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자 노동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지역별 비교를 중심으로

        권혁창 ( Hyeokchang Kwon ),홍다영 ( Dayoung H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고령자 노동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지역을 중심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한국복지패널 7차 년도(2012)에 65-74세 1,262명을 12차 년도(2017)까지 추적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사회학적 변인, 신체 건강 변인, 정신건강 변인, 경제적 변인, 제도 변인을 통제했을 때, 고령자 노동과 삶의 만족도는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가로 지역을 통제했을 때, 고령자 노동과 삶의 만족도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지역을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지역별로 고령자 노동은 삶의 만족도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령자 고용정책은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적용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for the elderly in Korea and their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region. Using the 7-12 wave of Korea Welfare Panels, 65-74 year-olds are analyzed by panel data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social demographic facto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economic factors, and the institutional factors are controlled for,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 and their works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However, when further local control was controll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work and life satisfac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analyses in large citie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shows that the elderly work has different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by reg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elderly should be applied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조혜정(Cho, Hyechung),홍다영(Hong, Da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2

        학교 밖 청소년들은 공교육 중단하더라도 상당수가 다시 학업으로 회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학업 중단 전후의 체계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 학교 밖 청소년 중 가장 적응적인 형태로 여겨지는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이라도 공교육을 중단한 이후 방황의 시간을 보내며 진로를 다시 결정하는 과정에서 미래에 대한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 밖 청소년의 정신건강 취약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보호요인을 찾고, 이를 근거로 발달과정의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대안 중고등학교 및 청소년상담센터, 검정고시학원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228명에 대해 조절회귀식으로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의 취약성이 낮아졌다. 둘째,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가족 지지만이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고, 친구지지 및 타인 지지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 및 정신건강 증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mental health of out-of-school youth. This study performed the survey with 228 youths who use alternative middle/high school, youth counseling center and private institute for school qualification examin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self-efficacy, the lower the vulnerability of mental health. Second, social support showe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e family support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establishment of social support system and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of out-of—school y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