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방사선치료 중 오심 및 구토에 대한 그라니세트론의 효과

        홍성언,강진오,Hong, Seong-Eon,Kang, Jin-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적: 방사선 치료시 유발되는 오심과 구토에 대하여 5-hydroxytriptamine 길항제인 그라니세트론을 투여하여 그 효과에 대한 임상적 효능과 방법, 사용기간, 부작용 등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병리학적으로 암으로 확진된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10명(직장암 4명, 자궁경부암 2명, 자궁내막암 1명, 정상피종 1명, 폐암 1명, 백혈병 1명)을 대상으로 그라니세트론 치료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라니세트론은 경구 투여로 2mg을 하루 1회 사용하였으며, 방사선치료 후 오심이나 구토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사용하여 2주간 계속적으로 투여하였다 환자의 오심의 정도, 구토 회수, 부작용 등의 증세는 방사선치료 시작일로부터 하루 한번씩 기록하여 24시간 후와 제7일 째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오심은 무증상, 경증, 증등도, 중증 등 4단계로 분류하였으며 무증상과 경증을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구토 억제에 대한 효과는 완전효과, 주효효과, 경미효과, 치료실패 등으로 구분하였고 완전효과와 주효효과를 구토가 조절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오심에 대한 효과는 그라니세트론 투여후 제7일에 전체 10명중 9명(90$\%$)에서 증삶이 호전되었다(무증상=6명, 경증=3명). 구토증세에 대한 조절효과는 제7일에 완전효과가 70$\%$ 주효효과가 30$\%$,로 전체적인 치료효과는 100$\%$에서 구토가 조절되었으며 경미효과나 치료실패로 판정된 환자는 없었다. 부작용으로는 경도의 두통을 호소한 환자가 1명 있었고 또 다른 1명에서 경도의 어지러움증을 호소하였으나 특별한 치료없이 곧 소실되었고, 변비나 추체외로 증상은 한 예도 없었다. 결론 : 대부분의 환자(100$\%$)에서 일주일간의 그라니세트론 투여로 오심(90$\%$) 및 구토(100$\%$)의 증상을 억제할 수 있었으나 항암제와 방사선요법을 병행하는 환자나 넓은 부위를 치료하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가 끝날 때까지 계속적으로 그라니세트론을 투여할 필요가 있었다. 항암제 투여시 동반되는 오심과 구토는 주요 관심의 대상으로 이에 대한 치료 방법과 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 방사선치료 시에 나타나는 이러한 증상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효율적인 방사선치료를 위해서는 앞으로 항구토제의 투여 방법 및 기간 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Purpose : Granisetron is a potent, the most selective 5-HT3 receptor antagonist and is reported to b effective in treatment of radiation-induced emesis. The antiemetic efficacy and safety of oral granisteron was evaluated in patients with receiving highly emetogenic treatment by conventional fractionated ir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ith various cancers who were being treated with irradiation were accrued into the present study. The intensity of nausea was evaluated on first 24 hours and on day-7 by patien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ference with normal daily life as followings; a) none; b) present but no interference with normal daily life (mild): c) interference with normal daily life (moderate): and d) bedridden because of nausea (severe). Non or mild state was considered to indicate successful treatment. The efficacy of antiemetic treatment was graded as follows; a) complete response; no vomiting, no worse than mild nausea and receive no rescue antiemetic therapy over the 24h period, b) major response; either one episode of vomiting or moderate/severe nausea or had received rescue medication over 24h period, or any combination of these, c) minor response; two to four episodes of vomiting over the 24h period, regardless of nausea and rescue medication, d) failure; more than four medication. The score of the most symptom was recorded and the total score over 24 hours was summarized. The complete or major response was considered to indicate successful treatment. Results : A total of 10 patients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and all were assessable for efficacy analysis. Total nausea control was achieved in 90$\%$ (9/10:none=60$\%$ plus mild=30$\%$) of total patients after 7 days. The control of vomiting by granisteron was noted in seven patients (70$\%$) of complete response and three (30$\%$) of major response with a hundred-percent successful treatment over 7 days. The minor response or treatment failure were not observed. No significant adverse events or toxicities from granisetron were recorded in patient receiving granisetron.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granisetron is a highly effective antiemetic agent in controlling radiotherapy-induced nausea or vomiting with a minimal toxicity profile.

      • SCOPUSKCI등재

        저분화 성상세포종-수술후 방사선치료가 필수적인가 ?

        홍성언,최두호,김태성,임언,Hong Seong Eon,Choi Doo Ho,Kim Tee Sung,Leem Wo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2

        저분화 성상세포종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역할이나 적정 방사선량, 치료시기등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후향적 분석결과로 얻은 정보는 방사선량이나 외과적 또는 방사선 치료에 의한 시술시기 등의 관점에서 전향적인 연구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된다. 저자들은 1979년부터 1989년까지 경희대학병원에서 수술로 확진된 저분화 성상세포종 환자중 천막하부를 제외한 총 56(남 : 여 =29:27)명에 대한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절제범위는 38명 ($68\%$)에서 근치수술하였고, 18예 ($32\%$)는 부분절제 또는 조직생검만 시행하였다. 총 56예중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36명 ($64\%$)이었고, 방사선량은 최저 5000 cGy를 국소조사하였다. 총 56예의 5년 및 10년 생존율은 각각 $44\%$와 $32\%$였으며, 중간 생존기간은 4.1년이었다. 조직소견에 따른 5년 및 10년 생존율은 grade I(23명)이 각각 $52\%$와 $35\%$이고, grade II(23명)는 $20\%$와 $10\%$였다. Oligodendroglioma 환자는 성상세포종보다 생존율이 높았으며(5년 생존율=$65\%$ vs $36\%$)장기간 생존율은 각각 $54\%$와 $23\%$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다량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54 Gy)환자는 소량의 방사선 (<54 Gy)이나 수술만 받은 환자보다 5-년 및 10-년 생존율이 높았다(P<0.05). 수술범위에 따른 5년 생존율은 $46\%$와 $41\%$로 비슷하였으나, 10년 생존율은 근치수술한 경우가 $41\%$, 부분절제 또는 조직생검한 경우는 $12\%$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0.01). 과거 여러 저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환자나이, 수술범위, 방사선치료유무, 악성도, 증상 발현기간, 수행능력 상태등이 성상세포종의 중요 예후인자라고보고하였으나, 본 저자들의 예에서는 grade I조직소견 (p<0.025)과 환자나이 (p<0.001)가 가장 중요한 예후일자였으며 향후 무작위화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cise role of radiotherapy for low grade gliomas including the optimal radiation dose and timing of treatment remains unclear. The information given by a retrosepctive analysis may be useful in the design of prospective randomized studies looking at radiation dose and time of surgical and radiotherapeutic treatment. The records of 56 patients (M:F = 29:27) with histologically verified cerebral low grade gliomas (47 cases of grade 1 or 2 astrocytomas and 9 oligodendrogliomas) diagnosed between 1979 and 198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extent of surgical tumor removal was gross total or radical subtotal in 38 patients ($68\%$) and partial or biopsy only in the remaining 18 patients ($32\%$). Postooperative radiation therapy was given to 36 patients ($64\%$) of the total 56 patients with minimum dose of 5000 cGy (range=1250 to 7220 cGy). The 5-and 10-year survival rates for the total 56 patients were $44\%$ and $32\%$ respectively with a median survival of 4.1 years. According to the histologic grade the 5- and 10-year survivals were $52\%$ and $35\%$ for the 24 patients respectively with grade I astrocytomas compared to $20\%$ and $10\%$ for the 23 patients with grade II astrocytomas. Survival of oligodendroglioma patients was greater than those with astrocytoma ($65\%$ vs $36\%$ at 5 years), and the difference was also remarkable in the long term period of follow up ($54\%$ vs $23\%$ at 10 years). Those who received high-dose radiation therapy ($\geq$5400 cGy) had significant better survival than those who received low-dose radiation (< 5400cGy) or surgery alone (p<0.05). The 5- and 10-year survival rates were, respectively $59\%$ and $46\%$ for the 23 patients receiving high-dose radiation, $36\%$ and $24\%$ for the 13 patients receiving low-dose radiation, and $35\%$ and $26\%$ for the 20 patients with surgery alone. Survival rates by the extent of surgical resection were similar at 5 years ($46\%$ vs $41\%$), but long term survival was quite different (p<0.01) between total/subtotal resection and partial resection/biopsy ($41\%$ and $12\%$, resepctively).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have identified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these tumor: age, extent of surgery, grade, performance status, and duration of symptoms. But in our cases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grade I histology (p<0.025) and young age (p<0.001) were the most significant good prognostic variables.

      • SCOPUSKCI등재

        The Combined Effect of Adriamycin and Irradiation on the Small Intestinal Villi of Mice

        홍성언,안치열,Hong, Seong-Eon,Ahn, Chi-Yul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1

        방사선 조사와 adriamycin 병용투여가 마우스 소장 소낭선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adriamycin의 방사선 증강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C_3H$계 마우스 120마리를 cobalt-60원 격치료기로 전복부에 조사하였다. 방사선 단독조사군은 1,000rad에서 1,600rad까지, adriamycin병용투여군은 900rad에서 1,400rad까지 각각 100rad씩 증강시켜 조사하였고 adriamycin 10mg/kg을 조사 2시간전과 4시간후에 각각 복강내에 주사하였다. 실험군은 84시간 후에 공장을 절제하고 소낭선 측정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곡선을 작성하므로써 adriamycin 병용투여시의 조사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소장융모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다. 1) 조사군의 환상면당 소낭선수는 평균 $130{\pm}16$개이었다. 2) 방사선 단독조사 군에서 소낭선세포의 평균 치사선량은 160rad이었으며, 방사선조사 2시간과 4시간후 adriamycin 병용투여군은 모두 170rad이었다. 3) 방사선조사 2시간전과 4시간 후에 adriamycin 투여군의 dose effect factor(DEF)는 1.19와 1.26이었다. 4) 주사전자현미경소견에서 조사선량 증가에 따라 소장융모의 손상이 각각 다른 형태로 뚜렷이 변하였으며, conical collapse형태로 면한 것은 단독조사군의 1,200rad와 adriamycin병용투여군의 1,000rad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마우스 소장에서 방사선과 adriamycin 병용투여시 $19{\sim}26%$의 유의한 조사효과 상승이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복부나 골반부에 방사선조사와 항암제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장기인 소장에 대한 손상을 고려하여 임상에서 암의 방사선치료에 깊은 배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radiation on the mouse jejunal crypt cells by combined administration of administration and radiation and also to evaluate the enhancing effect of adriamycin, the authors performed this study by delivering single irradiation of 1,000 to 1,600 rad to the whole abdomen of mice by cobalt-60 teletherapy unit. In combination with adriyamycin treatment groups, the drug was administered as single dose of 10 mg/kg either 2 hours before or 4 hours after graded single dose,900 to 1,400 rad, of irradiation. The authors studied the quantitative changes of intestinal crypt cells by microcolony survival assay technique an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small intestinal villi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mice following to combined therapy with adriamycin and irradiation, The average number of jejunal crypts per circumference was $130{\pm}16$ in control group. The mean lethal dose(Do) of each irradiation alone and combined therapy groups 2 hours before and 4 hours after irradiation, were 160, 170, and 170 rad in cell survival curves, respectively. The dose effect factor(DEF) of adriamycin in each groups of pre-irradiation and post-irradiation were 1.19 and 1.26, respectively. The conical shaped villi were noted on 1,200 rad in irradiation alone group and 1,000 rad in combined groups. For the proper clinical application we must be careful of the radiation injury to small bowel when the anticancer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to the abdomen and pelvic area are used as combined therapeutic modality.

      • SCOPUSKCI등재

        The combined Effect of Adriamycin and Irradiation on the Small Intestinal Villi of Mice

        Seong Eon Hong(홍성언),Chi Yul Ahn(안치열)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1

        방사선 조사와 adriamycin 병용투여가 마우스 소장 소낭선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adriamycin의 방사선 증강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C3H계 마우스 120마리를 cobalt-60원 격치료기로 전복부에 조사하였다. 방사선 단독조사군은 1,000rad에서 1,600rad까지, adriamycin병용투여군은 900rad에서 1,400rad까지 각각 100rad씩 증강시켜 조사하였고 adriamycin 10mg/kg을 조사 2시간전과 4시간후에 각각 복강내에 주사하였다. 실험군은 84시간 후에 공장을 절제하고 소낭선 측정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곡선을 작성하므로써 adriamycin 병용투여시의 조사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소장융모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다. 1) 조사군의 환상면당 소낭선수는 평균 130+-16개이었다. 2) 방사선 단독조사 군에서 소낭선세포의 평균 치사선량은 160rad이었으며, 방사선조사 2시간과 4시간후 adriamycin 병용투여군은 모두 170rad이었다. 3) 방사선조사 2시간전과 4시간 후에 adriamycin 투여군의 dose effect factor(DEF)는 1.19와 1.26이었다. 4) 주사전자현미경소견에서 조사선량 증가에 따라 소장융모의 손상이 각각 다른 형태로 뚜렷이 변하였으며, conical collapse형태로 면한 것은 단독조사군의 1,200rad와 adriamycin병용투여군의 1,000rad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마우스 소장에서 방사선과 adriamycin 병용투여시 19~26%의 유의한 조사효과 상승이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복부나 골반부에 방사선조사와 항암제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장기인 소장에 대한 손상을 고려하여 임상에서 암의 방사선치료에 깊은 배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radiation on the mouse jejunal crypt cells by combined administration of administration and radiation and also to evaluate the enhancing effect of adriamycin, the authors performed this study by delivering single irradiation of 1,000 to 1,600 rad to the whole abdomen of mice by cobalt-60 teletherapy unit. In combination with adriyamycin treatment groups, the drug was administered as single dose of 10 mg/kg either 2 hours before or 4 hours after graded single dose,900 to 1,400 rad, of irradiation. The authors studied the quantitative changes of intestinal crypt cells by microcolony survival assay technique an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small intestinal villi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mice following to combined therapy with adriamycin and irradiation, The average number of jejunal crypts per circumference was 130pm16 in control group. The mean lethal dose(Do) of each irradiation alone and combined therapy groups 2 hours before and 4 hours after irradiation, were 160, 170, and 170 rad in cell survival curves, respectively. The dose effect factor(DEF) of adriamycin in each groups of pre-irradiation and post-irradiation were 1.19 and 1.26, respectively. The conical shaped villi were noted on 1,200 rad in irradiation alone group and 1,000 rad in combined groups. For the proper clinical application we must be careful of the radiation injury to small bowel when the anticancer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to the abdomen and pelvic area are used as combined therapeutic modality.

      • 진행된 성문상부암에서 PCR-SSCP에 의한 p53의 변이 양상과 임상적 의의

        홍성언(Seong Eon Hong),강진오(Jin Oh Kang),백형환(Hyung Hwan Baik),윤경식(Kyung Sik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진행된 성문 상부암 환자에서 p53 유전자 변이 양상을 파악하고 이의 임상적 예후 인자로서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희대학병원에서 병기 3 또는 4의 진행된 후두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목적의 전 또는 부분 후두절제술을 시행 받고 4600 cGy 이상의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60례 중 적절한 조직을 확보 할 수 있었던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 일부는 면역 염색을 시행하였고 일부는 p53 유전인자의 exon 5번 부터 8번까지 PCR-SSCP 시행후 PCR-SSCP 상 이상 소견이 있는 환자들의 DNA를 염기 서열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임상적 소견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PCR-SSCP 검사 결과 exon 5∼8번에서 전체 26례 중 8례(31%)에서 변이를 나타내었다. 8례 모두 점돌연변이었으며 transition이 전체 8례 중 6례이었다. Exon 5번의 변이가 3례, exon 6번의 변이가 4례, exon 7번의 변이가 1예이었다. 전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67.4개월 이었고 p53 변이가 없는 군이 70.2개월, p53 변이가 있는 군이 61.3개월로 p53 변이가 있는 군의 생존 기간이 감소되어 나타났으나 두 군간의 생존 기간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96). 환자를 병기 III과 IV로 나누어 SSCP상 변이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병기 III은 양성이 25%이었고 병기 IV는 36%로 나타나 병기 IV 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563). 임파절 음성인 환자 중 SSCP 양성은 25%이었고 임파절 양성인 환자 중 SSCP 양성은 42%이었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437). 결 론 : PCR-SSCP 를 이용한 p53 유전인자 변이의 검색은 생존 기간, 병기, 임파절 전이 등과 관련이 없으며 예후인자로서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Purpose : To determine the prognostic s ignificance of p53 mutations in advanced supraglottic cancer patients . Material and Methods : Twenty- s ix patients with pertinent tissue materials among 60 patients diagnosed as advanced supraglottic cancer in Kyung Hee univers ity hospita l a nd received total or partial laryngectom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were enroll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 ing DO7 monoclonal antibody was performed. Tumor specimens were analyzed for p53 mutations in exons 5 through 8 by us ing PCR- SSCP analys is followed by DNA sequencing of all variants . Results : p53 mutations were present in 8 cases among 26 patiets . Mutations within exon 5 were 3 cases , exon 6 were 4 cases , and exon 7 was 1 case. Mean survival time was 70.2 months in patients without mutations , 61.3 months with mutation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 ignificant differences (p=0.596). Mutations were 25% in stage III and 36% in stage IV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 ignificant differences (p=0.563). Mutations were 25% in lymph node negative group and 42% in lymph node pos itive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 ignificant differences (p=0.437). Conclusion : The presence of a p53 mutation detected by PCR- SSCP is not associated with survival, stage and lymph node status.

      • SCOPUSKCI등재

        Accelerated Fractionation In The Treatment of Brain Metastasis From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홍성언(Seong Eon H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2 No.2

        목적 : 폐암한자에 있어서 뇌전이는 심각한 문제이며 또한 장기간 생존을 기대할 수가 없다. 종양억제효과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만발 장애를 감소시켜 전체 치료기간을 가능한 단축시키기 위하여 비소세포성 폐암환자의 뇌전이에 대한 다분할 조사법인 급속분할조사법을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1년부터 1993년까지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확진되어 뇌전이가 발생한 24명의 환자에게 6시간 간격으로 2Gy씩 하루 2회로 총 48Gy를 전뇌에 조사하였다. 단일 병소는 전뇌에 40Gy 조사후 치료범위를 축소하여 8Gy를 추가하였다. 총 26예중 신경증상이 점사 진행되는 양상을 보인 2명은 방사선치료를 중단하였다. 결과 : 방사선치료 도중에 3명은 급성 방사선효과로 오심과 구토를 호소하였으나, 방사선량 증가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통상적인 치료방법인 2주에 30Gy를 조사한 경우(4.5개월)보다 48Gy의 급속분할조사에 의한 방사선치료법이 중간생존기간을 향상시켰으나(7개월)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p>0.05). 뇌에 국한된 전이 환자와 활동수행 상태가 양호한 군이 다방성 전이나 활동수행상태가 불량한 군보다 중간생존기간과 반년생존율에 있어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1). 결론 : 뇌전이 단독소견과 양호한 활동수행능력 상태등 양호한 예후인자를 가진 환자는 생존기간 향상이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로 환자의 quality of life를 고려하여 하후 1회 치료법과 2또 3회치료법을 비교하는 다자간의 전형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Metastatic cancer to the brain is a major problem for the patients with bronchogenic carcinoma, and most of these patients have a limited survival expectancy. To increase tumor control and/or to decrease late morbidity with possible shortening in over-all treatment period multiple adily fraction technique for brain metastasis was performed. The author reperesented the results of accelerated fractionation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from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six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from non-small cell lung cancer between 1991 and 1993 received brain radiotherapy with a total dose of 48 Gy at 2 Gy per fraction, twice a day with a interfractional period of 6 hours and delivered 5 days a week. the whole brain was treated to 40Gy and boost dose escalated to 8Gy for single metastatic lesion by reduced field. Twenty-four of the 26 patients completed the radiotherapy. Radiotherapy was interupted in two patients suggesting progressive intracerebral diseases. Results : This radiotherapy regimen appears to be comparable to the conventional scheme in relief from symptoms. Three of the 24 patients experienced nausea and or vomiting during the course of treatment because of acute irradiation toxicity. The author observed no excessive toxicity with escalating dose of irradiation. An increment in median survival,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was noted with escalating doses(48Gy) of accelerated fractionation(7 months) compared to conventional treatment(4.5 months). Median survival also increased in patients with brain solitary metastasis (9 months) compared to multiple extrathoracic sites(4 months) and in patients with good performance status (9 months versus 3.5 months)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Conclusion : The increment in survival in patients with good prognostic factors such as controlled primary lesion metastasis in brain only and good performance status appeared encouraging. Based on these results a multi-institutional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should be initiated to compare the twice-a-day and once-a-day radiotherapy schemes on patients with brain metastasis with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 SCOPUSKCI등재

        Radiation Therapy In Management Of Primary Non-Hodgkin's Lymphoma Of Central Narvous System

        홍성언(Seong Eon H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2 No.1

        1982년부터 1991년까지 경희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으로 확진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장 흔한 세포아형은 large, noncleaved cell과 B cell의 immumoblastic 림프종이었으며 측두엽과 심핵부위에 호발하였다. 치료는 환자를 생검 또는 절제술후 전뇌에 40 Gy(range= 30-50 Gy)를 방사선 조사하였으며 원발병소 15-20 Gy를 추가조사하였다. 16명의 환자중 14명은 방사선치료후 2개월에서 49개월 사이에 사망하였으며, 2명은 재발없이 각각 8개월과 22개월째 생존하고 있다. 1년 및 2년생존율은 각각 55.6%와 34.7%이었고, 중간 생존기간은 12개월이었다. 16명의 환자중 재발된 11명을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후 원발부위에 재발은 드물었으나 전뇌조사에서 불구하고 다른 부위에서 재발하였다. 재발율은 뇌에서 68.7% (11/16)이고 척추에서 25.0%(4/16)이었다. 나이, 성별 발생부위, 병소수, 방사선치료선량등은 각가 생존율과 무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중추신경계 림프종은 방사선 치료의 초기반응은 양호하나 통상적인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조절이 어려운 질환이다. 따라서 분할치료방법에 의한 방사선량 증가와 항암제의 병용으로 중추신경계 림프종에 대한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리라 기대된다. From 1982 to 1991, sixteen patients with primary non-Hodgkin's lymphoma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CNS) were seen Kyung Hee Unviersity Hospital. The most common subtypes were large, noncleaved cell lymphoma and immunoblastic lymphoma of B cells. Lesions most commonly involved were the parietal lobes and/or deep nuclei. Psitive cerebrospinal fluid cytology was rare at initial presentation. Six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ical biopsy or resection followed by whole brain radiotherapy at a median dose of 40 Gy(range=30-50Gy) with variable boost doses. Of 16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urteen patients died between 2 and 49 months following treatment, and two are alive with no evidence of disease at 8 and 22 months. The 1-and 2-year survival rates were 55.6% and 34.7% respectively with 12 months of median survival. Patterns of failure were analyzed in eleven patients of total 16 patients. Failure at the original site of involvement was uncommon after radiotherapy treatment. In contrast, failure in the brain at sites other than those originally involved was common in spite of the use of whole brain irradiation. Failure occurred in the brain 11/16(68.7%), in spinal axis 4/16(25.0%). The age, sex, location of involvement within CNS, numbers of lesion, or radiation dose did not influence on survival. The authors conclude that primary CNS lymphoma is a locally aggressive disease that is poorly controlled with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The limitation of current therapy for this disease are discussed, and certain promising modality should be made in regarding the management of future patients with this disease.

      • SCOPUSKCI등재

        Dose-Response curves of Mouse Jejunal Crypt Cells by Multifractionated Irradiation

        홍성언(Seong Eon Hong),안치열(Chi Yul A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2

        Co-60 치료기로 마우스 전신에 다분할조사(단일 2, 3, 4, 5, 8, 10, 12, 16회 분할 조사)후 공장소 낭선세포측정법으로 소낭선세포의 재생능력에 대한 선량반응 곡선을 작성하고, 단일선량생존곡선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분할조사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곡선은 고선량으로 이동하고 경사도는 점차 낮아졌다. 2) 단일선량생존곡선에서 Dq=460 cGy로 비교적 broad shoulder를 가지며 initial slope(1Do)는 475 cGy이 었다. 3) 180~450cGy까지 분할 조사한 경우 분할조사간격당 평균회복선량은 분할조사선량의 약 50%이었다. 4) 등가효과를 나타내는 분할조사선량과 이에 해당하는 총선량의 역수를 산출하여 선형회귀분석한 alpha/beta 값은 8.3Gy로 조기반응조직의 범위(6-l4Gy)에 속하였다. 5) LQ model은 방사선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모든 선량에 적용이 가능하고, alpha, beta 두 요소만 필요하므로, 실질적으로 편리하게 적응할 수 없다. 다분할조사에 대한 stem cell의 반응을 이해함으로써, 실제방사선치료시 위장관에 대한 급성손상을 극소화시키는 변형된 치료방법을 도입하고 다른 조직에도 응용할 수 있는 방사선생물학적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Using as assay for jejunal crypt stem cell survival, dose-response curves for the reproductive capacity of crypt stem cells of mouse jejunum exposed to multifractionated gamma-ray irradiation (single, 2, 3, 4, 5, 8, 10, 12, and 16 fractions) were analyzed and single-dose survival curve of these cells was constructed.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drawn: 1) Survival curves for higher numbers of dose fractions were displaced to higher dose, and characterized by increasingly shallower slopes. 2) The single-dose survival curve had broad shoulder, Dq=460 cGy, remaining near-exponential over initial dose range 0 to 300 cGy, with initial slope 1Do=474 cGy. 3) At fractionated dose En the range of 180 to 450 cGy, the average recovered dose per fraction interval was approximately 50% of the dose per fraction. 4) The value of alpha/beta ratio by using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ciprocal dose plots was 8.3 Gy which lied in the range of 6-14 Gy for early-reacting tissues. 5) The linear-quadratic model for dose-response formula offers valid approximations for at 1 doses to be used in radiotherapy, only two parameters to be determined, and considerable convenience in practical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