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극사실주의 디지털애니메이션의 장치 특성에 대한 미학적 고찰

        현승훈(Seung-Hoon Hyun)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9

        디지털애니메이션은 기본적으로 애니메이션 장르만이 갖는 캐릭터성과 그리고 실사적 영상의 재현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디지털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진 극사실주의적 작품들은 관객에게 낯선 존재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최첨단 기술과 인력 그리고 자본으로 탄생된 극사실주의 할리우드 디지털애니메이션에 대한 관객들의 이러한 차가운 반응은 바로 기술적 문제에서라기보다는 미학적 측면에서의 접근법에 그 문제가 존재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디지털애니메이션의 장치적 특성을 기존의 실사영화와의 비교를 통해 기술과 미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또한 새로운 리얼리즘으로서 디지털애니메이션의 고유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These days, there are a lot of digital images, which are using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eople, can make a liberal and creative media. In this environment, the studies on the digital animation would play a leading role of the aesthetic and technology developments for creative digital images. Digital animation images have their own aesthetics, and characteristics.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a part of technology expansions. In particular, hyperrealistic digital animation should be more concentrated in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echnology and aesthetic, because hyperrealistic digital animation has not only an appartus feature as a side of aesthetics, but a technology feature as a post modernistic media. Therefore the technology of digital animation as a the possibility of future growth for media should adhere strictly the peculiarity of digital aesthetics.

      • KCI등재후보

        국내 3차원 입체영상산업의 구조와 문제점

        현승훈 ( Seung Hoon Hyun )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10 디지털영상학술지 Vol.7 No.1

        The major topic in the digital image age will be 3D stereoscopic images. However, there have been not only experiments about 3D stereoscopic images and attempts to produce them for a long time, but also many viewers who have directly and indirectly experienced the realities of 3D stereoscopic images. The reason why people are showing such renewed interests in realizing 3D stereoscopic images with a long history now will be because of the growth of a new technical infrastructure mentioned as `digital`. However, the doubt still lingers through various experimental verifications whether digital technology will resolve all the parts of the development of 3D stereoscopic images called even the revolution of `Film and Video industry`. Though the prospects for the market of 3D stereoscopic images needs not be looked at negatively without a reason, there is a problem with an unquestioning attitude to accept everything about them optimistically with no conditions like this. Productions and screenings of 3D stereoscopic images not only took place before but will occur at the present time when images have been digitized and in the future actively. Nevertheless, the reason why a careful approach to 3D stereoscopic images is needed is that the industrial consideration for acceptance of steric environment according to huma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s almost nil at present. Therefore, until the environments for watching 3D stereoscopic images in comfort without objection are realized, a steady study and industrial support will be needed.

      • KCI등재

        TV방송 다큐멘터리 선호도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성 연구

        현승훈(Seung-Hoon Hyu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는 TV 다큐멘터리 장르 선호도에 과한 수용자의 주관성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써 Q방법론(Q-methodology)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TV 다큐멘터리에 대해 수용자들의 다양한 선호유형별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유형별 특징은 먼저 즐거움과 재미를 추구하는 오락적 가치 지향형, 공익과 교육적 목적을 추구하는 공익, 사회적 가치 지향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큐멘터리의 문화적 가치를 지향하는 문화, 예술적 가치 지향형 등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선호유형의 구분을 통해 추론할 수 있었던 것은 과거와 다르게 수용자들의 TV방송 선택이 수동적이고 매체 의존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다매체, 다채널 디지털 방송의 시대에서 콘텐츠 유통과 생산에 대한 연구 개발의 초점은 콘텐츠 자체는 물론 수용자 욕구와 희망을 반영한 수용자 중심의 서비스개발 모델에 그 방향을 맞추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audiences about preference of documentaries on TV. Accordingly, Q-methodology was us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audiences various characteristics by preference types were able to be fou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yles: an entertainment-oriented style pursuing enjoyment, public and society interest-oriented style pursuing public purpose, and culture-oriented style pursuing artistic value of documentaries in order.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classification of preference styles that unlike the past, the choice of TV broadcasting of audiences was shifting from the passive and media-dependent form to positive form. Therefor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ntent delivery and production in the multi-media and multi-channel digital broadcasting era should be focused on not only the content itself but also an audience-centered service development model reflecting audiences desire and hope.

      • KCI등재후보

        멀티플렉스 이용자의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현승훈(Hyun, Seung Hoo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1 씨네포럼 Vol.0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멀티플렉스에 대한 수용자들의 취향과 인식유형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화 그 자체의 취향에 대한 기존의 연구접근 방법이 아닌, 영화관이라는 문화소비의 물리적 대상에 대한 수용자의 초기적 관심을 Q방법론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첫째, 영화관람과 관련하여 최상의 관람조건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관람환경 고려형, 둘째, 수용자들의 문화소비에 있어서 ‘최소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경제성 추구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복합문화공간만의 편리성, 혹은 편의적 가치를 가장 핵심적 선호요인으로 두고 있는 편의성 추구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러한 선호 유형의 분류 결과 멀티플렉스를 선택하는 수용자의 취향은 ”문화 소비에 대한 계층의 욕구와 시대적 문화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어 질수 있다.”라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영화관 혹은 멀티플렉스는 일종의 집단 커뮤니케이션이 공존하는 사회 문화적 놀이공간이며 개인적 유희의 공간이다. 더욱이 멀티플렉스는 시설적인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화적 체험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수용자들에게 욕구실현의 다양한 기회를 갖게 한다. 이는 곧 영화자체의 소프트웨어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수용자의 취향과 요구에 따른 물리적 환경의 외적 변화,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ference and cognition patterns of consumers for multiplex, as a complex cultural facility. This study could perform in-depth contemplations on the initial interest of consumers for a physical cultural consumption subject of a movie theater by using the Q-methodology, instead of previous research approach methods for the preference of a movie itself.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fi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audience of Multiplex theater. The features of each type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was an cinematic environment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qualitative value of viewing system in Multiplex. Second was an economic consumption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the quantitative value of cultural life. Third was a convenience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the convenient cultural environment for Multiplex. Thu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reference types, it was inferred that the taste of audience for Multiplex theater based on the subjective preference for cultural consumption and environment. A movie theatre, or multiplex, is a sociocultural playground and private amusement space with co-existing group communication. Furthermore, multiplex simultaneously provides opportunities for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in facility aspects and allows consumers to have diverse opportunities to realize their desires. This means that in addition to changes of softwares it a movie itself, external changes of physical environments depending on consumers preference and demand are also important.

      • KCI등재후보

        디지털 3차원입체 애니메이션의 촬영과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현승훈(Hyun Seung-Ho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5

        영상제작에 대한 연구는 산업이나 기타 하드웨어 기술에 대한 공학적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다른 분야에 비해 영상분야의 연구가 특히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이유는 그 동안 감성적인 영역과 이성적인 영역으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나뉘어서 분야개척을 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 디지털 실감영상의 시대는 다르게 접근되어야 한다. 그 동안의 시각, 청각으로 만의 관습적 접근법에서 탈피하여 넓은 기술적용 분야에 따라 모든 인간감각 영역으로 그 틀을 확장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연구되고 있는 3차원입체영상의 영역을 돌아보게 되면, 입체 영상에 대한 연구의 방향은 이제 입체영상제작에 요구되는 기술적 요구사항이 어떻게 연출과 촬영문법의 미학적 영역으로 적용되어 질 수 있는 가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져야 함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로 기술발전에 따른 영상미학의 변화된 모습을 연구함으로써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를 그 목적으로 하며 나아가 이러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과 개발의 대중화가 미학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작과 이론의 연계점 역할을 하는 데에 그 기본연구의 방향성을 두고 있다. Interest in and study on 3 dimensional pictures has been continued since visual media showing moving images was invented. From simple anaglyph wearing glasses to hologram making perfect 3 dimensional objects by recording phase data of reflected light, as well as amplitude and wave, speed and scope of technical development are quicker and wider, respectively. However, despite such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re is still lack of study on aesthetical, industrial and contents developing area, except for technology of 3 dimensional images. Unlike the interest in 3 dimensional images, even a theoretical frame for the approach to theoretical areas of 3 dimensional images has not been established. Especially, few experiment and study on directing aesthetics have been conducted, with exception of areas in entertainment documentaries for 3 dimensional feeling or some latest 3D animations. As a result, this study will try to find alternatives to directing aesthetics of realistic 3 dimensional movies to be developed in future by studying directing grammar and aesthetics of digital 3 dimensional movies and finding and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3 dimensional images and 2 dimensional images drawn on the plane.

      • KCI등재

        한국형 슈퍼히어로 영화의 영상미학적 특성 연구

        현승훈(Seung-Hoon Hyu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는 영화 <전우치>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한국형 슈퍼히어로 영화의 영상 미학적 특성을 고찰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영상미학이라 함은 이야기의 구조, 인물 그리고 미장센 등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화 전우치의 플롯구조에 대한 일차적 분석을 토대로 인물과 화면 등 기타 미학적 요소의 구성과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가 특별히 영화 <전우치>를 텍스트로 선택한 이유는 기존의 할리우드 슈퍼히어로 영화와 비교될 만한 유사한 스토리 진행과 구성 그리고 장르적 스타일 때문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기존의 할리우드 슈퍼히어로 영화와 영화 <전우치> 사이에서의 공통된 영상 미학적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음과 동시에 국내 고전소설과 서구형 영웅장르의 새로운 접목으로 인한 제작상의 한계점 또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aesthetic factors of the Korean style superhero film through the analysis of text of <Jeonwoochi>. Basically, the various elements including the structure of the story, characters, mise en scene, and etc. are included in the aesthetic factors.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organization of other aesthetic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characters and mise en scene, and etc. were analyze based upon the first analysis about the structure of <Jeonwoochi>.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e research were ‘The Poetics’ of Aristotle. The reason why this movie selects the movie as the research text specially was that <Jeonwoochi> had the plot and genre style compared with the existing Hollywood superhero film. Consequently, the research could find the communities and differences for the aesthetic features between Hollywood superhero film and <Jeonwoochi>.

      • KCI등재

        영화제 방문객의 참여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현승훈(Hyun, Seung-Hoo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5

        영화제는 축제이면서 동시에 다양한 영화 콘텐츠를 사고, 파는 마켓이다. 따라서 영화제의 개최의 근본 목적은 지역의 문화 이벤트로서의 축제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전문 영화인들에게 상호 교류와 비즈니스의 장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영화제는 이처럼 산업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지역과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영화제에 대한 이와 같은 기대와 성장을 이끌게 되는 주된 요인은 바로 대중성에 있다. 과거에는 영화관련 산업관계자와 전문가들만을 위해 주로 영화제가 개최되었다. 하지만 지금은 가능한 많은 방문객의 참여를 독려하고자 영화제별로 다양한 홍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영화제의 이와 같은 대중화는 다양한 소비층에 대한 성향과 태도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방문 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영화제 서비스 품질과 방문객의 만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개인의 신념, 태도, 그리고 성향에 대한 분석은 아직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제 참여를 경험한 개인을 대상으로 그 인식을 분석함에 있어 Q방법론을 사용하여 방문객의 주관적 성향 및 인식을 유형별로 분류해 보았다. 이러한 결과 문화예술의 가치를 지향하는 유형, 여가향유를 지향하는 유형, 그리고 유희 자체만을 지향하는 유형 등 총 3가지의 유형이 최종 도출될 수 있었다. Film festival is a kind of local festival. In addition, the film festival is a kind of market. Therefor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festival is to provide a place for interaction and business for professional chapter of the film, at the same time as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local cultural events. Therefor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holding of film festivals is to provide a space for interaction and business for professional filmmakers at the same time as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festive local cultural events. Film Festival contributes to regional and national development of such industrial, cultural, and economic. The main factors that lead to the growth of the film festival of the local economy and culture are in popularity. In the past, mainly film festival was held only for the movie industry officials and experts. But now it established a variety of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participation of many people. The popularity of such festivals is required disposition and attitude analysis of various consumer groups.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the research cent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festivals for visitors satisfied. Analysis of the personal beliefs, attitudes, and disposition has not been studied yet. This study classified by type of subjective disposition and recognition for individuals wh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experience by Q methodology. Finally, the results of the three types were derived such as value-oriented culture and art type, leisure-oriented type, and amusement-oriented type.

      • KCI등재

        애니메이션 수용자의 인식유형과 취향에 관한 주관성연구

        현승훈(Hyun, Seung-Ho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6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수용자의 인식유형과 취향에 관한 주관성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써 Q방법론(Q-methodology)을 사용하였다. Q방법론은 인간의 태도와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 철학적, 심리학적, 통계적 그리고 심리측정과 관련된 개념을 통합한 방법론으로서 인간의 주관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특수한 통계기법이다. 기존의 양적방법론인 R방법론이 차이의 심리학(differential psychology)에 기본 가정을 두고 수용자 간의 차이를 수용자가 특정한 변인에 대해 얻은 개별적 특성의 차를 반영하는 것이라면, Q방법론은 의미성에 있어서 수용자 개인의 내적 차이 즉, 주관성의 개별 특성을 근거로 한다. 따라서 매체, 혹은 영상 장르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적 인식특성을 연구함에 있어 Q방법론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Q방법론을 사용한 결과 애니메이션 장르에 대해 수용자들의 다양한 선호유형별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유형별 특징은 먼저 스토리텔링과 서사적 가치를 추구하는 문학, 서사적 가치 지향형, 캐릭터와 미장센 등과 같은 영상미를 추구하는 회화, 심미적 가치 추구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락적 요소와 볼거리를 선호하는 대중 오락적 가치 지향형 등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선호유형의 구분을 통해 추론할 수 있었던 것은 영상의 생산과 소비가 가능한 능동적 취향의 디지털영상세대 수용자들은 계급위치의 상징적 표현으로써 자신들의 취향문화를 구분하고 받아들이기 보다는, 철저히 개인적 혹은 주관적 성향에 따라 주체적으로 기호를 소비하는 듯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면에서 수용자의 주관성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한 Q 방법론적 고찰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만으로는 구체적 취향의 다양한 생성 맥락까지는 밝혀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와 함께 다양한 질적 혹은 양적 방법론을 함께 적용하여 수용자의 인식유형 및 선호도를 분석해 본다면 좀 더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is a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on recognition types and preferences of animation audience. Therefore, Q-methodology was used as a methodology of this stud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fi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audience on animation genres. The features of each type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First was an artistic and literary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storytelling and descriptive value. Second was a pictorial and aesthetic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visual beauty such as characters and Mise en scene. Third was a visual and entertainment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entertainment factors and attractions. Thu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reference types, it was inferred that digital image generation audience with an active preference that can create and consume images have developed a tendency that independently consumed their preferences based on thoroughly personal or subjective preferences rather than classified and accepted their preferred culture as their symbolic expressions of hierarchical position. In this aspect, Q-methodological consideration that is useful to analyze the subjectivity of audience could be a significant work. Nevertheless, this study alone could not reveal various generative contexts of specific preferences. It seems to have more significant results by applying various qualitative or quantitative methodologies together with this study and analyzing recognition types and preferences of audience.

      • KCI등재후보

        영화 예고편에 대한 관객인식유형의 Q방법론적 연구

        현승훈(Seung-Hoon Hyu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6 No.4

        일반적으로 영화 예고편이란 관객의 상품구매 촉진을 위해 상영될, 혹은 상영되고 있는 영화의 다양한 정보를 홍보, 광고의 목적으로 함축시켜 편집해 놓은 영상광고를 의미한다. 이러한 영화 예고편은 수용자의 상품구매 촉진을 위한 광고행위로서 마케팅 전략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영화산업현장의 실질적 마케팅 전략수립에 있어서 예고편은 상품에 대한 광고로서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상영 전 수용자의 반응을 알아보거나, 혹은 계층에 따른 특성과 취향을 분석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고편에 대한 산업과 학계의 주도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단순히 영화 예고편의 미학이나, 혹은 제작과정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 예고편에 대한 대중들의 취향을 질적 연구방법론인 Q 방법론을 통해 고찰함과 동시에 수용자들의 집단 인식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분류화해 보았고, 이에 최종적으로 고관여형, 중간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관여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그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Generally, movie trailer is the way of delivering the showing information of the relevant films through the cinema, TV or Internet, etc. with the contracted image in advance. Therefore, the movie trailer is the message which it persuades so that the film producing company can buy the specific movie from the unspecified individuals. The movie trailer is manufactured as the object of the public acceptance of the movie and advertisement for th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vie trailer is the kind of the advertisement in which the audience of the specific movie instigates to the public as possible. And, the movie trailer has the function as the catalyst material in which the public consumes the movie. Therefore, importance of qualitative, or quantitative research about the movie trailer is very raised due to the critical issue with the performance prediction of the film industry. However, nevertheless, the initiative research of the academic circles about the movie trailer is insufficient still. Just, it is the aesthetics of the movie trailer. The investigation of production process occupies the majority in that fields. Thus, with considering the taste of the publics about the movie trailer through Q methodology, that is the qualitative study methodology, this research analyze the population type of perception of the recipients and it classified this fe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