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제주 정려비 현황과 분석

        홍기표(Hong Ki-pyo) 제주학회 2017 濟州島硏究 Vol.47 No.-

        제주도에는 다양한 종류의 조선시대 비석군이 산재하고 있다. 목민관 비석, 유허비, 정려비(충 효ㆍ열비) 등 제주도는 `금석문의 보고`로 평가되고 있다. 본고는 조선시대 제주에 내린 정려에 대한 문헌 조사와 지역별 정려비 전수 조사를 함께 이룬 결과물이다. 문헌에 실린 제주의 효자, 열녀, 충의(사)는 총 84명의 사례가 파악되었지만, 정려비는 총71기(77명)로 조사되었다. 정려비 71기의 지역별 소재는 제주시 50기(52명), 서귀포시 21기(27명)이다. 특히 제주시 북서부 지역인 애월읍, 한림읍, 한경면 지역 소재 충효열비가 총 33기(34명)이어서 제주 전역의 충효열 정려비 중 절반에 해당한다. 서귀포시 지역은 충효 및 충의비가 다수 소재하며, 특히 성산읍과 대정읍에 집중되어 있다. 내용별로는 효자 21기(21명), 효열 20기(20명), 열녀 20기(18명), 충효 4기(6명), 충의 6기(12명)로 구분된다. 성별로는 남자 29기(37명), 여자 42기(40명)이다. 효자 정려비는 대부분 부모를 정성스레 봉양 또는 간병하여 정려되고 있다. 가장 많은 사례가 작지(硏指), 할경(割脛) 등 자기 신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소생 및 연명시키는 경우이다. 효열 정려비는 대부분 봉양(시부모) 또는 간병(남편)을 지극 정성으로 하여 정려되었다. 가장 많은 사례가 종신 수절하며 시부모나 남편을 봉양하고 간병하는 경우이다. 열녀 정려비는 대부분 남편이 죽은 후 자결하거나 종신 수절하는 경우이다. 충효 정려비는 효자이면서 나라(임금)에 충성을 다해 `충효`의 정려를 받은 경우이다. 대부분 국상 때 3년복 시행, 직접 상경하여 능역 참가 등으로 받았다. 충의 정려비는 `의사`와 `의녀`로 구분되는데, 일본 어부의 약탈에 저항, 프랑스 외세 침략에 저항, 빈민구휼, 유배인 보호 등의 이유로 수여한 경우이다. Jeju Island has a variety of steles of Joseon Dynasty. That is why it is evaluated as a `repository of monumental inscription` where has governor steles, memorial stones, and monuments (for loyalism, filial piety and chastity) etc. Steles in Jeju Island, especially, are invaluable resources representing rich historical culture of Jeju Island. It is considered that 71 filial piety and chastity steles were bestowed on 77 persons in Joseon Dynasty. By regional groups, 50 steles(of 52 people) are in Jeju-si and 21 steles(of 27 people) are in Seogwipo-si. Especially, It is situated at Aewol-eup. Hallim-eup and Hangyeong-myeon. the northwest of Jeju-si that 33 steles(of 34 people) which occupy half of the total steles in Jeju. Categorized by contents, they are divided into devoted son; 21 steles(of 21 people), filial piety and chastity; 20 steles(of 20 people), a woman of chaste reputation; 20 steles(of 18 people), allegiance and filial piety; four steles(of six people) and loyalism; six steles(of 12 people). By gender, male; 29 steles(of 37 people), female; 42 steles(of 40 people).

      • KCI등재후보

        고려 김수(金須)의 생애와 제주도

        홍기표(Hong, Ki-Pyo)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5 No.-

        본고는 고려시대 김수(金須)의 생애와 역임관직 및 그와 인연을 맺은 제주도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김수와 관련된 인물의 묘지명 및 그의 과거급제 사실이 담긴 방목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자료를 토대로 그의 생애를 조명하는 연구기반이 넓혀지게 되었고, 다음의 몇 가지 새로운 논지를 펼칠 수 있었다. 첫째, 김수는 여러 사료를 통해 영암군이 아닌 영광군의 수령이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당시 고려의 지방통치 체제상 영광군수 또는 영광부사로 불러야 옳다. 둘째, 김수는 1255년(고종 42) 문과에 급제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마치 무인 출신으로 잘못 이해할 수 있는 ‘장군’ 등의 호칭은 향후 지양해야 할 것이다. 셋째, 김수의 성품은 청렴 강직하였으며, 학문탐구에 매진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의 후손들은 대대로 과거에 급제하며 고려의 명문이 되었다. 이리하여 그의 관직생활은 청렴하였으며, 국가를 위한 충의정신으로 일관되었다. 넷째, 제주의 환해장성 축조 주체에 대해 보다 확실히 해 둘 필요가 있다. 최초의 축조는 1270년 9월 이후 김수와 고여림(高汝霖)을 비롯한 고려 관군이었다가, 그 해 11월 관군이 삼별초에 패한 뒤부터는 오히려 삼별초가 여원연합군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하였다. 또한 환해장성의 축조주체를 지역별로 구획을 나누어 고려관군, 삼별초 및 조선시대 등 달리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This paper is the study of Kim-su(金須)’s life & his past governmental positions and Jeju(濟州), a place with which he made a relationship. This study can be ascertained through series biographies(墓誌銘) of people who were related to him and a list of past apprentices(榜目類). In addition his life was precisely examined and following facts were newly investigated by this study. First, he was identified as the leader of Yeonggwang-gun(靈光郡) through various historical records. Thus considering the then local ruling system, Yeonggwang Gun-su(郡守) or Yeonggwang Busa(副司) was the right title for him.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文科) in 1255(Koryo Kojong 42). Therefore calling him ‘General(將軍)’ was not profitable because it was the name for the person who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武科). Third, it was known that Kim-su was a man of integrity and strived to concentrate on his studies. This made his offspring become prestigious family of Koryo-Dynasty,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for generations. Moreover he was incorruptible bureaucrat and loyal to his country.

      • KCI등재
      • KCI등재

        2.4-GHz ZigBee 통신용 원편파 패치 안테나 최적 설계 및 구현

        홍기표(Ki-Pyo Hong),노재우(Jae-Woo Noh),서무현(Mu-Hyun Seo),안병철(Bierng-Chearl Ah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6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8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a sensor node installed underneath a railway cabin and a sensor node installed inside a cabin is a non-line-of-sight link with a high degree of polarization rotation, in which case circularly polarized antennas are advantageous. This paper presents a circularly-polarized patch antenna for a ZigBee sensor node operating inside a railway cabin. The proposed antenna consists of a rectangular patch, a patch feed circuit, and a metal case. An FR-4 circuit board is employed as a radome by using it as a lid of the metal case and by printing the patch on its backside. The patch feed circuit is realized with a power divider and a 90° phase delay line in a GCPW having low radiation and placed beneath the patch circuit board. Measurements show that the proposed antenna has a gain of 7.5dB and an axial ratio of 3dB at 2.45GHz, and a reflection coefficient of less than -10dB at 2.4-2.5GHz.

      • KCI등재

        우리나라 옛 문헌 소재 한라산 인식

        홍기표(Hong, Kipyo)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1 한국고지도연구 Vol.13 No.2

        우리 역사에서 ‘한라산’이 언제 처음 등장하는지 궁금하다. 삼국시대 포함, 고려 이전까지는 제주를 耽羅國이라는 ‘외국’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한라산에 대한 기록은 찾기 힘들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절요』에는 한라산 용례가 없고, 『고려사』에 처음 등장한다. 1374년(공민왕 23) 최영 장군의 목호 평정 때, ‘漢拏山’ 호칭이 처음 등장하고, 李穡의 『목은시고』에도 ‘한라산’ 용례가 확인된다. 결국 1374년 이전에 ‘한라산’은 이미 호칭 되고 있었으며, 여말선초부터는 다수의 한라산 용례가 출현한다. 본고는 우리나라 옛 문헌에 등장하는 한라산의 용례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분석 및 선인들의 한라산 인식을 밝혔다.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연려실기술』, 『신증동국여지승람』, 『탐라지』(이원진) 등 총 21종의 조선 시대 옛 문헌에서 총 154회의 한라산 용례를 수집하였다. 기사 내용은 漢拏山祭 관련(62회), 老人星과 한라산의 연계성(18회), 한라산 사면의 목장 축조 및 馬 방목(14회), 한라산 별칭 소개(14회) 등이 주류였다. 한라산에 대한 인식은 첫째 우리나라 名山, 둘째 섬 내외 지리적 표지점의 기준, 셋째 주요 경관(노인성 및 중국 강남 관측 등) 조망 지점, 넷째 마 방목 및 목장 소재라는 사실이 주류였다. 본고는 개인 문집에 수록된 한라산 용례 및 詩文 등은 제외하였다. 향후 후학들의 연구 성과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하지만 우리 옛 문헌에 수록된 한라산 용례 전수조사 및 그에 대한 분석, 당시의 인식 규명 등은 본고가 그 첫 장을 열었다고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다. 조선 시대 한라산 문헌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 점이 본고의 의의이다. When did the name of Mt.Halla first appear in our history? It is hard to find records about Mt.Halla because Jeju was recognized as a foreign cuountry-TamnaGuk(耽羅國) before Goryo Dynasty including Three Kingdoms Period. There are no examples of Mt.Halla in 「Samguksagi」, 「Samgukjusa」, 「Goryosajeolyo」 but it first appeared in 「Goryosa」. The name of Mt.Halla first showed up in 1374(King Gongmin 23), the period of suppression of Mokho(牧胡) by General Choe Yeong(崔瑩). Also the example of Mt.Halla is confirmed in 「Mokeonsigo」 by Lee Saek(李穡). In conclusion Mt.Halla was already addressed before 1374 and a number of examples of Mt.Halla appeared in the end of the Gory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Chosun Dynasty. This paper figures out and analyzes the examples of Mt.Halla in Korean ancient literature. Thus it clears the recognition of our ancestors. The total 154 examples of Mt.Halla are collected in 21 kinds of ancient literature in Chosun Dynasty such as 「Annals of Chosun Dynasty」, 「Seoungjeongwon Diary」, 「Yeolyeosilgisul」, 「Sinjeungdongukyeojiseungnam」. The articles on Mt.Halla in the books mainly contain the rituals of Mt.Halla(62), the connectivity of Canopus(老人星) and Mt.Halla(18), farm construction and horse grazing on every side of Mt.Halla(14) and the introduction of nicknames of Mt.Halla(14). The main perceptions of Mt.Halla are as follows; firstly, the famous mountain in our country, secondly, the standard of geographical indication both on the outside and inside of Jeju island, thirdly, viewing point of main landscapes(the observation of Canopus and Gangnam in China), lastly, horse grazing and farm site. This paper excludes the examples of Mt.Halla and literatures in private anthologies. Future scholars are expected to get result of research on them. This paper opens the door to total inspection and analysis on the examples of Mt.Halla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perception of Mt.Halla at that time. The meaning of this paper forms the basis of literature research of Mt.Halla in Chosun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이후 제주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홍기표(Hong Ki-pyo) 제주학회 2018 濟州島硏究 Vol.50 No.-

        해방 후 제주사에 대한 연구사 정리는 그 동안 세 차례 있었다. 1983년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1991년 제주도사연구회, 2011년 제주학회에서 수행하였다. 각각 당시까지의 제주사 연구 논저를 시대별, 주제별로 파악하여 그 성과를 검토하였다. 거기에 연구자 및 연구기관까지 소개하며 제주사 연구의 주체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1983년의 연구사 정리는 1945년부터 1970년대 말까지 35년간 국내외에서 간행 발표된 역사 고고 분야에서의 제주도 관계 제반 논저를 개괄, 정리하였다. 1991년의 연구사 정리는 1980년대 논저를 대상으로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두 차례의 연구사 정리는 제주사 연구 풍토나 역량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을 때의 산물이었다. 따라서 비교적 소량의 논저를 대상으로 그 내용과 비판 및 향후 주제 제시까지 세밀히 정리하였다. 2011년의 연구사 정리는 앞의 두 차례와 달리 내용의 소개와 검토까지 이루지는 못했다. 그 이유는 1990년대 이후 제주사 연구자의 증가, 연구기관(단체)의 창립이 이어지면서 다량의 연구 논저들이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었다. 본고는 이상의 연구사 성과를 검토한 후, 다음의 세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춰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째, 시대별 연구주제(연구자)와 전망. 둘째, 제주사 연구기관과 그 성과. 셋째, 제주사 연구과제 검토와 전망. 필자는 이상의 논지를 전개하기 위해 해방 이후부터 2017년 현재까지 제주사 관련 논저 목록을 작성 하였다. 논저는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연구휘보』 및 각 기관(단체)의 학술지 목록 등을 참고하여 대략 1,000편 전후가 수집되었다. 이상의 논저를 시대별, 주제별, 기관(단체)별 등으로 분류한 뒤 다음의 세 가지 목표를 설정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째 제주사의 주요 논저 목록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둘째 향후 제주사의 시대별 연구 방향과 주제를 제시한다. 셋째 제주사 연구의 과제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After liberation, there had been three times of study on history of Jeju so far. One of them had been taken by “Tamra” culture research institute in Jeju university in 1983, the other one taken by research society of history of Jeju in 1991 and lastly, taken by Jeju Academy in 2011. Each of them reviewed the outcome of studies by figuring out the research paper chronologically and per subjects. On top of that, it informed researchers and research institute which makes people can grasp who is the main agent of the research. First of all, the review of study in 1983 organized and summarized the books related history and archaeology field of Jeju from 1945 to the late 1970s. Second of all, the review of the study in 1991 provided a brief introduction to contents of books in 1980s and present future research tasks. These two times of studies had been done while the capability and condition of history research was not in good order. Therefore, with small quantity of books, relatively, this manuscript organizes the contents of those books by from criticizing to presenting future research task. Lastly, the review of study in 2011. This study did not introduce and review the content of the studies unlike the previous two reviews. This is because the researcher and research institute on history of Jeju had increased in number after 1990s, which produced a number of research papers. This manuscript reviews the outcome of the previous three studies. After that, it develop the contents focusing on next three subjects. 1. chronological research subject(or researcher) and the prospect. 2. Reseach institute of history of Jeju and the outcome. 3. Review on research subject of history of Jeju and the prospect. The writer of this article made a list of books related to history of Jeju from after liberation to 2017. This list consisted of about a thousand of books which are referred to 『A Collection of Reports of Korea History』 by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s well as journal lists of each research institutes. These books are classified by periods, subjects, and institutes. With these sources, this article set up three goals. Firstly, Introducing a list of primary books about history of Jeju in detail. Secondly,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 and the subject of history of Jeju per period. Lastly, Suggesting the way of research on history of Jeju for conducting the study more synthetically and systematically.

      • KCI등재

        플라톤 『라케스』의 교육학적 해석 - 세 가지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홍기표 ( Hong Kee-pyo ),강선보 ( Kang Sun-b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7 교육철학연구 Vol.39 No.1

        이 논문은 플라톤의 『라케스』에 대한 많은 연구가 그 핵심 주제를 `용기(andreia)`로 삼고 이뤄졌다는 사실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용기라는 단어는 이 대화편 중반 이후(『라케스』, 190d)에 처음 등장한다. 190d를 기준으로 그 전반부가 용기에 대한 예비적 논의이며 도입에 해당한다. 따라서 『라케스』는 이례적으로 “긴 도입부”, “분량이 너무 많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라케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견인하는 주제는 `교육`이다. 이 대화편은 자녀 교육을 고민하는 학부형이 조언을 구하는 장면으로 시작해서 이 주제를 계속 고민하자며 끝나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라케스』에서 교육 자체를 전면에 내세워 다루는 대신, 당대 헬라스인들이 익숙한 소재인 중무장전투술과 용기를 통해 교육이란 주제를 환기한다. 그는 청중들이 이 주제에 다가갈 수 있도록 섬세하면서도 순차적인 아이러니를 통해 제시한다. 이는 바로 대화편의 등장인물과 중심소재 그리고 드라마 구조의 아이러니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라케스』에 담긴 세 가지 아이러니를 분석하고 이 대화편의 핵심 주제가 교육임을 밝히고자 한다. It has been argued that `courage(andreia)` is the central subject of Plato`s 『Laches』. Given that the word of courage first appears in the middle of this dialogue (『Laches』, 190d), the early part of the dialogue until 190d is regarded as a preliminary introduction for the discussion of andreia.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of 『Laches』 has been deemed too long or excessive. However, this is based on the misrepresentation of the central subject of 『Laches』: it is `education`, not courage, that is the main subject of the dialogue. This dialogue begins with a scene that two fathers are seeking advice on how to educate their children to be excellent, and ends up agreeing to contemplate it further. Instead of discussing education directly, Plato delves into the subject indirectly by examining the themes of heavy weapons and courage that are familiar to the people of his time. He presents the subject in a series of sophisticated ironies―the irony of the characters, of material, and of drama structure; and this composition of the dialogue makes readers tacitly reach the core of the subject. This article analyzes three ironies in 『Laches』, with an intention of showing that the main subject of 『Laches』 is education.

      • KCI등재

        을묘왜변 제주 대첩의 재조명과 역사적 의의

        홍기표(Ki-Pyo Hong) 제주학회 2023 濟州島硏究 Vol.59 No.-

        1555년(명종 10) 5월, 왜구가 70여 척의 배를 거느리고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를 침략하며 을묘왜변이 발생하였다. 이들은 전라도 일대에 큰 피해를 안기고 퇴각하다 동년 6월 21일 제주 앞바다로 집결하였다. 왜선 40여 척에 약 1,000여 명의 왜구들이 6월 27일 제주 화북포로 상륙하여 곧장 제주성으로 향했다. 제주성 동성(동문)과 산지천을 사이에 두고(현재 남수각) 3일간의 전투가 벌어졌다. 당시 제주목사 김수문은 70인의 효용군(驍勇軍)을 선발, 선제공격을 감행하였다. 김직손, 김성조, 이희준, 문시봉 등 4인이 말을 달려 적진을 휩쓸었고, 김몽근은 적장을 화살로 쏘아 쓰러뜨렸다. 이후 제주 군민(軍民)은 승세를 타서 추격하며 다수의 왜구를 목 베고 사로잡아 대첩을 거두었다. 을묘왜변의 전적은 『조선왕조실록(명종실록)』(1555.07.07.)에 의하면 ‘영암의 수성(守城)과 제주의 파적(破賊)’으로 기록되었으며, '(제주) 대첩(大捷)'으로 종결되었다. 을묘왜변 제주 대첩은 군관민(軍官民)이 일심동체로 전투에 나섰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였다. 과감한 선제공격과 온전하게 잘 보존되어 있던 병기 등도 승리 요인으로 작동하였다. 을묘왜변 제주 대첩은 제주만의 승리가 아니었고, 조선 을묘왜변의 최종적 승리로 귀결된다. 또한 일본과 한반도 및 중국과 연결되는 해상 요충지 제주를 왜구로부터 지켜냈다는 점에서 당시 동아시아 평화 정착에 큰 역할을 했다. 바로 이 점에서 오늘날 을묘왜변 제주 대첩이 갖는 역사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Eulmyo Japanese Invasion occurred in May 1555(King Myeongjong 10), Japanese raiders with about 70 ships invading on the south coast of Jeollanam-do province. They gathered off the coast of Jeju Island on June 21 of the same year after retreating from Jeolla-do to great damage. About 1,000 Japanese raiders with 40 ships headed straight to Jeju Castle through Hwabukpo port on June 27. There was a three-day battle between Dongsung(east gate) of Jeju Castle and Sanjicheon stream(Namsugak). At that time, Kim soo-moon, a Jeju minister, made the first strike, selecting 70-member special forces(驍勇軍). Four of them including Kim jik-son, Kim sung-jo, Lee hi-joon, Moon si-bong swept the enemy lines riding horses and Kim mong-keun shot an enemy general down with an arrow. Since then, the people of Jeju were standing a good chance of winning and had a great victory, cutting many Japanese pirates off their throats and capturing them. This was not just Jeju’s victory, but it resulted in the final victory of Eulmyo Japanese Invasion in Joseon Dynasty. It played a major role in East Asian peace settlement at that ti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