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천유출수를 고려한 광양만과 진주만의 해수교환 특성

        홍도웅,김종규,곽인실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2

        At the center of the Noryang waterway, the Gwangyang bay area (including the Yeosu Strait) is located at the west, and the Jinju bay area (including Gangjin bay and Sacheon bay) is located at the east. Freshwater from several rivers is flowing into the study area. In particula,r the event of flood, great quantities freshwater flow from Seomjingang (Seomjin river) into the Gwangyang bay area and from Gahwacheon (discharge from Namgang Dam) into the Jinju bay. The Gwangyang and Jinju bay are connected to the Noryang waterway. In addition, freshwater from Seomjingang and Gahwacheon also affect through the Noryang waterway. In this study, we elucid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dal exchange rate and residence time for dry season and flood season on 50 frequency, considering freshwater from 51 rivers, including Seomjingang and Gahwacheon, using a particle tracking method. We conducted additional experiments to determine the effect of freshwater from Seomjingang and Gahwacheon during flooding. In both the dry season and flood seas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rticles released from the Gwangyang bay moved to the Jinju bay through the Noryang waterway. However, comparatively small amount of particles moved from the Jinju bay to the Gwangyang bay. Each experimental case, the sea exchange rate was 44.40~67.21% in the Gwangyang bay and 50.37~73.10% in the Jinju bay, and the average residence time was 7.07~15.36days in the Gwangyang bay and 6.45~12.75days in the Jinju bay. Consequently the sea exchange rate increased and the residence time decreased during flooding. A calculation of cross-section water flux over 30 days for 7 internal and 5 external areas, indicated that the main essential flow direction of the water flux was the river outflow water from Seomjingang flow through the Yeosu strait to the outer sea and from Gahwacheon flow through Sacheon bay, Jinju bay and the Daebang waterway to the outer sea. 연구대상 해역은 노량수로를 중심으로 서측에 광양만 권역(여수해협 포함), 동측에 진주만 권역(강진만, 사천만 포함)이 위치하고, 연구대상 해역에 위치한 여러 하천에서 유출되는 유출수가 이들 만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특히 홍수시에는 광양만 권역은 섬진강의 하천유출수가, 진주만 권역은 가화천(남강댐 방류)의 하천유출수가 대량으로 유입되고 있다. 광양만 권역과 진주만 권역은 노량수로라는 협수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섬진강과 가화천의 하천유출수 또한 노량수로를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 연구대상 해역에 위치한 섬진강과 가화천을 포함한 51개 하천의 하천유출수로 인한 평수시와 50년빈도 홍수시의 해수교환율, 체류시간 특성을 입자추적 실험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홍수시 섬진강과 가화천의 하천유출수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수치실험 결과, 평수시와 홍수시 모두 광양만 권역에 투하한 입자는 노량수로를 통해 진주만 권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량수로를 통해 진주만 권역에서 광양만 권역으로 이동하는 입자는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후 각 실험안별 해수교환율은 광양만 권역은 44.40~67.21%로 나타났고, 진주만 권역은 각각 50.37~73.10%로 나타났고, 각 실험안별 평균 체류시간은 광양만 권역은 7.07~15.36일로 나타났고, 진주만 권역은 6.45~12.75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홍수시에 해수교환을은 증가하고, 체류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양만과 진주만 권역에서의 해수순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두 폐쇄성 해역에 대해서 7개 내부 영역과 5개 외부 영역에 대한 30일 동안의 단면유량 flux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평수시와 홍수시 모두 전반적으로 광양만 권역에서 진주만 권역으로 유량 flux가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시 유량을 적용할 경우 연구대상 해역의 유량 flux의 주 흐름 경로는 섬진강 하천유출수가 여수해협을 거쳐 외해로 이동하는 흐름과 가화천 하천유출수가 사천만, 진주만, 대방수로를 거쳐 외해로 이동하는 흐름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동해 남동해역 해양투기물질의 확산 특성

        홍도웅(DO-UNG HONG),김종규(JONG-KYU KIM),류청로(CHEONG-RO RYU) 한국해양공학회 2002 韓國海洋工學會誌 Vol.16 No.1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an ocean dumping material in the south-eastern East/Japan Sea related to regul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with the observation and the hydraulic experiment are investiga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br/> (1) Spying CTD observation result of the area of Jung in the East/Japan Sea, the ocean dumping area had influenced the Tsushima Warm Current of high temperature and salinity. Horizontal turbulent diffusivity is 1.913×10<SUP>7</SUP> ㎠/sec by drogue tracking.<br/> (2) From the experiment of settling, the initial settling velocity of each material is 1.0~2.7 ㎝/sec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vity and initial concentration. In the pycnocline, particles didn't settle under the pycnocline any more and accumulated. It is signified that calculation of the sedimentation rate of the ocean dumping material including of vertical diffusion must be regard the pycnocline in the ocean area have well-developed pycnocline.<br/> (3)Vertical turbulent diffusivity were 2.219×10<SUP>-8</SUP>~8.874×10<SUP>-4</SUP> ㎠/sec from the experiment of settling. And, the pycnocline influenced the vertical turbulent diffusivity.

      •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조류 포자 확산모델링

        조재권,임영수,홍도웅,김종규,Cho, Jae-Kweon,Lim, Young-Soo,Hong, Do-Ung,Kim, Jong-Kyu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2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15 No.1

        전남 거문도 바다숲 조성용 시설물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하여 수치실험을 통하여 바다숲 조성해역의 조석류에 의한 해수유동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해수유동을 바탕으로 하여 바다숲 조성해역 인근에 위치한 자연적인 해중림에서 발생한 해조류 포자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자추적실험 및 부유사 농도변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에 사용된 수치모형은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를 사용하였으며, 연직방향으로 총 10개층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수유동패턴은 대상해역 바깥쪽의 주류에 비해 방파제의 역할을 하는 밖노루섬으로 인해 흐름이 약하고, 잔차류를 분석한 결과 주로 북서방향의 흐름이 형성되나 크기는 미약하였다. 인근에 위치한 자연 해중림은 크게 2곳으로, 이들 해역에 투하한 해조류 포자는 투하한 후 30시간이 경과하면 대부분 해저면에 안착하였다. 포자는 대상 해역의 미약한 흐름에 의해 발생지역에 대부분 안착하였다. 바람조건을 적용한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포자가 남동쪽으로 좀 더 이동하여 안착하나 그 차이는 미미하였다. 부유사 실험결과 부유사 농도는 조시별로 흐름에 따라 농도가 변화하며 표층보다 저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바다숲 조성용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arrange effectively artificial reefs for marine afforestation, tidal currents were analyzed by numerical experiments, and particle tracking based upon tidal currents were carried out to clarify the path of algae spor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and water column was vertically divided 10 layers. Tidal current patterns showed to be affected by main current at outside of study area, and circle currents of two were observed from analysis of residual currents. Particle tracking were experimented for 15 days at 2 installation places in which artificial reefs for marine afforestation would be deploy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article tracking experiment, particle movement at St.1 showed belt type along coastal line, and St.2 showed ellipse type at 300~500 m distant from coastal line. It suggest that artificial reefs for marine afforestation should be installed belt zone at station of St.1 and ellipse zone at St.2. Modelling algae transport was also tested to account for local dispersion of algae spore due to the suspended materials.

      • 급변 수심 해역의 해수유동 및 수온 변화에 대한 수치모의-키리바시 해역

        전용호(Yongho Jeon),홍도웅(Dowoong Hong),김현주(Hyunjoo Kim),김종규(Jonggyu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키리바시는 태평양 중부에 위치해 있으며, 수심이 10~4000 m의 급경사를 이룬다. 키리바시 주변해역은 대조차가 약 170 cm이며, 조류는 10 cm/s, 하계 표층수온이 약 19 ℃이다. σ-좌표계의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EFDC) 수치모의시 동일 수층에서 수온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직 레이어링을 Sigma Stretch(SIG)와 Sigma Zed(SGZ)로 수행하였다. SIG 접근법에서 모델 도메인은 다양한 깊이를 계산하기 위해, 층의 두께는 셀마다 다르지만 각 층에 대한 층 수 및 깊이의 비율은 일정하다. SGZ 모델에서는 레이어 수는 모델 도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도록 수직 레이어링 체계를 수정하였다. SIG 접근법은 밀도 기울기 항에서 압력 구배 오차가 발생하는데, 수치실험 결과에서 수평 압력 구배 오차에 대한 해수유동 및 수온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Kiribati is located in the central Pacific Ocean, with 10m to 4000m in depth, and bathymetry has a steep slope. The spring tidal range is about 170 cm, the tidal current is around 10 cm/s, and the surface temperature in the summer is about 19 ℃. In numerical experiment using the σ-coordiante system in EFDC (Environment Fluid Dynamic Cod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ater temperature difference was large in the same layer of the coast and the open sea. So vertical layering was performed with Sigma Stretch (SIG) and Sigma Zed (SGZ). In the SIG approach, the model domains calculate the various depths, the thickness of the layers varies from cell to cell, but the ratio of the number of layers and the depth for each layer is constant. In the SGZ model, the vertical layering scheme is modified so that the number of layers can vary depending on the model domain. In the SIG approach, the pressure gradient error occurs in the density gradient term, and the numerical experiment results compare the changes in current and temperature for the pressure gradient err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