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30년대 문학・문화 담론에 나타난 가속화와 템포의 문제

        홍덕구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1

        이 글의 목적은 1920, 30년대 식민지 조선의 공론장에서 사용된 ‘템포’라는 용어가 음악 용어에서 기술적 속도에 힘입은 사회적 시간의 가속화 현상을 지칭하는 사회과학적 용어로, 나아가 문학과 예술의 창작 원리이자 비평 용어로 전유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템포 담론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살피는 것이다. 본래 악곡의 빠르기를 지칭하는 음악 용어인 템포는 식민지 조선의 공론장에서 192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템포는 곧 속도를 지칭하였고, 사회주의 이데올로그들은 이 용어를 유물변증법적 역사발전의 속도를 수식하기 위해 전유하였다. 현대사회의 속도에 동조할 수 없었던 룸펜 청년들은 현대적 템포를 동경과 욕망의 대상으로 삼기도 했다. 기술적 영역에서 가속화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분야는 이동과 교통이었다. 당대의 많은 문학·문화텍스트들이 ‘자동차’로 표상되는 현대사회의 빠른 템포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건 사고의 문제를 재현하고 있다. 한편 1930년대 초, 템포는 신문연재소설의 통속성을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1930년대 중반 이후 현대소설이 갖춰야 하는 필수적 요소이자 미덕으로 의미화되었다. 이러한 템포의 문학·문화담론은 테크놀로지에 의한 인간 소외라는 전통적 비판론을 넘어, 역사의 시간이 정지한 식민지 후기를 살아갔던 식민지인들의 좌절과 열망이라는 시각에서 재고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the term ‘tempo’, as used in the public sphere of colonial Korea in the 1920s and 30s, was appropriated from a musical term to a social science term referring to the acceleration of social time due to technological speed, as well as a creative principle and critical term in literature and art, and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discourse of tempo. Originally a musical term referring to the speed of a piece of music, tempo began to be used in public discourse in colonial Korea in the late 1920s. Tempo soon came to refer to speed, and socialist ideologues appropriated the term to formulate the speed of materialistic historical development. Unable to keep up with the pace of the modern world, the young men of Lumpenproletariats became objects of admiration and desire for the modern tempo. In the technological realm, acceleration was most prominently manifested in movement and transportation. Many literary and cultural texts of the period reproducing the fast pace of modern society and the problems of accidents caused by it, represented by the automobile. Meanwhile, in the early 1930s, tempo was used as a term to designate the generality of newspaper serialized fiction, but after the mid-1930s, it became an essential element and virtue of modern fiction. These literary and cultural discourses of tempo should be re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rustrations and aspirations of the colonial people who lived in the late colonial period, when the time of history was frozen, beyond the traditional criticism of human alienation by technology.

      • KCI등재

        이광수의 코닥(Kodak), 김남천의 콘탁스(Contax) - ‘사실의 세기’와 ‘재현의 전략’

        홍덕구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5 No.-

        Since the introduction of modern photography, photography has spread rapidly due to its unique ‘perfect reproducibility’ and has replaced the functions of portraits, in particular. However, this “perfect reproducibility” has become a stumbling block to attempts to bring photography to the next level of ‘art’ or ‘science.’ In the late 1930s, photographs are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in literary debates surrounding ‘The Novel of Manners’ and ‘The Popular Literature.’ When Choi Jae-seo raise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realism through “Camera-eye”, social critics such as Han Hyo and Lim Hwa refuted as saying, “Photography is not realism”. There are two contrasting attitudes to photography’s political and sociocultural possibilities:the expectation that the unique visuality provided by photography will reveal the “truth” of the world that is not captured by ordinary eyes, and the attitude of treating photography as a mere imitation of the “reality”. So how does ‘photo’ and ‘camera’ actually work within the literature text released at that time? The paper analyzed the functions of ‘photo’ and ‘camera’ within the literary texts, focusing on two novels, The opposite of lust(1936) and Aquariums of love(1939∼1940) In case of The opposite of lust, the brand “Kodak” is the representative brand of the camera, and Aquariums of love is bringing “Contax”. While Kodak, a U.S.-based manufacturer, led the popularization of photographs with relatively low prices and easy use, the German maker, Contax, was a company that targeted the press photo market with the same strategy of miniaturization and high performance. The characteristics of such camera models are related to literature by two writers, Yi Kwang-soo and Kim Nam-cheon, and even to the attitude of facing the times. If “easily anyone” was Kodak and Yi Kwang-soo’s strategy of representation, “a professional reproduction of the customs” was the strategy of Kim Nam-cheon, and Contax. 근대적 사진술이 수입된 이후, 사진은 그 특유의 ‘완벽한 재현성’ 때문에 급속도로 확산되었으며 특히 초상화의 기능을 빠르게 대체해 나갔다. 그러나 사진술을 ‘예술’이나 ‘학술’의 차원으로 끌어올리고자 하는 시도에 있어서는 이러한 ‘완벽한 재현성’이 도리어 걸림돌이 되기도 했다. 1930년대 후반, ‘세태소설’이나 ‘대중문학’을 둘러싼 문학적 논쟁들에서 사진은 논쟁의 중심에 놓인다. 박태원의 「천변풍경」(1936)에 대해서 최재서가 ‘카메라-아이’를 통한 리얼리즘의 확장 가능성을 제기하자, 한효나 임화와 같은 사회주의 비평가들이 ‘사진기적 재현은 리얼리즘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던 것이다. 이 지점에서 사진의 정치적이고 사회문화적인 가능성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태도를 볼 수 있는데, 하나는 사진술이 제공하는 특유의 시각성(visuality)이 일상적인 시선으로는 포착 불가능한 세계의 ‘진실’을 드러낼 것이라는 기대이고, 다른 하나는 사진술을 ‘리얼리티’에 미달하는 단순한 모방 행위로 간주하는 태도이다. 그렇다면 해당 시기에 발표된 문학 텍스트 내에서 ‘사진’ 그리고 ‘사진기(카메라)’는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고 있을까? 본고에서는 이광수의 『애욕의 피안』(1936), 그리고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1939∼1940)이라는 두 편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작중에서 ‘사진’과 ‘카메라’가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광수의 경우 ‘카메라’의 대표격으로 ‘코닥(Kodak)’이라는 브랜드를 차용하고 있고, 김남천은 ‘콘탁스(Contax)’를 가져오고 있다. 미국계 제조사인 코닥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과 손쉬운 사용방법을 앞세워 사진의 대중화를 주도했던 회사인 반면, 독일계 메이커인 콘탁스는 같은 소형화, 고성능화 전략으로 보도사진 시장을 공략했던 회사였다. 이와 같은 카메라 기종의 특성은 이광수와 김남천이라는 두 작가가 문학을, 나아가 시대를 맞대하는 태도와도 유비관계를 갖는다. ‘누구나 손쉽게’가 코닥-이광수의 지향이었다면, ‘전문적으로 풍속을 재현하는 것’이 콘탁스-김남천의 지향점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염상섭 『이심』 다시 읽기 : 도시공간에서의 매춘 문제를 중심으로

        홍덕구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2 No.-

        A prostitution is one of the regular theme for korean modern novels. A prostitution, prostitutes, licensed prostitution quarters which described in colonial age(1919~1945) novels were representing a reality that licensed prostitutions were existed and unlicensed prostitutions were prevailed in colonial Korea. A purpose of this paper is make an analyze of Yom sang-sup(廉想涉)'s novel Yi-sim(double heartedness) spatially, which published in 1928. In this novel, Park chun-kyung became a paramour of japanese man because of she banished from korean society of Kyongsung(Seoul's old name) by sexual scandals. Since then, places she located in the novel were divided into two areas, '北村(northen Kyongsung)' and '南村(southen Kyongsung)'. '北村' was an area for koreans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s. '南村' was an area for japanese colonists and consumption cultures. This dividing shows a dissociation of her internal self-consciousness between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nd modern consumption cultures. Yi chang-ho, who is Park chun-kyung's husband were branded as a socialist in the novel. But as a matter of fact, he is a character who internalized bourgeois cultures. He located at the police jail and the prison mostly. He is a character who entrusted his revenge upon dissipates of his wife to colonial authorities. At the end of the story, Park chun-kyung and Yi chang-ho who are main characters of the novel were exiled from the central area of Kyongsung to borders of the city. It means that Kyungsung, the old capital of Korea was changing into the cruel modern city that tolerates disturbing elements no more. 매춘은 한국 근대소설의 단골 제재이다. 식민지시기 소설에는 매춘업, 매춘부, 유곽 등이 빈번하게 등장하는데, 이는 공창제도가 존재하고 사창이 번창했던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도시공간과 매춘의 문제를 중심으로 1928년에 발표된 염상섭의 장편소설 『이심』을 분석하였다. 유산계급 출신 여성인 『이심』의 박춘경은 추문으로 인해 경성의 조선인 사회로부터 추방되어 일본인의 정부(情婦)가 되었다. 이후 작중에서 춘경이 위치하는 장소들은 조선인의 공간인 북촌과 일본인의 공간이자 소비문화의 공간인 남촌으로 분할되는데, 이는 그녀의 분열된 내면이 반영된 것이다. 춘경의 남편 이창호는 ‘사회주의자’라는 레테르를 달고 있지만, 사실 부르주아 교양주의를 내면화하고 있는 인물이다. 작중에서 창호는 주로 경찰서 유치장과 형무소에 위치하며, 아내의 부정에 대한 복수를 사적 차원이 아닌 식민권력에 위임하는 모습을 보인다. 작품의 결말에서 춘경과 창호라는 두 인물은 모두 경성 시가의 변두리로 밀려나는데, 이는 경성이라는 도시가 불온한 것들을 용납하지 않는 냉혹한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두 몸, 두 여성, 두 과학: 채만식의 ‘춘원이즘’과 이광수-탁류와 사랑을 중심으로

        홍덕구 춘원연구학회 2024 춘원연구학보 Vol.0 No.28

        이광수가 주재한 『조선문단』을 통해 데뷔한 채만식은 사회주의 문학 진영과 부르주아 민족주의 문학 진영 양쪽 모두에 대해 비판의식을 갖고 있었다. 그는 자신을 소브르주아 작가로 규정한 카프 문학을 이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었다고 비판하였고, 이광수로 대표되는 민족주의 문학에 대해서도 시대에 뒤쳐졌다 평하였다. 채만식은 이광수 문학의 인도주의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춘원이즘’이라 규정하고 이를 이광수 문학의 핵심 요소로 논하면서도, 과도한 이데올로기 주입을 위해 주인공들의 인간성을 배제하였음을 비판하였다. 채만식은 자신의 문학적 세계관에 물질이 정신을 결정한다는 과학적 사유를 받아들이면서도 휴머니즘적 인간 구원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는 『탁류』(1937)에서 여성 주인공 초봉의 몰락을 골상학적 필연으로 서술하면서도, 결말에서 구원의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이광수는 『사랑』(1938)에서 근대 과학과 의학을 소설의 제재로 적극 차용하면서도 정신이 물질적 조건을 지배한다는 전통적 인간 이해를 재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근대문학이 인간의 운명과 사회구조를 다루기 위한 틀로서 과학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형성된 두 경향을 보여준다. Chae Man-sik, who made his debut through Joseon-Mundan(朝鮮文壇) , presided over by Yi Gwang-soo, was critical of both the socialist and bourgeois nationalist literary groups. He criticized KAPF's literature, which identified him as a petit-bourgeois writer, for being too theoretical, and nationalist literature, represented by Yi Gwang-soo, for being outdated. Chae Man-sik identified the humanitarian and nationalist ideology of Yi Gwang-soo's literature as 'Chun-yuanism(春園ism)' and discussed it as a core element of Yi Gwang-soo's literature, but criticized him for excluding the humanity of the protagonists in favor of excessive ideological instillation. Chae Man-sik embraced the scientific idea that matter determines spirit in his literary worldview, but left open the possibility of humanistic human redemption. This can be seen in Tak-Ryu(濁流)(1937), in which Cho-bong, the female protagonist, describes her downfall as Phrenological inevitability, but leaves open the possibility of redemption in the ending. In Sa-rang(1938), on the other hand, Yi Gwang-soo actively borrows from modern science and medicine as a sanction for his novel, while reproducing the traditional human understanding that the spirit dominates the material. These differences reveal two tendencies that were shaped by modern literature's acceptance of science as a framework for addressing human destiny and social structure.

      • KCI등재후보

        ‘삼국지’와 제국 일본의 기획-식민지시기의 ‘삼국지’에 투사된 제국 일본의 담론들-

        홍덕구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일본학 Vol.33 No.-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written by Luo Guanzhong(羅貫中) in the 14th century, is a Chinese historical novel. In Korea, this novel is widely read as a book teaching the rules of everyday practical life. Although we usually take it for granted that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shows the way of conduct of life, such recognition has been accepted since the period of general mobilization. During the period of general mobilizatio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Japan and Korea. It means that we need to deal with various versions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frame of its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Whe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in the 1920s, it was frequently used to represent premodern images of China in magazines and newspapers. Even some versions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ent along with discourses of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大東亞共榮圈). This suggests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contemporary discourses could be projected into the narration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Thus, this study regards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especially which was translated during the period of general mobilization, as a meaningful text.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could be considered the indicator of sociocultural discourses in the period of general mobilization (1937~1945).

      • KCI등재

        금비(金肥), 퇴비(堆肥), 녹비(綠肥)-식민지시기 비료 담론의 과학적/사회경제학적/생태학적 전회

        홍덕구 상허학회 2023 상허학보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aspects of scientific, socio-economic, and ecological preoccupations in colonial fertilizer discourse and, in doing so, to reveal whether or not a school of thought or discourse existed during this period that could be considered one of the origins of modern ecologism. The term “gold fertilizer(金肥)” usually refers to chemical fertilizers. At the time, chemical fertilizers were touted as the most scientific and efficient fertilizers. However, they were expensive to buy, so peasants could not easily use them, even though they envied their productivity- enhancing effects. It was also known that chemical fertilizers ruined the soil if abused or used for a long time. One biologist even claimed that chemical fertilizers were an ecological disaster because they wiped out the frogs that lived in the rice paddies, allowing the pest rice grasshopper to flourish. In this context, chemical fertilizers has been compared to opium, which ruins the land. Meanwhile, compost and green manure were promoted as alternatives or complements to manure. However, as long as the reality of agriculture was distorted under the imperial-colonial system, no fertilizer could truly improve the lives of peasants. The colonial discourse of fertilizer, with its scientific, socio-economic, and ecological turns, reveals the various ways in which modern science was implemented in colonial Korea, along with it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이 논문의 목적은 식민지시기 비료 담론에 나타난 과학적, 사회경제학적, 생태학적 전회의 양상들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현대 생태주의의 한 기원이라고 할 만한 사유 또는 담론이 이 시기에 존재했는지 여부를 밝히는 것이다. ‘금비(金肥)’는 통상 화학비료를 지칭한다. 당시 화학비료는 가장 과학적이며 효율적인 비료로 선전되었다. 그러나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구입해야 했으므로 농민들은 화학비료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선망하면서도 쉽게 사용하지 못했다. 또한 화학비료를 남용하거나 장기간 사용하면 토질을 망친다는 사실 또한 알려져 있었다. 한 생물학자는 화학비료가 논에 서식하는 개구리류를 절멸시킴으로써 해충인 벼메뚜기가 창궐하게 하는 생태학적 재해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금비는 땅을 망치는 아편에 비유되기도 하였다. 한편 금비의 대체재 또는 보완재로 퇴비(堆肥)와 녹비(綠肥)가 장려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제국—식민지 체제 하에서 농업의 현실이 왜곡되어 있는 한, 어떤 비료도 농민들의 생활을 진정으로 나아지게 하지는 못하였다. 과학적, 사회경제학적, 생태학적으로 전회(轉回)하는 식민지시기의 비료 담론은 근대 과학이 식민지 조선에서 구현되었던 다양한 양상들, 그리고 한계와 가능성을 함께 보여주었다.

      • KCI등재

        정지용의 ‘자동차(automobile)’ 테크놀로지 체험과 문학적 재현: 「유선애상」을 중심으로

        홍덕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2 한국문학연구 Vol.- No.69

        The poem “Yoo Seon Ae Sang (流線哀傷)” published in 1936 by Jeong Ji-yong has been regarded as a difficult poem. Starting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revealed that this poem deals with the subject of ‘automobile’,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he poem as the text of the “era of speed.” The poet's interest in technology and machinery is well expressed in the writings left by Jeong Ji-yong. In this context, the poem can also be viewed as a work that expresses the poet's fascination with the modern technology/ machine of automobiles. The poet was always fascinated by the streamlined automobile, a modern newspaper, and the speed it produced, and decided to rent a car and run along the Gyeongchun Road (京春街道) at an opportunity. However, the drive that the poet had expected fell far short of expectations due to the traffic congestion in the city center and the roughness of the Gyeongchun Road. The “modern speed,” which the poet aspired to, was possible only when all the mechanical and technical conditions of the latest streamlined cars and asphalt roads were met, and the conditions were very limited in colonial Korea. This “restrictive condition” itself can be newly read as a text suggesting that it was a material condition of the world that modern Korean literature wanted to reproduce. 정지용이 1936년에 발표한 시 「유선애상」은 난해시로 여겨져 왔다. 본 연구는 이 시가 ‘자동차’라는 소재를 다루고 있음을 밝힌 선행연구들의 성과에서 출발해, ‘스피드 시대’의 텍스트로서 「유선애상」을 해석하려 한다. 정지용이 남긴 글들에는 기술, 기계에 대한 시인의 관심이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유선애상」 또한 자동차라는 근대적 기술/기계에 대한 시인의 매혹을 표현한 작품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시인은 평소 근대적 신문물인 유선형 자동차와 그것이 만들어내는 속도에 큰 매혹을 느끼고 있었고, 모종의 기회에 자동차를 빌려 와 경춘가도를 질주하기로 한다. 그러나 시인이 기대했던 드라이브는 도심의 교통정체와 경춘가도의 험난함으로 인해 기대에 크게 어긋났고, 시인은 멀미를 느낀 나머지 길가에 차를 세우고 바늘로 타이어를 터트리는 상상을 한다는 것이 이 시의 내용이다. 시인이 열망했던 ‘근대의 속도’는 최신식 유선형 자동차와 아스팔트 도로라는 기계적/기술적 조건이 모두 갖춰져야만 가능한 것이었고, 식민지 조선에서 그 조건은 대단히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이 ‘제한적 조건’자체가 한국 근대문학이 재현하고자 했던 세계의 물적 조건이었음 암시하는 텍스트로 「유선애상」을 새롭게 읽어낼 수 있다.

      • KCI등재

        현행 인문사회 학술정책에 대한 학문후속세대의 언어와 인식 -‘신 포도’, ‘탈(脫) 대학’, ‘해야만 하는 이야기’-

        홍덕구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language and percept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on the current academic policy of humanities and society. To this end,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for graduate students and the media contributions and sit-down articles of the authors belonging to the succeeding gener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keywords were derived: ‘sour grapes’, ‘de-university’, and ‘story to be told’. “New grapes” is a keyword that symbolizes a group of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who have been continuously alienated from academic policies and have not even recognized themselves as objects of the policy. The “de-university” contains a sense of problem to create a new academic field for humanities and society, away from the current university system that has various problems. Finally, ‘the story to be told’ is a keyword that implies the driving force of the subsequent generation of academics who continue their research despite poor treatment. These three keywords eventually result in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self-release through research’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through research,’ which paradoxically explains why humanities should exist in an era of “the extinction of local universities.” 이 논문의 목적은 현행 인문사회 학술정책에 대한 학문후속세대의 언어와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원생 대상 초점집단인터뷰(FGI)와 학문후속세대에 속하는 필자들의 언론 기고문 및 좌담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 포도’, ‘탈 대학’, ‘해야만 하는 이야기’라는 세 개의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신 포도’는 학술정책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소외되어 자신을 그 정책 대상으로 인식조차 못 하게 된 일군의 학문후속세대를 상징하는 키워드이다. ‘탈 대학’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는 현행 대학 체제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인문사회 학술장을 만들자는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해야만 하는 이야기’는 열악한 처우에도 불구하고 연구를 지속해 나가는 학문후속세대의 동력을 함축하고 있는 키워드이다. 이 세 가지 키워드는 결국 ‘연구를 통한 자기 해방’ 및 ‘세상과 관계 맺기’라는 문제의식으로 귀결되며, 이는 ‘지역대학의 소멸’을 우려하는 시대에 역설적으로 인문학이 존재해야 하는 이유를 말해준다.

      • KCI등재후보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 다시 읽기 - 장소와 공간의 문제를 중심으로

        홍덕구 구보학회 2015 구보학보 Vol.0 No.13

        Kim, Nam-cheon(金南天)'s novel Sarang-eui sujokwan(The aquarium of love) has been defined as the realistic reflection of social conditions of terminal colonial ages of Korea(1937~1945). But the novel represented social conditions of those ages merely focusing on the world of rich, powerful, and Japanese collaborators. In the novel, short geographical distances between characters means their emotional intimacy. In case of Yi, Kyong-hui and Kim, Kwang-ho, when they fell off thousands of kilometers, their romantic relationship was worst. However, when they got engaged finally, geographical distances between them was the shortest. Also In the novel, poor people and their communities were only represented very restrictively. Poor characters desired to be a mainstream class, but they never achieved a goal. They only fall a victim to a risk of exploitation by a mainstream class. Yi, Kyong-hui's plan of establishing the child-care center was a part of expansionary policy for Japanese militarism and fascism actually, even though the plan was disguised as a non-political public welfare service. Sin-giljung, a town that decided as a location of the child-care center in the novel, was a part of sites that had been developed as ammunítion ìndustry districts by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in those ages. 김남천의 장편소설 『사랑의 수족관』은 식민지 말기의 세태를 핍진하게 담아낸 세태소설로 규정되어 왔다. 하지만 본고는 『사랑의 수족관』의 ‘세태성’이 사회 전체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 소설은 유산계급, 체제순응자들의 세계에 초점을 맞춰 당대 조선사회를 재현한다. 소설에서 지리적 거리는 곧 정서적 친밀성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경희와 김광호의 연애에서 지리적 거리가 멀어졌을 때 관계 또한 악화되었으며, 그들이 모든 장애를 극복하고 혼약을 맺었을 때, 지리적 거리는 가장 가까워졌다. 지리적 인접성에 기반한 주류계급의 카르텔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소설에서 무산계급, 노동자의 세계는 극히 제한적으로만 재현된다. 무산계급 인물은 신주사처럼 주류계급이 되기를 욕망하거나, 강현순처럼 주류계급에게 이용당하고 버려질 뿐이다. 이경희의 탁아소 건립 계획은 비정치적 사회사업으로 위장되지만, 실은 일본 군국주의의 팽창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탁아소가 입지한 신길정은 ‘경인일체’ 정책에 따라 군수공업지대로 개발되는 지역의 일부이다.

      • KCI등재

        청년운동이 말하는 ‘공정’과 ‘세대’ -2016년 이후 창립한 노동, 환경, 교육단체를 중심으로-

        홍덕구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 No.83

        Terms such as the ‘MZ generation’ and ‘YiDaenam (Korean twentysomething)’ define the trend of the current youth generation. However, these terms contain the problem that they are not the result of sociological observation of the conditions and the desires of the young generation, but are made as a result of marketing strategies or as a consequential phenomenon. Liberal intellectuals criticize that the sense of ‘fairness’ that the current young generation is aiming for will be transformed into a one-sided preference for ‘meritocracy’, thus functioning as a crisis factor for democracy. In order to examine how the values of ‘fairness’ and ‘meritocracy’ are actually used in the language of the youth movement, this paper has selected some of the youth organizations established after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in 2016 and examined the direction of each organization. The language problem that appeared in the declarations of foundation and the interviews with activists was analyzed. The languages used by the members of such organizations as youth workers’ groups from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Riders Union, and Fashion Assistant Union, manifested their strong desire to be recognized as a ‘citizen’ who receiv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rotection of the government. However, the process they are pursuing does not lead to meritocracy. Youth Emergency Climate Action and ‘Big Wave’ are the groups of young people aimed at responding to the crisis of climate changes. Although they recognized the climate crisis as a problem for the younger generation to deal with, they showed an attitude of understanding the cause as a complex combination of transnational capital and nationalism. Lastly, in the case of youth action for enacting anti-discrimination laws, they showed a language that implicitly advocates meritocracy while criticizing academic factionalism. This is attributed to the nature of the movement, which excludes partisan elements. ‘MZ세대’, ‘이대남’등의 용어가 지금의 청년세대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들은 청년세대의 조건과 욕망을 사회학적으로 관찰한결과가 아니라, 마케팅적으로 또는 결과론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진보 지식인들은 현재의 청년세대가 지향하는 ‘공정’의 감각이 ‘능력주의’에 대한 일방적 선호로 변질되어 민주주의의 위기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비판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정’과 ‘능력주의’라는 가치가 실제 청년운동의 언어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살피기 위해, 2016년 대통령 탄핵 이후 설립된 청년단체 중 몇몇 곳을 선정, 각 단체의 지향점을 엿볼 수 있는 창립선언문과 활동가 인터뷰 등에서 나타난 언어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특성화고 출신 청년노동자 단체, 라이더유니온, 패션어시유니온 등의 청년노동단체의 언어에서는 차별받고있다는 자의식과 국가의 법적 제도적 보호를 받는 ‘시민’으로 인정받고싶다는 욕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이 지향하는 공정은 능력주의로 연결되지 않는다. 청년긴급기후행동과 Big Wave는 청년들이 조직한기후위기 대응 모임이다. 이들의 경우 기후위기를 청년세대가 행동해야할 문제로 인식하면서도, 그 원인에 대해서는 초국가적 자본과 국가주의가 결합된 복잡한 것으로 파악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살펴본 차별금지법제정을 위한 청년액션의 경우 학벌주의를 비판하면서 은연중에 능력주의를 옹호하는 언어를 보여주었다. 이는 당사자성이 배제된운동의 성격에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