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teroid Hormone이 흰쥐 자궁의 Acetylcholine 및 칼슘함량에 미치는 영향

        홍석영 中央醫學社 1971 中央醫學 Vol.21 No.6

        The content of acetylcholine and calcium in rat uterus during normal estrous cycle was measured and the effect of steroid hormone was studied. During the normal estrous cycle, the content of calcium and acetylcholine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The content of acetylcholine in rat uterus showed some changes during estrous cycle, highest at diestrus and lowest at metestrus. The content of acetylcholine and calcium in rat uterus treated' with steroid hormon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gesterone treatment, there increased acetylcholine content and concomitant by increased in calcium content. In estrogen treated group, significant decrease of acetylcholine content was observed with decreased calcium content. It suggests that acetylcholine and calcium will influence on physiological phenomena during normal estrous cycle in uterus.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태도 관련 국내 과학교육연구동향 분석

        홍석영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9 현장과학교육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es that deal with attitudes in science education field using Text network analysis and to grasp the semantic structure of sub - keyword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2498 keywords included in 578 Korean academic papers which include attitudes to titles and keywords from 1997 to 2019.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attitudes up to now has mainly focused on the keywords such as scientific attitude, attitude toward science, science related attitude, which show strong links with keywords such as STEAM, inquiry ability, gifted students, and elementary students. Second, eight keywords related to attitude were identified, of which the study of scientific attitude was conducted in the most diverse areas. In addition, we found similarities in terms of scientific attitudes, attitudes toward science,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keywords that constitute a network of science attitudes. Third, the research topics related to attitude tend to change from the academic achievement to the behavioral ability, and study of teacher variables is diversifying.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a follow-up study on attitudes with varying meanings in science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과학교육분야에서 태도를 주제로 다루는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고 하위 키워드의 의미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7차 교육과정 고시 시기인 1997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제목이나 키워드에 태도를 포함하고 있는 국내 학술논문 578편에 포함되어 있는 2498개의 키워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도에 관한 연구는 주로 과학적 태도,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관련 태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융합인재교육, 과학 탐구능력, 과학영재, 초등학생 등의 키워드와 강한 링크가 나타난다. 둘째, 태도에 관련한 8개의 키워드가 확인 되었으며 그 중 과학적 태도에 대한 연구가 가장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 되었다. 또한 과학적 태도,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관련 태도, 과학 태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키워드 측면에서 유사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태도와 관련한 연구주제가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행동적 능력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교사 변인의 연구가 다양화 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는 태도에 관련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들뢰즈의 '되기' 운동으로 바라본 고등학생들의 천체 관측 활동 경험

        홍석영,곽영순,Seok-Young Hong,Youngsun Kwak 한국지구과학회 2024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5 No.2

        과학 실천은 학습 소재에 해당하는 대상이나 관찰과 측정을 위한 도구와 같은 '이질적인 것'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는 과정이다. 최근 전공 교과에 대한 과학 실천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천체 관측이라는 지구과학 교과의 특유한 과학 실천을 새롭게 들여다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천체 관측을 경험한 학생들과 수많은 물질들이 만들어 낸 의미를 '-되기'의 경험으로 바라보았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A고등학교의 천체 관측 활동에 참여하는 17명의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 일지, 사진 자료 등을 수집하고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상황 분석 방법을 재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학생들의 존재-인식론적 '-되기'의 과정으로 1) 반복을 통해 새로움을 발견하는 과정, 2) 천체 관측 활동의 정동을 전달하기 위한 '설명 기계'가 되어가는 과정, 3) 안정적인 영토를 벗어나 문턱을 넘는 과정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과학교육과 교육 연구를 위한 교사의 실천과 새로운 접근 방식에 대해 제언하였다. Science practice is a process of establishing new relationships with 'foreign things' such as learning objects or tools for observation and measurement. Since the practice of science in major subjects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we sou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co-created by students and numerous materials who have experienced astronomical observation as a Deleuzian experience of "becoming". We collected activity logs and photographic data written by 17 students participating in astronomical observation activities at "A" High School,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 assessed the collected data by reconstructing a situation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include the students' existential-epistemological 'becoming' process: 1) discovering newness through repetition, 2) becoming an 'explanation machine' to convey the affect of astronomical observation activities, 3) breaking out of a stabilized territory, and crossing a threshold.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on the practices and new experimental approaches of teachers in earth scien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미래사회 대비 지구과학교육의 방향과 지구과학과 핵심개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홍석영,곽영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에서 강조해야 할 지구과학교육의 방향과 지구과학과 핵심개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30-2040년의 미래사회의 사회・기술・경제・환경・정치(STEEP) 분야별 변화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지구과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핵심개념에 대하여 현직 지구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2건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여 각 미래사회 분야별 변화에 따른 지구과학교육의 방향성과 지구과학 교과의 핵심개념에 대한 응답 빈도와 비율을 살펴보았다. 또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응답에서 나타나는 구조적인 관계와 의미 지형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지구과학교육 방향 측면, 미래사회 지구과학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개념, 이러한 핵심개념을 강조해야 하는 이유 등으로 구분하여 지구과학교사들 인식과 요구를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지구과학 교사들은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지구과학교육 방향으로 친환경 및 지속가능발전 교육, 글로벌 디지털 소양 및 시민의식 교육, 과학소양 교육 등을 강조하였으며, 지구과학교육의 일반화된 지식뿐만 아니라 이러한 지식을 탐구하고 활용하는 과정・기능 측면의 교육내용도 강조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지향적인 지구과학교육의 방향성과 핵심개념, 그리고 후속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