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용자 경험 중심 Touch Control Panel 디자인 연구 : Smart Appliance 를 중심으로

        홍지영(Jiyoung Hong),홍사윤(Sayoon Hong),이주환(Juhwan Lee),김윤지(Yunji Kim),최진해(Jinhae Choi)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최근 스마트 가전이 가전 업계의 중심 화두로 등장하면서 스마트 기능이 들어간 냉장고나 세탁기에 터치스크린이 탑재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다양한 기능을 넣고 업데이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기존 제품에서 익숙한 물리적 조작감이 없다는 점이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에서 조작감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존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 연구에서는 구현측면에 집중하는데 그쳐 충분한 사용자 경험을 제고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치 스크린 조작시 오류를 줄이고 조작감에 대한 감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두 단계의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였는데, 첫째, 기본 컨트롤러 패널에 대한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조작행위에 따른 컨트롤러의 선호요인을 추출하였고, 둘째, 다양한 가격대와 조작부 느낌을 가지고 있는 제품들을 시료로 한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해서 고품격 촉각 영역을 도출하였다. Recently, Smart appliance is become the main topoic of home appliance business, many kind of smart functions are installed for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with touch screen. Touch screen has good for using various function and updating, but it has possibility of occurring user's mistakes because of absence of haptic feedback. Current haptic feedback studies focus implementation only, so they cannot deliver enough experiences to users with haptic technology. This research contains a couple of user studies. First, we induce favoring factors of controllers according to operation activity from user interview for basic controller panel. Second, we find high-prestage area of haptic-feeling from the blind test of prducts that have various prices and feeling of operation panels.

      • Operation Command에 따른 스마트 TV 입력방식 연구

        조성일(Sungil Cho),홍사윤(Sayoon Hong),홍지영(Jiyoung Hong),양경인(Kyungin Yang),장구앙(Jay Jang),최진해(Jinhae Choi)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스마트 TV 는 풍부한 컨텐츠의 소비,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TV 에서 사용되었던 버튼 입력방식만으로는 풍부한 사용자경험을 충족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TV 사용에 있어 Operation Command 별로 적절한 입력방식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 하에 사용자 Core Control Scene 을 정의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TV 입력방식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순간적인 일회성 Command 에 해당하는 전원, 취소, 메뉴실행, 순간저장과 예외적인 성격을 갖는 볼륨은 버튼 입력방식이 사용이 편리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연속성 Command 에 해당하는 스크롤, 채널, 줌, 지정, 입력은 제스쳐 입력방식이 편리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물은 인터랙티브한 스마트 TV 에 활용되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입력장치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Conventional button input method for TV that has been used for many years is not able to provide abundant user experience since Smart TV requires use of various contents and services. Hence, this study is postulated on that appropriate input method exists for each operation command for Smart TV and suggests user centered Smart TV input method by defining and experimenting Core Control Scene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button input is proved to be convenient for onetime commands including power on/off, cancel, menu, capture and volume up/down whereas gesture input is proved to be convenient for continual commands such as scroll, channel, zoom, pointing and writing/drawing.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interactive Smart TV along with optimized input method.

      • 입력기기에 따른 자연적 인터랙션방식 연구

        양경인(Kyungin Yang),홍사윤(Sayoon Hong),홍지영(Jiyoung Hong),조성일(Sungil Cho),Jay Jang,최진해(Jinhae Choi)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스마트TV의 컨트롤에 있어 아직까지는 통일된 양식이나 관습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제조사 마다 또는 동일 제조사 내의 모델 마다 상이한 컨트롤 방식의 학습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TV 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 및 서비스를 이용할 때 기기의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cognitive burden)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인터랙션 방식이 컨트롤러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다를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다양한 매개를 이용하여 어떤 대상을 컨트롤 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중심의 자연스러운 명령 입력(command input)행동을 관찰한 결과 사용자의 행동을 '형태'와 '의도/목적'에 따른 두 가지 분류 기준에 의하여 유형화 할 수 있었고 입력기기에 관계없이 판토마이믹(pantomimic)한 성격의 행동을 주로 한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사용자가, 기대하는 결과의 움직임을 직접 재현하려는 경향성으로, 향후 맨손 인터랙션 개발의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다. Regarding Smart TV control, no unified or common form has been developed requiring users to learn each control method even for different TV models of the same manufacturer. This research is postulated on that the interaction methods to minimize users' cognitive burden when using diverse contents and services via Smart TV would depend on controller types. As a result of controlling behavior observation related to command input, users' behavior was able to be classified based on the criteria of 'behavior' and 'intent/objective.' The key finding is that pantomimic gesture was the common type regardless of input devices as for "intent/objective" criteria. Users tend to show metaphoric actions for expected results and such finding can be served as basis for bare-hand interaction development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특정경제범죄법상 취업제한제도의 형벌로서의 법적 성격의 규명

        김정환(Kim, Jong-Hwan),홍사윤(Hong, Sayoon) 한국형사정책학회 2020 刑事政策 Vol.32 No.3

        특정경제범죄법상 취업제한제도의 법적 성격을 형벌로 볼 것인지 보안처분으로 볼것인지는 해석론상 중요하다. 특정경제범죄법상 취업제한제도가 보안처분으로 이해된다면, 재범의 위험성에 대한 법원의 판단 없이 필요적으로 취업제한을 부과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특정경제범죄법 제14조는 위헌의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경제범죄법상 취업제한의 법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 첫째, 특정경제범죄법의 취업제한의 제·개정 흐름을 중요하게 살펴보았다. 특히 취업제한제도가 전례 없는 제도였던 만큼 제정 당시 입법자의 목표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취업제한은 일반예방의 목표를 강하게 띤 ‘형벌’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있었다. 둘째, 취업제한제도의 필요성과 위헌여부를 검토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취업제한제도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제범죄의 특성에 주목하였다. 경제범죄는 이익추구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형사제재만으로는 고도화·조직화되어가는 대형경제범죄를 막기 어렵다. 특정경제사범의 직업활동을 추가적으로 제한하지 않는 이상 재범은 물론 일반예방의 목표를 달성하기도 어렵다. 셋째, 취업제한의 위헌성을 검토했는데 취업제한제도의 도입 자체만으로 직업선택의 자유가 부당하게 침해된다고 보긴 어렵다. 특정경제범죄법의 입법취지, 경제범죄의 특성, 그리고 법률규정의 기술 형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특정경제범죄법상 취업제한제도는 형벌 중 자격정지형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 나아가 직업금지제도를 두고 있는 독일과 비교하였을 때, 취업제한제도는 현행법 그대로 자유형 등에 필요적으로 병과되는 자격정지형으로서 유지되는것이 타당하다. 다만 형벌로 규정된 특정경제범죄법의 취업제한을 안정적으로 유지· 운용하기 위해서는 특정경제사범 관리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법적 근거를 법률 또는시행령에 마련해야 하고, 관리위원회를 취업승인에 대한 ‘심의·의결’기구로서 기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고, 취업승인의 취소가능성을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Legislated in 1983 as Provision 14 of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etc. of Specific Economic Crime (also known as Specific Economic Crime Act), employment restriction has not been put to use for more than 35 years. In efforts to reduce large-scale, sophisticated financial crimes, the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measures to revitalize employment restriction. Revision of relevant provisions was made to expand the types of companies of which employment will be restricted. Specific Economic Offense Control Committee (SEOCC) has been set up on November, 2019 in order to deliberate and reauthorize the employment of offenders. Despite the media attention the revision has generated, employment restriction imposed on financial criminals has not been discussed in depth compared to other frequently mentioned laws such as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Against Sex Offens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financial crimes are different from other crimes such as sex offense in that ‘economic profit’ is what motivates offenders. Conventional punishments such as monetary fine are insufficient for preventing financial crime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profits gained from these crimes are usually much larger than the fine itself. Employment restriction can be more effective since criminals are forbidden from exercising their freedom of occupation altogether. Some critics argue that employment restrictions unfairly infringe people’s freedom to choose their own jobs. This criticism is without merit, however, since all criminal punishment impinge upon offender’s basic rights one way or the other. Employment restriction is justified because it is a punishment proportionate to the offender’s guilt. The focal poin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gal nature of employment restriction in Specific Economic Crime Act. Beside the fact that employment restriction can be imposed without the Court’s decision (unlike ‘security measures’), legislative intent should also be referred to. The legislators of the 11th National Assembly clearly intended to design employment restriction as criminal punishment, citing “general prevention” (opposed to “special prevention”) as the main reason for legislation. Employment restriction should be understood as criminal punishment and should be kept this way. Altering it into security measure by conferring the right to decide the duration of the restriction to the Court will only exacerbate the Court’s heavy workload. Consequently, the Court may refrain from imposing employment restriction as is the case of Germany. If an individual wishes to shorten the restriction period, he or she can always apply for reauthorization (simlar to a ‘parole’). In this case SEOCC, not the Minister of Justice, should have full authority on deliberating and approving financial criminals’ applications. Also, the role and authority of SEOCC should be clearly stipulated in Specific Economic Crime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