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 특성을 고려한 휨강성 평가

        홍건호,정승원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8

        Since concrete has a low tensile strength compared to the compressive strength, reinforced concrete flexural members represent easy crack occurance under a small loa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has been developed to compensate the tensile strength and brittleness of members. However, in the design formula of the domestic building code, it is not specified in the design formula reflecting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have had many restrictions. In this study, a flexural tensile strength model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is propos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material properties of material test results conducted by various researchers, and verified by the test results of cracking and stiffness evaluation of flexural members based on the proposed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lexural tensile strength model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which can reflect the mixing ratio and aspect ratio of the steel fiber was proposed an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aterial model equation was evaluated from the load-deflection relationship in the flexural test of the slab member.

      • KCI등재

        벨크로를 이용한 FRP 플레이트 보강공법의 시공공법 개선

        홍건호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2 No.6

        본 논문에서는 FRP 보강재의 부착방식에 따른 RC보의 휨보강 성능평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존의 FRP 휨보강공법은 보강재의 형태에 따라 크게 FRP 쉬트 보강공법과 FRP 플레이트 보강공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공법은 에폭시의 양생기간동안 쉬트의 들뜸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하거나, 앵커설치 등 시공이 복잡하며,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Velcro형 고정재를 사용하여 FRP 플레이트를 임시 고정하는 보강공법을 제안하였고, 이에 대한 휨보강 성능평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FRP보강재의 부착방식을 변수로 하여 총 4개 실험체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벨크로형 FRP판 보강공법은 타 공법에 비하여 우수한 시공성을 가짐과 동시에 휨내력이나 연성도 면에서도 우수한 보강성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flexural strengthening effectiveness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bonding of the FRP. The existing FRP flexural strengthen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FRP sheet strengthening and FRP plate strengthening according to the FRP condition. For improving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this paper proposed the velcro type anchorage system for temporary bonding material, and flexural strengthening effects were tested. Test variables were bonding methods of the FRP strengthening materials, and total 4 specimens were tested. Following to the test results, it is shown that FRP-plate strengthening method using the velcro can get better workability than existing construction methods, and have excellent strengthening performance including flexural strength, stiffness, ductility and failure aspect.

      • KCI등재

        벽식구조 아파트 리모델링을 위한 전단벽 신설공법의 내진성능 분석

        홍건호,정우경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1 No.1

        1988년 이전에 건설된 벽식 구조 아파트는 내진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아 리모델링을 위해서는 현행법규에 적합한 내진보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벽체 신설 공법에 의한 내진 보강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발된 리모델링 건축 평면 내에서 전단벽의 신설이 가능한 위치별 보강 효과와 벽량 및 벽두께의 변화에 따른 내진 보강 효과를 분석하도록 하였다. 내진성능의 평가는 층간 횡 변위를 이용하여 허용 층간변위의 만족여부에 의하여 분석하였으며, 건축물의 구조 모델은 슬래브의 횡 방향 기여도를 고려한 유효보 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리모델링 시 단위 모듈별 내진보강이 가능하며, 전단벽의 신설 위치와 벽량에 따라 건물 건체의 거동에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uctural design guidelines in additional shear-wall construction method for apartment remodeling with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the position, length and thickness of the additional walls. The slab-wall frames under seismic loads are analyzed using effective beam width model, which can practically evalu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existing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proper design guidelines of additional shear-wall construction method(position, length and thickness) is suggested to get the required seismic performance.

      • 철근콘크리트 휩부재의 하단면증설 보강효과에 관한 연구

        홍건호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1998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Vol.17 No.1

        최근 국내에서 잇따르고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사고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건축 물의 내구성 및 안전도에 심각한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7 0 년대 이후 급격한 건축물의 건설에 따른 구조물의 내력저하 및 유지관리의 소홀 등에 의한 보수 • 보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계 재료를 사용하여 보 하단부 인장측 단면이 증설된 경우의 구조적 거동특성의 변화 및 파괴형태, 내력보강효과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변수로는 증설된 부위의 철근량 및 신구콘크리트의 접합효과를 고려한 계면처리방법 등 2 가지를 선택하였으며, 기본시험체를 포함하여 총 6 개의 보시험체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 다.주요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변형에폭시계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증설된 시험체의 경우 계면의 처리방법에 관계없이 파괴시까지 본 시험체와 일체성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증설후 휩내 력은 최초 동일한 단면성능을 갖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와 같은 크기의 저항내력을 갖는다. 그러나, 증설부재의 강성은 동일 단면을 갖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비하여 약 2 . 5 배의 강성을 갖게 되며 이에따라 동일하중에 대한 부재의 처짐 및 곡률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증설재료의 강도 및 탄성계수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며, 초기균열의 발생하중도 기본시 험체에 비하여 상당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증설시험체의 경우 균열발생시 심각한 소음과 급격한 균열진전의 양상을 나타내며, 몇 개의 균열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파괴가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성 확보를 위하여 보강설계시에는 이를 고려한 충분한 내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 No-Fines Concrete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홍건호,정일영 한국콘크리트학회 1994 콘크리트학회지 Vol.6 No.3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자재의 부족으로 인한 신건축재료의 필요성에 의하여 모래를 사용하지 않은 No-fines concrete의 사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재료의 역학적 특성 및 경제성을 연구하였다. 압축 및 인장강도시험과 응력도, 변형도의 측적에 의하여 재료의 기본적인 역학적 특성을 규명하였고, 타재료와의 단가와 단위벽체 건설비용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강도 및 탄성계수의 저하, 보강철근 사용의 복잡성 등의 불리한 역학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작업의 용이성, 자중 및 건설비용의 감소 등의 특성을 보여 대단위 저층 주택건설에 효과적인 재료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experimentally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economics of No-fines concrete for its application to the low-rise housing construction. Basic mechanical properties of No fines concrete are studied by measuring of compressive, tensile strength and stress-strain relationship, and economics of it is compared with other materials in unit cost and wall construction cost. From the test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No-fines concrete has advantages of good workability, light weight and lower construction cost, even though it has lower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than normal conc:rt:te does.

      • KCI등재

        섬유복합체로 휨보강된 RC보의 박리하중 예측에 관한 연구

        홍건호,신영수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 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17 No.6

        최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방법으로 고인장강도를 갖는 섬유복합체를 부재의 외부에 부착시켜 휨 내력을 증진시키는 부착식 보강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부착되는 섬유복합체의 박리에 의한 파괴강도를 예측하여 설계식에 반영하기 위한 연구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보강재의 박리에 의한 파괴는 부재 전체의 취성적인 파괴를 유도하게 되므로, 부재의 보강설계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검토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진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재의 부착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효부착길이의 개념을 도입하여, 기존 연구 결과로부터 부재의 부착강도를 좌우하게 되는 유효부착길이를 산정하였으며, 이와 같은 유효부착길이에 의한 보강재의 박리하중을 산정할 수 있는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설계식은 기존 연구자들의 실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그 신뢰성을 검증하도록 하였으며, 기존 연구자들의 제안식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제안식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 RC 구조물의 콘크리트 균열제어기법

        홍건호,Jin, Hyun-Joon 湖西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2005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4 No.-

        The KCI and KBC 2005 Codes require the control of flexural cracking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Nowadays, concrete cover is thicker than the past days because of durability of the structures. However, current requirement of Korean code provisions are based on the statistical equation presented by Gergely and Lutz. It is based strictly in their experimental results, it become unworkable with the thick cover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the crack control provision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the crack width equation on which those provisions are based, explores the use of the crack width equation for the calculation of large cov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proposes a new formulation of the equation for calculating crack width that is proper to thin and thick concrete covers.

      •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하단면증설 보강효과에 관한 연구

        홍건호 湖西大學校工業技術硏究所 1998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17 No.-

        최근 국내에서 잇따르고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사고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건축물의 내구성 및 안전도에 심각한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70년대 이후 급격한 건축물의 건설에 따른 구조물의 내력저하 및 유지관리의 소홀 등에 의한 보수· 보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계 재료를 사용하여 보 하단부 인장측 단면이 증설된 경우의 구조적 거동특성의 변화 및 파괴형태, 내력보강효과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변수로는 증설된 부위의 철근량 및 신구콘크리트의 집합효과를 고려한 계면처리방법 등 2가지를 선택하였으며, 기본시험체를 포함하여 총 6개의 보시험체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변형에폭시계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증설된 시험체의 경우 계면의 처리방법에 관계없이 파괴시까지 본 시험체와 일체성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증설후 휨내력은 최초 동일한 단면성능을 갖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와 같은 크기의 저항내력을 갖는다. 그러나, 증설부재의 강성은 동일 단면을 갖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비하여 약 2.5배의 강성을 갖게 되며 이에따라 동일하중에 대한 부재의 처짐 및 곡률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증설재료의 강도 및 탄성계수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며, 초기균열의 발생하중도 기본시험체에 비하여 상당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증설시험체의 경우 균열발생시 심각한 소음과 급격한 균열진전이 양상을 나타내며, 몇 개의 균열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파괴가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성 확보를 위하여 보강설계시에는 이를 고려한 충분한 내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