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무역환경에서 우리나라 중소수출기업의 대금결제 위험관리가 결제위험 관리성과에 미치는 영향: 거래 파트너십 구축지향의 조절효과

        현화정(Hwa-Jung Hyun) 한국국제상학회 2024 국제상학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무역환경에서 중소수출기업의 대금결제 위험관리와 그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서는 총 1,5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이 중 200부가 회수되었으며, 성실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최종 191부의 설문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실증분석에는 Smart PLS ver. 4.1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링 검정을 실시하고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대금결제 위험관리인 신용위험관리, B2B 거래 채권회수 관리, 전략적 외환 위험관리는 결제위험 관리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래파트너십 구축지향은 대금결제 위험관리와 결제위험 관리성과의 관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수출기업들이 갖추어야 할 수출대금결제 위험관리방안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실무상 대응책을 마련하여 수출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yment risk management and the performance of SME exporters in the digital trade environ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otal, 1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2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191 were utilized after excluding questionnaires with dishonest or inappropriate responses. Empirical analysis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was conducted using the Smart PLS ver. 4.1 statistical package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credit risk management, B2B trade receivables management, and strategic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yment risk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orientation toward building trade partnerships was found to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yment risk management and payment risk management performance.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guidance on the factors t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exporters should adopt for managing payment risks,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export competitiveness by providing practical measures.

      • KCI등재

        주요산업별 수출거래 특성요인이 대금결제 방식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창봉(Chang-Bong Kim),현화정(Hwa-Jung Hyun) 한국국제상학회 2021 國際商學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출업체의 관점에서 대금결제를 선택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측정요인을 고찰하였고 주요 산업별 특성에 따라 대금결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금회수에 관한 복합적인 상황에서 수출대금 결제방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해당 연구 목적과 함께 산업별로 분류된 집단에서의 수출대금결제 방식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도출한 것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나타난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독립성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수출대금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인들을 도출하여 수출대금결제 방식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지 살펴보았다. 측정변수들을 도출하기 위해 탐색 연구(pilot study)와 심층 인터뷰가 수반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 설문지가 작성되었다. 설문배포 대상은 한국무역협회 홈페이지 회원 리스트 및 전문무역상사 리스트, 서울, 경기·수도권, 제주도 등에 있는 국내 수출업체로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20년 3월~2020년 8월까지 약 6개월에 걸쳐 Likert-5점 척도로 시행되었으며 온·오프라인으로 2,000부를 배포하여 총 210부를 회수하여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거래 특성으로 대표되는 수출기업의 3가지 특성요인의 객관성을 확보하여 수출대금선택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도출하였으며,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독립성 검정을 통해 분류된 주요 산업에 있어 수출대금 결제방식에 차이점이 있음을 밝혔다. Purpose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oice of export payment method in complex situations involving the withdrawal of payme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conduct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hi-square test on data from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members who were domestic exporters in Seoul, Gyeong-gi, and Jeju Island.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mphasis on the quality of goods, technology, and transaction period with buyers and payment efficiency was significant in the selection of export prices. We also identified differences in the choice of payment method among consumer goods, basic industrial goods, electronic, and machinery industries based on the Korea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table (KSIC). Conclusions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export transactions by industry by analyzing payment method differences among industries distinguished in the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KSIC).

      • KCI등재

        브랜드 가치와 원산지 역량이 원산지 제도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권승하(Kwon Seung Ha),현화정(Hyun Hwa Jung)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통상정보연구 Vol.18 No.1

        최근 기업들이 글로벌화 되고 글로벌 생산과 판매가 이루어지면서 원재료 및 부품의 글로벌 소싱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간 FTA 협정이 체결되면서 국가별 엄격하고 복잡한 원산지 규정으로 인하여 원산지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제조기업 127개 기업들을 대상으로 브랜드 가치와 원산지 역량이 원산지제도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 및 실증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원산지 국가 브랜드 가치는 원산지 정보역량 요인에 양(+)의 영향을 미쳤고, 제품 브랜드 가치는 원산지 관리역량 요인에 양(+)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원산지 정보역량은 원산지 관리역량 요인에 양(+)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제품 브랜드 가치와 원산지 정보역량 요인은 원산지 제도 성과 요인에 양(+)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가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내용은 브랜드 가치와 원산지 역량을 실증적으로 평가하였다는 것이다. 학문적인 기여도는 우리나라 원산지 관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실무적 기여도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브랜드 가치와 원산지 역량을 활용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as most companies are getting globalized, global sourcing of raw materials are also provided actively. Since each country has different, strict and complex rules-of-origins, importance of COO(country-of-origin) is increasing more and more. This study was surveyed with 127 manufacturing companie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relationship how brand equity and COO capacity impact on the COO performance. The research hypothesis and model was derived from the basis of existing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brand equity of the COO showed positive (+) effect on the COO information capacity and product brand equity showed positive (+) effect on the COO management capacity. Secondly, the COO information capacity showed positive (+) effect on the COO management capacity. Lastly, product brand equity and the COO information capacity showed positive (+) effect on the COO performance.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research information by empirically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equity and the COO. This study contributed to academic by examining the research on the COO management in South Korea and also practically suggested the direction how manufacturing company in South Korea is to take the advantage of the brand equity and the COO capacity.

      • KCI등재

        통상협상 : 원산지제도의 취약성, FTA 장벽 및 원산지검증 수준과 원산지성과에 대한 연구

        김창봉 ( Chang Bong Kim ),현화정 ( Hwa Jung Hyun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4 통상정보연구 Vol.16 No.5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relationships between vulnerability, FTA barrier, verification factors and origin performance.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Our study analysed 104 cases from Korean companies which adopted a rules of origin and then develop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model test, this empirical study found that vulnerability have a nega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origin verification. Seco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origin verification and origin performanc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irst company in order to enhance competitiveness,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rules of origin, must go to deal jointly with partner companies. Second, to establish a process for the origin of the goods to prove this systematic and should be managed in an orderly fashion. Country of origin verification system of corporate -level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separated by a study to assess the level of the enterprise for internal and external·is determined that you need.

      • KCI우수등재

        원산지 이미지에 따라 원산지 요인들이 원산지제도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창봉(Chang-Bong Kim),현화정(Hwa-Jung Hyun) 한국무역학회 2016 무역학회지 Vol.41 No.4

        Recently,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has been composed of transactions in trade through integration of the global supply chain network. As FTAs are being signed between countries, the country of origin (COO) system on product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Companies are procuring raw materials through global sourcing and supplying to the retail markets. This research deducted major factors regarding the verification and utilization of the COO system through research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s,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verification and utilization elements of the country image and the brand image of COO on the performance of the COO system through empirical study.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survey implementing the COO system and analyzed the 152 data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external verification level of the COO system has an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COO system, and a mediating effect on the country image and the brand image of the COO. Second, the management capability of the COO has an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COO system, and a mediating effect on the brand image of the COO. A researc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in establishment of the verification system of the COO depending on the size of a corporation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