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홍선연(Hong, Sun-Ye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2

        최근 의학교육은 의과대학에서 의학전문대학원으로의 체제변화와 의사국가고시 실기시험 도입에 따른 변화 에 대처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고 국가고시 실기시험을 대비한 임상수행능력향상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의대생들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에 따른 임상수 행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D시에 소재한 일 의학전문대학원생 97명을 대상으로 2011년 8월19부터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과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 었고 자기 효능감의 하부영역인 자신감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아탄력성은 임상실기수행능력의 하부영역인 CPX와는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기효능감의 하부영역인 과제난이도 선호는 OSCE와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내 었고, 임상실기수행능력의 하부영역인 OSCE와 CPX는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스트레스 감소 는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임상실기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임상실기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교육과정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medical education is undergoing system transition from a medical college to a medical graduate school and introduction of performance test in the doctor license state examination. Therefore, To deal with these challenges, it is needed that medical faculty prepare the education programs for considering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mproving Clinical performanc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relation among Stress, ego-resilience, self-efficacy and Clinical performance in graduate medical student, and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97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in D city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9st to 20st. 2011. The study fou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Ego-Resilience, a positive correlation of stress with confidence at low region in Self-Efficacy. Ego-Resilience correlates positively with CPX at low region in Clinical performance, Preference for difficulty level of the task at low region in Self-Efficacy correlates negatively with OSCE. OSCE and CPX at low region in Clinical performance are positively correlated. Therefore, Stress reduction of students can improve Self-Efficacy, Furthermore, improve ultimately Clinic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is study,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and education programs for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advancement be reflected in curriculum.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사회적 책무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홍선연(Sun Yeun Hong),박강우(Gang Woo Park),박진식(Jin Sik Park),하종욱(Jong Uk Ha)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대학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사회적 책무성,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를 확인하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시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의 1학년에서 4학년 학생으로, 총 191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로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도구는 사회적 지지, 사회적 책무성, 대학생활 적응이다. 연구대상자의 수는 G power 3.1.2를 이용하여 최소 대상자 수를 확인한 후 총 19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t-test), 분산분석(ANOVA),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4.34±0.66점, 사회적 책무성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98±0.55점, 대학생활 적응 점수는 5점 만점에 3.54±0.69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책무성(r=.67, p<.001), 대학생활 적응(r=.50, p<.001) 간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사회적 책무성 또한 대학생활 적응(r=.49,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각 변인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29%(F=38.39, p<.001)였으며, 사회적 지지(β=.31, p<.001), 사회적 책무성(β=.28, p<.001)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책무성이 대학생활 적응의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간호대학은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책무성 향상을 위한 대인관계 및 인문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ocial responsibilit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lead a positive college life for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1 students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of a work nursing college located in G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5, 2022,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survey tools are social support, social responsibil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 total of 19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confirming the minimum number of subjects using G Power 3.1.2.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i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WIN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social support score was 4.34±0.66, Social responsibility score was 3.98±0.55,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core was 3.54±0.69.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ocial responsibility(r=.67, p<.001), Social support and College life Adjustment(r=.50, p<.001), Social responsibility and College life adaptation(r=.49, p<.001). In addi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College life Adjustment was 29%(F=38.39, p<.001), Social responsibility(β=.28, p<.001) Social support(β=.31, p<.001)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and social responsibility a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Nursing colleges should improve social support and social responsibility for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s and humanities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social responsibility.

      • KCI등재

        A Stud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re Competence according to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 Nursing Students

        Yoon-Jung Koo(구윤정),Tae-Sun Kim(김태선),Sun-Yeun Hong(홍선연)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7

        In this paper, we propos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re competence according to university admission types. Research subjects were 159 nursing students in G city.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Collegiate Students Essential Skills Assessment developed by the KW University. The 6 areas measured with the tool are: humanities, Humanism, self-directedness, creative competence, practice competence and global compete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18.0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e competence according to university admission type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university admission types.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core competece was not founded.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6 core competencies were found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serv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better university admission type.

      • KCI우수등재

        병원 교육전담간호사가 인지한 신규간호사 필수 간호술기와 실습 교육 개선방안

        권소희(So-Hi Kwon),김수현(Su Hyun Kim),정선영(Sun Young Jung),모문희(Moon Hee Mo),전영미(Young Mi Chun),홍선연(Sun Yeun Hong),이우숙(Woo Sook Lee),박주영(Juyoung Park),박지현(Jihyun Park),이현주(Hyoun Ju Lee),손정태(Jung Tae So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병원 교육전담간호사가 신규간호사 교육 경험을 통해 인지한 필수 간호술기와 간호학 실습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설문조사의 혼합연구방법을 이용하여 탐색하였다. 총 119개의 간호술기 중에서 교육전담간호사 전원이 매우 중요하다고 평가한 간호술기가 23개였다. 또한 교육전담간호사들은 신규간호사가 실무적응의 어려움을 보이는 원인을 무균술을 포함한 기본 원칙의 준수와 조작의 미숙, 대상자 상황 이해의 어려움, 낯선 상황에서의 미숙한 대처, 간호사로서 태도의 미흡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신규간호사의 임상실무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교육에서 간호전문직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사고력 증진 교육 강화와 더불어 임상실무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상 실습의 교육 체계 개선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임상의 요구와 대학의 현실을 반영하는 실습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essential nursing skills recognized by 6 clincal nurse educators through new graduate nurse education experiences and ways to improve nursing practice education using a mixture of focus group interviews and surveys. Of the total 119 nursing skills, 23 skills were evaluated as very important by all participants. In addition, clincal nurse educators pointed out that new graduate nurses fail to comply with basic principles such as the aseptic technique and that the manipulation of medical devices is immature. Clincal nurse educators recognized that new graduate nurses did not understand the patient’s situation well, that they were immature in dealing with unfamiliar situations, and that their attitude as a professional nurse was inappropriate.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l adaptability of new graduate nur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ducation system and develop programs for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a useful criterion for building practical content and methods of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