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이 한국에서 창업하는 동기와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유학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엽(Hu Ye),서찬주(Suh, Chan Joo) 한국상품학회 2022 商品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학 경험이 있고 창업하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창업동기와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유학경험을 조절 변수로 사용하여 이것이 창업성과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외국인이 한국에 창업하는 현황과 동기에 관하여 살펴보았고, 특히 그들의 창업동기와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과에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에 유학하고 있는 외국인의 유학에 관련된 여러 기사와 문헌을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 모두 포함하여 유학경험이 있는 외국인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창업동기가 창업성과에 대한 긍정적 영향이 있다는 것과(가설 1)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과에 대한 긍정적 영향이 있다는 것이(가설 2) 검증되었다. 유학경험은 창업동기와 창업성과 간의 조절 효과로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가설 3) 검증되었지만 유학경험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성과 간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가설 4) 기각되었다. 유학경험은 그 자체로서는 창업성과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지만 창업동기와 창업성과 간의 긍정적 효과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밝혀진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인 그리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spirit and motivation to start a business for foreigners who have studied abroad in Korea and start a business. In particular, by using study abroad experience as a moderating variabl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this had a moderating effect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For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motives of foreign entrepreneurs in Korea were examined, and how their start-up motives and entrepreneurial spirit are related to the start-up performance. In addition,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various articles and literature related to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For data collection,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foreign entrepreneurs with study abroad experience, including both individual and corporate entrepreneurs. The results verified that entrepreneurship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Hypothesis 1) and that entrepreneu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Hypothesis 2). It was also verified that studying abroad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ntrepreneurship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Hypothesis 3), but it was not supported that studying abroad experience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Hypothesis 4). Studying abroad experience by itself does not play a positive role i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but it was found to have the moderating positive effect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Based on the revealed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모바일 선물 구매행동의도의 결정요인

        호엽(Hu Ye),최지호(Jiho Choi)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1

        연구목적: 기프티콘으로 잘 알려진 모바일 선물은 모바일 통신서비스 사업자가 만든 혁신적인 서비스이다. 소비자가 기프티콘을 선택 및 구매하여 누군가에게 송신하면, 이 같은 메시지를 받은 수령자는 바코드 형태로 된 쿠폰을 다운받아서 사전에 계약이 되어 있는 파트너 기업에서 실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시장에서 새로운 선물행동의 유형으로 등장한 기프티콘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러한 행동의도롤 설명하는 실증연구는 발견하기가 어렵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모바일 선물을 구매한 경험이 있거나 혹은 누군가로부터 모바일 선물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다. 총 365명의 응답자가 면대면 서베이로 응답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되었다. 분석 및 연구 결과: 연구 결과, 상대적 이점, 적합성, 유희성은 모바일 선물 구매의도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복잡성과 지각된 위험은 모바일 선물 구매의도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의 이론적 공헌점으로는 모바일 선물 행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혁신확산이론을 이용한 것이며, 아울러 고객과의 관계 개발을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기프티콘을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가에 관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 연구에서는 모바일 선물을 이용한 경험자와 비경험자를 동시에 고려하여 비교 실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공헌점: 본 연구는 혁신확산이론에 기초하여 모바일 선물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실증하였다. Purpose: The mobile gift allows consumers to wirelessly send gift vouchers for items from Starbucks, 7-Eleven, McDonalds, and other merchants. The mobile gift(called Gifticon, Giftshow, etc.) is an innovative new service of mobile phone service provider. Once an item is selected, the Gifticon server, which is connected to partner companies, will send and authorize and SMS in real time. Those who received the messages can download coupons with embedded barcodes and exchange them for real products. While many practitioners have recognized the rapid expansion of mobile gift as new gift-giving behavior,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research that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mobile gifts purchasing. Design/methodology/approach: Data was collected from consumers who had an experience that received or bought mobile gift. A total of 365 consumers responded to the face-to-face survey. We have tested research hypotheses using 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Results/findings: The findings provide strong support for the hypothesized effects of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playfulness on mobile gift purchasing inten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lexity and perceived risk are not related to mobile gift purchasing intention.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investigated determinants of mobile gift purchasing intention. This study makes a theoretical contribution by showing that innovation diffusion theory can be extended to explain the mobile gift-giving behavior. Our results hav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keting managers who want to utilize mobile gift as a marketing tool develop relationships with their customers or initiate new relationships with potential ones. As this research only analyze consumers who experienced mobile gift, it has limitations that require future attention. Future work/research: In future study, the relevant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users vs. non-users of mobile gift) should be investigated. Originality/value: This study firstly investigated determinants of mobile gift purchasing intention based on innovation diffusion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