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치안 수요 자동범주화 연구

        홍세은(Hong Seeun),정인규(Jeong Inkyu),이용걸(Lee Yonggeol)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2

        국민의 체감안전도와 치안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찰활동과 치안에 대한 정확한 수요를 파악해야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정확한 치안 수요를 포착해내기 위해 개방형 조사를 실시하였으나 범주화와 분석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측면에서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수요 응답을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자동범주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A 지역에 거주하는 480명의 주민들로부터 취합한 응답 자료에 주관적 범주화와 자동범주화를 적용하여 비교한 결과, 출현 빈도가 높은 대부분의 주요 범주들은 두 방법 모두에서 공통으로 추출되어 자동범주화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자동범주화를 통해 주관적 범주화에서 누락될 수 있는 수요를 포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반대로 문맥 해석을 통해 추상적 혹은 포괄적으로 구성되는 범주는 추출하기 어렵다는 한계점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자료 내 주제를 요약하고 범주 구성에 대한 기준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치안 수요 조사에 있어 자동범주화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satisfaction level, the government should grasp the exact demand for police activities and public security. In some areas, open-ended surveys were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xact demand for police activity,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time and cost involved in categorization and data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n automatic categorization technique using text-mining as one of the ways to analyze open-ended responses. We collected response data from 480 residents in the A-area and compared the categories derived from both subjective categorization and automatic categorization. The majority of the major categories with high frequency of emergence were extracted in common from both methods. So the possibility of using automatic categorization technique was confirmed. Although it was confirmed that some demands that could be omitted from subjective categorization can be captured through automatic categorization, the limitations were also identified that it is difficult to extract categories that are composed abstractly or comprehensively. However,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automatic categorization technique in the survey of security needs was confirmed, given that text-mining technique can be used to summarize the topics in the data and derive some criteria for the composition of the categories.

      • 부하전류를 이용한 직류급전계통 고장점표정장치 연구

        홍세은(Se-eun Hong),한문섭(Mun-seop Han),창상훈(Sang-hun Chang),박종국(Jong-gook Park),양일동(Il-dong Yang) 한국철도학회 2012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10

        직류전기철도는 수송밀도가 높아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열차지연 및 수송장애가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된다. 또한 직류급전회로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고장 점을 도보에 의한 현장순회에 따라 탐색하고 고장복구를 실시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려 신속한 고장복구의 과제가 되고 있다. 이전부터 국외에서 고장점표정 장치의 연구개발이 실시되어 왔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실용화되고 있지 않다. 직류급전회로의 고장점표정 방법은 중요한 기술이며, 그 필요성이 높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하고자 하는 방법은 급전선로의 양단 변전소의 부하전류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고장점을 표정할 수 있으며 신속한 유지보수 체계를 통해 열차지연 및 수송장애를 극복할 수 있다. Since DC electric railway has high freight density, it causes train delay and bottleneck transportation from accident and social problems from the failure effect. Also, we have restored fault point on foot when fault occurred. However, this fault localization method requires long time and it becomes obstacle to quick and smart fault restoration. Although research on fault locator has been conducted abroad in advance, this technology is not in practical use. Fault locator for DC power dispatch system is important technology with high necessity. With this developing technology from the research, fault point would be quickly and accurately localized by utilizing load current from substations beside catenary line, and train delay and bottleneck transportation would be conquered by quick maintenance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범죄경력자 거주지 분포에 관한 사회생태학적 접근 : 사회환경적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공간효과 분석

        홍세은(Hong, Seeun),윤상연(Yoon, Sangyeon) 한국교정복지학회 2020 교정복지연구 Vol.0 No.67

        본 연구는 범죄경력자의 거주지 분포와 지역의 사회환경적 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범죄경력자의 거주지 선택과 연관된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이들의 성공적인 사회 복귀와 적응을 위해서 어떠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지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행정동을 지역적 분석단위로 하여 등록된 범죄경력자 수와 사회환경적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때 공간적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공간회귀모형과 공간적 비정상성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가중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범죄경력자 수와 기초생활수급가구비 등 모든 변수 내에서 공간적 군집성이 확인되었으며, 지역의 기초생활수급가구비가 높을수록, 추정소득이 적을수록, 1인가구비가 높을수록, 인구 1천 명당 주류업소 수가 많을수록, 주택유형 중 다세대주택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범죄경력자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지적 관점에서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공간가중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마다 그 연관성이 상이하게 추정됨을 확인하였으며, 공간적 비정상성을 고려한 공간가중회귀모형에서 적합도와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범죄경력자 밀집지와 사회환경적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출소자들이 성공적으로 사회에 재진입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특성에 맞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of ex-offenders and the social-environmental factors of the region, thereby identify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esidential selection of ex-offenders and discussing what policy approaches are needed for their successful return to the society. To this e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umber of registered ex-offenders and the social-environmental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Seoul as a research area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as a regional analysis unit.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were to be more clearly identified by using the spatial regression which can take into account spatial effects and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which can take into account spatial non-stationar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spatial clusters were identified within all variables, including the number of ex-offenders living in the area and the ratio of basic living allowance househol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atio of basic living allowance households in the region, the lower the estimated income, the higher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higher the number of liquor stores per 1,000 people, and the higher the ratio of multi-household housing, the higher the number of ex-offenders living in the area.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by applying a spatial weighted regression that can check the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from a local perspective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s are estimated differently from region to region.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showed the highest suitability and explanatory power. Through the result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istribution of the residential area of ex-offenders and social-environmental variables were confirmed, and what policy approach is needed for ex-offenders to successfully return to the society was discussed.

      • KCI등재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의 효과성 인식 및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홍세은(Hong, Se Eun),정제용(Jung, Je Yong),김학경(Kim, Hak Kyo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1 경찰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2018년 10월부터 한국 경찰에 도입된 ‘대화경찰’ 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경찰관과 집회참가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대화경찰 활동에 대한 평가, 질서유지 및 집회 자유보장 측면에서의 효과성, 그리고 대화경찰 활동에 대한 만족도 등, 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집회참가자들이 인식하는 대화경찰 제도에 대한 효과성이 경찰관의 인식보다 더 긍정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외부보다 경찰 내부에서 대화경찰 제도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더 강한 실정임을 보여준다. 이어서 대화경찰 제도에 대한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경찰관의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속연수, 대화경찰 업무수행 횟수 등이었으며, 반면에 집회참가자가 인식하는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화경찰과의 직접적인 소통 경험 유무, 경찰에 대한 평소 신뢰도 등이었다. 또한 경찰관과 집회참가자 모두 공통적으로, 집회현장에 배치되는 대화경찰이 적다고 인식할수록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회시위 자유 보장에 대한 당위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대화경찰 제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대화경찰의 적극적인 활동을 촉구하고 집회시위 자유 보장 역할을 강조하는 등, 대화경찰 제도에 대한 인식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rcep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Dialogue Police" system introduced to the Korean national police since October 2018. First, each survey on police officers and protest participants attempted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such as evaluation of dialogue police activities, effectiveness in maintaining order, effectiveness in ensuring freedom of demonstrations, and satisfaction with dialogue police activiti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dialogue police system perceived by the protest participants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 police officers, and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skepticism about the dialogue police system was stronger inside the police than outside. The study then identified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in the dialogue police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effectiveness were the number of years on service and the number of times they performed as dialogue police. In contras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rally participants were the experience of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dialogue police. In addition, both police officers and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perception of effectiveness if fewer dialogue police officers were deployed to protest sit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legitimacy of the demonstration they perceive, the more positive they were toward the dialogue police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s discussed the ways to improve awareness of the dialogue police system, such as encouraging active activities of the dialogue police and emphasizing the role of ensuring freedom of demonstrations.

      • KCI등재

        112 신고 벡터화를 통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군집분석과 이를 활용한 사건유형 간 유사성 탐색

        홍세은(Hong, Se Eun),방준성(Bang, Jun Seong),김용진(Kim, Yong Jin),장광호(Jang, Kwang Ho)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인 112 신고내용을 각각의 사건유형별로 벡터화하고 유사도에 따라 군집하여, 신고내용 상에서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사건유형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A 지역의 지방경찰청에서 약 1년간 수집한 약 425만여 건의 112 신고 자료 중 전처리과정을 통해 178만여 건을 추출하였으며 ‘신고내용’과 ‘종결 시 사건코드’를 활용하였다. 신고내용을 벡터화하여 유사성 거리에 기반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의 군집이 구성되었다. 아동학대, 스토킹 등이 살인과 같은 중대범죄와 함께 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가정폭력과 데이트폭력은 주거침입, 협박과 함께 군집되었다. 기타경찰업무로 분류되는 실종, 가출, 납치감금 유형은 변사자 유형과 동일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살인, 강도 등 범죄 유형과는 근접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벼운 유형의 사건으로 분류된 신고와 심각한 사건으로 분류된 신고가 내용상으로는 유사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따라서 초기대응 시 사건유형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대응 범위를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신고내용이 유사한 사건유형들을 군집하여 경찰 초기대응의 범위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과 일부 사건유형이 심각한 사건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면밀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imilarity between incident types through vectorizing the unstructured text data of emergency call reports and clustering them based on the similarity. The emergency call reports of 1.78 million, which wa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out of that of 4.25 million, and were pre-processed to extract the data of ‘incident type’, ‘incident content text’, and "emergency code".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similarity distance, six clusters were formed. Child abuse and stalking were grouped together with serious crimes such as murder, while domestic violence and violence in close relationship were grouped together with home invasion and intimidation. The types of missing, runaway, and kidnapping/detention were classified as the same clusters as those of the ‘dead by unknown reason’ and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in close proximity to types of crimes such as murder and robbe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ports classified as minor types of incidents may be similar to those classified as critical incidents in terms of reported cont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cope of police response in consideration of the similarity of the type of incident when the they respond in the early stages of the incid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elps police set the scope to respond initially by clustering similar types of incidents, and supports them to respond meticulously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some cases may escalate into critical cases.

      • KCI등재
      • KCI등재

        대화경찰 역량모델에 대한 연구

        표선영(Pyo, Sunyoung),홍세은(Hong, Seeun),정제용(Jung, Je Yo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2 경찰학연구 Vol.22 No.2

        집회 현장에서의 평화로운 집회시위를 보장하고 집회참가자와 경찰의 대립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한국 경찰은 2018년부터 대화경찰 제도를 도입해서 시행하고 있다. 대화경찰 제도는 비교적 구체적 목적의식을 가지고 도입이 되었으나, 본격 시행 전 대화경찰의 구체적 역할이나 그 역할 수행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선행되지 않아, 실제 현장 운영과정에서 혼란을 야기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대화경찰이 비교적 최근에 도입된 정책인 만큼 대화경찰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자체가 부족하고, 일부 수행된 연구도 외국의 대화경찰 제도에 대한 고찰이나 국내 대화경찰 제도 도입 후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대화경찰의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역할을 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화경찰에 대한 기대역할을 분명히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대화경찰에게 필요한 역량모형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장 대화경찰관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대화경찰에게 필요한 5개 역량군과 14개 역량을 도출하였다. 대화경찰 제도의 발전을 위해 이렇게 도출된 역량을 향후 교육훈련 등에 반영하는 방안 등 실무적 함축점도 함께 제시하였다. The Korean police force have implemented the Dialogue Police System since 2018 as a measure to ensure the peaceful holding of demonstrations and to preven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rotesters and the police. Although the dialogue police system was introduced with a relatively specific purpose,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specific role of dialogue police or the capabilities required for officers to perform that role was not conducted before it is fully implemented. Studies on dialogue police system conducted so far is mostly about introduction of the dialogue police system of several foreign countries, and there are no studies that empirically explored the specific abilities and roles of the dialogue police in Korea.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aimed at designing a competency model for dialogue police as a way to help clarify the expected role of dialogue police in Korea. Five competency groups and 14 competencies required for dialogue police were derived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s of on-site dialogue police officers. The policy implications of how this competency model can be used when planning training program for dialogue police officers are also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