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건축에 나타난 장소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길동(Hong. Kil Dong),강건희(Kang. Kun Hee)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4 No.1

        A need for an architecture is increasing in our time that can accommodate environment-oriented and human-oriented paradigms, which appeared due to the issues of uniformity, alienation of human beings, loss of identity, etc., which had been caused by Modernism since 1960's, and those of environmental problems, loss of humanity and crisis of energy and resourc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b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to represent placeness, to define its significance and to analyze how the expression of placeness has changed and influenced, in order to utilize it as materials to apply to actual pla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홍길동(Kil-Dong Hong),임태희(Tae-Hui Lim),고용주(Young-Ju Ko)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는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7년도에 개최된 전국 중ㆍ고 양궁선수권대회에 참여한 양궁팀의 지도자 113명을 대상으로 목적적 표본 추출하였다. 측정도구는 Hewitt & Flett(1991)가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를 임태희(2005)가 한국적 문화와 정서에 맞도록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와 조만태(1998)가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척도로 각각 5점 척도와 7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SPSS 13.0 for Windo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궁 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은 개인완벽, 타인완벽, 사회완벽 요인 순으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여건스트레스,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 지원체계스트레스, 대인관계스트레스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 요인 중에서 개인완벽 요인은 직무여건스트레스,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와, 타인완벽 요인은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궁지도자의 개인완벽주의 성향 요인은 직무여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완벽과 타인완벽주의 성향 요인은 시합스트레스와 직무부하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stress of archery traine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3 archery trainers who worked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s archery teams. Some of the archery trainers who participated in korea archery championship for junior in 2007 were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developed by Hewitt and Flett(1991) which was revised by Lim(2005) into Korean and The Job Stress Scale developed by Jo(1998). Responses were made on 5-point and 7-point scale.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were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elf perfectionism, person perfectionism, social perfectionism highly on the perfectionism of archery trainers and job condition stress, game stress, job load stress, support system stress, interpersonalrelation stress highly on the job stress. Seco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job condition stress, game stress, job load stress and self perfectionism, between the game stress, job load stress and person perfectionism. Third, self perfectionism affect on job condition stress and self and person perfectionism affect on game stress, job load stress.

      • KCI등재
      • KCI등재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적용

        홍길동(Kil-Dong Hong),오진호(Jin-Ho Oh),이기호(Ki-H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6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배우를 대상으로 무대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리상담을 실시하여 그 현장 적용의 가능성과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극단 연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배우 2명을 목적적 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하였다.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크게 5단계 12회기로 구성하였으며, 기초 교육, 호흡 조절법, 점진적 이완법, 집단상담, 심박수 바이오피드백훈련, 자기집중훈련, 루틴훈련, 행동수정 및 자기강화훈련, 심상훈련 등으로 내용화되었다.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과 상담을 적용한 결과, 신체적·인지적 상태불안요인 모두 훈련 적용 전보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내적 변화 역시 긍정적으로 유발되어 무대불안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우의 자기발견, 배우와 배우간의 앙상블, 배우와 관객 사이의 교감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및 상담은 현장 적용성과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rogram for actor with considering the ecological validity of social, cultural environment in Korean but als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through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field study to decrease stage-anxiety. The experimental group were 2 actors, who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rogram to decrease stage-anxiety for actor was composed of five stages, 12times and categorized as orientation, breathing regulation,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heart rate bio-feedback training, self concentration, routine training, behavior therapy & self reinforcement, image training. The effects was examined on stage performance anxiety scal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observation of experts. As the result of applying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to decrease stage-anxiety, cogni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unseling and observation, they were changed affirmative on self confrontation, harmony and rapport between actor and object. This result demonstrated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 counseling to decrease stage-anxiety for actor were effective.

      • KCI등재

        중ㆍ고교 양궁선수용 이완훈련 콘텐츠 개발 및 현장 적용

        홍길동(Kil-Dong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ㆍ문화적 환경과 스포츠 환경들의 생태학적인 타당성을 고려하여 중ㆍ고교 양궁선수용 이완훈련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완훈련 콘텐츠를 설계 및 개발하기 위해 국내ㆍ외 문헌 검토와 기존 훈련 프로그램을 분석하였으며, 스포츠심리학 박사 2인, 양궁 지도자 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수정 보완과정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이완훈련 콘텐츠의 세부 내용으로는 이완훈련의 기초 교육, 호흡조절법, 근육이완법, 인지 재구성훈련, 명상법, 심박수 바이오피드백훈련, 자생훈련, 행동 수정법, 자기 조절법이다. 연구 대상은 2007년도 양궁 후보선수로 선발된 남 6명(M = 16.45, SD = 2.46)이다. 현장 적용에 대한 효과 검증의 도구로서 경쟁상태불안검사지, 시합 중 선수의 심박수 변화, 양궁 기록, 심층 면담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완훈련 콘텐츠의 현장 적용 결과, 신체적·인지적 상태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경쟁 상황 시 이완훈련 실시 전보다 심박수가 낮아졌으며, 면담 결과 신체, 정신적으로 심리적 안정 상태를 느꼈으며 운동 수행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완훈련 콘텐츠는 중ㆍ고교 양궁 선수의 이완훈련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laxation training contents for middle and high school archery players with considering the ecological validity of social, cultural, and sports environment in Korean but also examine the effect of developing relaxation training contents through case study approach and interviews. The relaxation training contents wa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bout relaxation program. In addition,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3 archery experts and 2 sport psychologists had meetings. The relaxation training contents categorized as orientation, breathing regulation,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cognitive restructuring, meditation, heart rate biofeedback training, autogenic training, behavior therapy, self regulatio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6 male Korean national archery substitute players, who were selected in 2007. The effects was examined on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heart rates, archery score and interviews. As the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of this study on the field, competi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and heart rate were decreased. In the interviews athletes told that they were relaxed psychologically and physically. This result demonstrated the relaxation training program were effective.

      • KCI등재

        공연 시 배우의 각성변화와 심리적 자기조절 분석

        홍길동(Kil-Dong Hong),이홍식(Hong-Sik Lee),이형국(Hyung-Kook Lee),오진호(Jin-Ho Oh),이기호(Ki-H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2

        본 연구는 공연 시 배우의 심박수의 각성변화와 유발된 각성상태에 대한 심리적 자기조절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연극 전문극단에 소속되어 있는 배우 3명을 목적적 표본추출하였다. 각성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심박수 측정기를 활용하였고, 자기조절 행동을 관찰 및 기록할 수 있는 행동 관찰지를 사용하였으며, 공연종료 후 개인별 심층상담을 실시하였다. 심박수 변화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공연 시간대별 변화 추이를 그래프화 하였으며, 자기조절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들은 공연이 시작되기 전부터 심반수의 각성수준이 높아지는 변화를 나타냈으며, 공연 시작 20분 전부터 5분 전까지 가장 높은 각성강태를 보였다. 둘째. 공연 시작 전 심호흡, 호흡 가다듬기, 자기대화, 배우들과의 대화, 대본연습에 집중, 화장실 가기, 흡연, 복장점검 등의 자기조절적 행동을 나타냈다. 셋째, 공연 시 높아진 각성상태를 조절하기 위해서 이완기법, 자기집중화, 자신감강화, 상황대처 및 적응 등과 같은 심리적 자기조절 방법을 사용하는 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lf-regulation about changing heart rate and perceived arousal variation when actors start their performance. Object of this study were 5 actors who belong to the theater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is study used a measuring instrument of heart rate to measure arousal status, used behavior observation paper to observe and record self-regulation behavior and executed personal consultation after ending performance. There was graph mad by variation transition which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bout variation of heart rate each time of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high variation of awake level that actor's heart rates were rising before starting performance and the most high level of arousal was from 20minutes to 5minutes before starting performance. Second, there were self-regulation behaviors appeared such as deep breathing, breath controling, self talking, talking with other actors, concentrating on script, going to toilet, smoking, checking closes before starting performance. Third, when performance start, actors used psychological self-regulational method such as relaxation, self concentration, confidence reinforcement, coping with state or accommodation for controling raised arousal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