistence and symbiosis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in the crusade history in 12th Century. It is expressed in aspiration for the human community beyond the religious dichotomy in external dimension and the hierarchical distinction(three orders) in internal dimension. Especially these two obstacles establish a close inter-prerequisite relationship in this movie. In this sense, the movie show that the so called ‘kingdom of heaven’ doesn’t exist in somewhere in the next world but in the actual world overcoming these two obstacles. In spite of historical distortions of the movie <Kingdom of Heaven> in the point of positivist view, they are acceptable in the artistic dimension of work of drama.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this movie present significantly the historical problematique neglected by positivist historical writings.

      • KCI등재

        중세 말 프랑스의 화폐 개주와 왕권 이미지 생산(1290-1360)

        홍용진 ( Hong Yong-j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9 사총 Vol.96 No.-

        본 논문은 13세기 말부터 14세기 중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프랑스 왕정이 실시한 화폐 개주를 기존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차원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이미지 생산이라는 정치문화사의 시각에서 접근해 보고자 한다. 이 시기 동안 수차례 이루어진 화폐 개주는 분명히 왕정의 재정 확충을 위한 편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이는 당대 사회에 많은 사회ㆍ경제적 혼란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여러 번 이루어진 화폐 개주는 그만큼 다양한 화폐 이미지들을 창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당시 왕정이 처한 여러 위기들에 대해 왕권이 이미지를 통해 정치적 의사소통을 시도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개주 화폐에 새롭게 창출된 이미지는 화폐 주권을 내세우며 화폐 이미지를 독점한 국왕의 선전물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당대의 정치적 상황에 긴밀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점에서 스스로를 정당화하기 위한 변명으로 기능하기도 했다. 즉 왕권과 화폐의 통화가치가 불안정할수록 왕권 이미지는 더욱 풍성하게 창출되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러한 의사소통은 금화나 은화와 같은 고가의 화폐를 사용하는 사회적 상층에 국한되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해야 한다. 즉 재정과 정치문제에 관련하여 주요한 의견을 피력하던 대귀족이나 대부르주아들만이 이러한 이미지들을 직접 접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이들이 정치사회의 여론을 형성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화폐 이미지의 효과를 화폐 사용자에게만 국한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이 당시 프랑스에서 화폐는 정치, 경제, 문화의 영역들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폐는 국가체제의 등장과 함께 전쟁과 재정, 정치적 의사소통이 교차하는 복합적인 지점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coinage conducted by the French monarchy from the end of the 13th century to the mid-14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o-cultural history of image production based on existing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tudies. Recoinage, which was held several times during this period, was clearly implemented as an expedient to the financial expansion of the monarchy, and it caused many socio-economic confus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the recoinage in several times provided the opportunity to create various monetary images. This was the result of the king's attempt at political communication with the image in relation to various crises of the monarchy. New images produced by recoinage was royal propagandas of the kingship which monopolized monetary images by his monetary sovereignty. But, in that the king was closely in response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day, it was also a pretext of political justification. The more unstable the currency value and the kingship, the richer the image of the kingship By the way, these communications were confined to the upper classes of society using high value money, such as gold and silver coins. Only nobles and bourgeoisie, who expressed principal opinions on financial and political issues, were able to see these images directly. Nevertheless, the effect of the monetary image would have exceeded the range of the currency user. In conclusion, in France at this time, money is located at the crossroads of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areas. More concretely, money becomes a complex point where war, finance, and political communication cross with the emergence of the state system.

      • KCI등재후보

        19세기 파리 역사문화공간 생산의 과정과 의미

        홍용진(Hong, Yong Jin) 도시사학회 2016 도시연구 Vol.15 No.-

        데이비드 하비에 따르면 19세기 파리는 파괴와 창조라는 특징을 지니는 근대성의 도시였다. 하지만 이 시기 파리는 동시에 과거의 역사기념물들을 보존하고 복원하려는 역사화의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에 따라 18세기 말까지 부정적인 대상으로 인식되어 오던 ‘옛 파리’는 19세기 초에 들어와 낭만주의의 물결과 더불어 미학적으로 재발견된다. 이러한 문화사조는 새로운 국민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7월 왕정의 정책으로 이어졌다. ‘시민 왕’ 루이-필리프와 내무부장관 기조는 통합적인 ‘국민’의 이름으로 7월 왕정을 과거 왕조와 프랑스혁명 모두의 종합적 계승자로 내세우고자 했고 이는 곧 국민 공통의 기억의 모범인 역사기념물들의 보존과 복원정책으로 이어졌다. 비올레르뒤크를 중심으로 하는 역사기념물 보존 및 복원 사업은 1848혁명과 루이 보나파르트의 쿠데타, 제2제정의 등장이라는 파란만장한 정치적 격변 속에서도 꾸준히 이어졌다. 물론 이러한 작업들은 다양한 현실적⋅행정적 문제들과, 특히 제2제정 당시에 시행된 오스만 남작의 도시계획과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제3공화정이 수립되고 민주주의가 확립되어 가면서 비올레르뒤크가 이끄는 역사기념물 보존 및 복원작업은 새로운 저항에 부딪히게 되었다. 이 시기의 소장 역사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중세와 국민적 모범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개념과 정책을 비판하면서 고대에서 근대까지 시기를 확장하고 민중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유적들을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하였다. 이렇게 해서 역사기념물 정책은 국민적 모범 확립에서 시민적 역사교육으로 변화해 갔다. 19세기 파리가 보여준 이상의 과정은 두 가지 의미를 던져준다. 한편으로 그것은 근대화 반대하는 역사화가 바로 근대화의 산물이라는 이중적 관계를, 다른 한편으로는 역사기념물 정책을 둘러싼 국민 정체성 확립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 According to David Harvey, the 19th century Paris was a city of modernity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destruction and creation. But at the same time Paris shows the historicization process to preserve and restore historic monuments of the past. Subsequently the ‘Vieux Paris’ considered negatively until the end of the 18th Century was rediscovere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with the wave of romanticism in the early 19th century. This cultural trend was connected with the July monarchy"s policy in order to establish a new national identity. Louis-Philippe, the ‘Citizen-King’ and François Guizot, Minister of Interior wanted to make the July monarchy stand, in the name of ‘nation’, as synthetic successor of the past dynasty and the French Revolution. In this context, they started the policy of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historic monuments, models of common national memories. The practice of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led by Viollet-le-Duc was constantly advanced despite the political upheavals like the Revolution of 1848, Coup d"État of Louis Bonapart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Empire. But it was forced to collide with various realistic and administrative problems, in particular with the Haussmann"s renovation of Paris under the Second Empire.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Democratic government of the Third Republic, the practice of Viollet-le-Duc was clashed with new resistance. In criticizing the previous concepts and practices centered around the national model and the Middle Ages, the young historians and archeologists insisted the expansion of period from the Antiquity to the Modern Age and the inclusion of ruins about people"s everyday life. In this way, the policy of historic monuments change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model to the civil education of the History. This evolution of the 19th Century Paris gives two meanings. It shows, on one hand, the double relationship that the historicization against the modernization was in fact the product of the latter, and on the other,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identity around the policy of historic monuments.

      • KCI등재

        14세기 전반기 프랑스 왕권의 종교 텍스트 번역 -필리프 6세 시기를 중심으로-

        홍용진 ( Yong Jin Hong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5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5

        14세기 전반기 프랑스 필리프 6세(Philippe VI, 1328-1350) 정부의 종교 텍스트 번역사업은 14세기를 전후로 이루어진 세속어 문자문화 및 문해력의 확산과 세속대중들 사이에서의 신앙심 심화와 저변확대라는 종교-문화적 현상의 큰 흐름과 그 궤를 같이 한다. 하지만 필리프 6세의 번역사업은 이러한 흐름을 단순히 뒤쫓아 가는 것이 아니라 막대한 재정을 바탕으로 이러한 흐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려는 왕권의 전략을 드러낸다. 장 드 비녜나 피에르 드 앙제스트에 의해 이루어진 5편의 종교텍스트 번역들은 한편으로는 독서문화와 신앙심의 확산이라는 당대 현상의 반영이면서 동시에 이러한 현상에 대한 왕권의 대응전략이기도 했다. 특히 후자의 차원에서 그것은 라틴어라는 권위의 언어를 잠시 뒤로 밀어두고 취약한 왕권에 정치사회 구성원들의 관심을 끌어 모으고 가장 기독교적인 왕으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치문화적 전략의 의미를 지닌다. 또 거꾸로 왕권이 번역한 텍스트들은 프랑스왕권이라는 상징성 덕택에 다른 어떤 번역들보다도 대중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이점들을 부여받게 된다. 또한 필리프 6세의 번역사업은 14-15세기에 내내 이루어질 프랑스 왕권의 프랑스어 번역사업 후원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본격적인 신호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번역사업의 일반적인 특성과 더불어 종교 텍스트들에 대한 번역작업은 다른 종류의 텍스트들에 대한 번역작업들과는 다른 내용상의 변형을 수반하게 된다. 즉 교회의 언어인 라틴어에서 세속인들의 언어이자 이제 막 적극적으로 왕권에 의해 사용되는 프랑스어로 언어매체가 변형되는 과정은 텍스트의 내용을 훼손하거나 직접 변형시키지는 않지만 텍스트 외적인 차원에서의 의미작용을 정치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나간다. 이러한 차원에서 왕권의 준종교적인 사명감은 국가체제가 등장하기 시작한 14세기 초에 왕국 전체에 대한 ‘통치’의 문제를 제기한다. 그것은 루이 9세에게서 보이는 바와 같은 성 프란체스코라는 종교적·상징적 모범을 만드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속적인 차원에서의 실질적인 국정운영과 인민들을 향한 배려에 대한 관심을 도출한다. 물론 필리프 6세의 번역사업은 양적인 측면에서 그리 대중적인 성공을 거뒀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번역 텍스트들의 종류를 다각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종교 텍스트 번역에 대한 관심이 가장 일반적이었던 『성서』에만 국한되지 않고 성자전과 전례집, 복음서 강론집, 신비주의적 명상론에 까지 이르고 있다는 점은 왕권이 교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오던 다양한 종교적 활동들을 전유하여 자신의 다양한 상징자본을 확보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그것은 종교장(champ religieux)에서 정치장(champ politique)이 분할되어 나오면서도 정치적인 것(le politique)이 종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중세 말 상황의 복잡다단한 일면을 보여준다. The translation of religious texts executed by the government of Philippe VI(1328-1350) in the First half of 14th Century France corresponds with proliferation of vernacular literacy around the 14th Century France and with religious and cultural phenomena as intensification and expansion of private devotion. But the translation of Philip VI wasn``t a simple following this trend but an expression of royal strategy for it``s pioneer. The five texts translated by Jean de Vigny and Pierre de Hangest, quasi-official royal translators, was not only a reflection of contemporary lecture culture and diffusion of devotion, but also a royal reaction on these socio-cultural phenomena. Especially it also means politico cultural strategy in order to legitimate the Valois kingship as ``rex christianissimus`` and to appeal to various members of political society in renouncing the Latin, authoritative language. In the other way, the translation of French kingship merit more popular success than any other texts due to the French royal symbolism. And the translation of Philip VI means the starting point for the translation patronization in the 14th and 15th Centuries. The vernacular translation of religious texts invovles a mutation of content, different with the translation of other kinds of texts. A language transformation from the Latin, ecclesiastical language, to the French, vernacular language and actively used by Valois kingship doesn``t modify the contents, but it emanates various political effects. In this point, the royal sense of religious duty propose the problem of ``governmentality`` in the early 14th Century around the birth of State system. It isn``t only making religious and symbolic model as saint Louis IX, but relates with state administration and consideration on people of the whole kingdom in the level of secular political community. Of course, the translation of Philip VI was not so successful in popular proliferation in the quantitative perspective. However, it suggests important meaning on the diversification of kinds of translation texts. That his translation embraces the Bible as well as Hagiography, Homely and Meditation Books presents the royal intention to ensure his divers symbolic cultures appropriating ecclesiastical activities of the Church. It show a complex scene of late Middle Ages characterized by ramification of the political field from the religious field and by dependance of le politique on the religion.(Korea University/hadrianus@hanmail.ne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