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역경후성장 모형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검증

        현숙자(Hyun, SukJa)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역경후성장 모형의 핵심경로를 기반으로, 침투반추와 의도반추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개입을 통해 역경후성장을 더 증진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9명을 대상으로, 역경후성장, 자기자비, 침투반추, 의도반추를 측정하여, 매개된 조절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자기자비는 의도반추, 역경후성장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침투반추와 역경후성장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침투반추와 의도반추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역경후성장 모형의 핵심경로를 재검증한 결과, 침투반추와 역경후성장의 관계에서 의도반추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침투반추는 역경후성장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끼치지만, 침투반추는 의도반추를 매개로 역경후성장에 이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침투반추는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통해 의도반추를 더 증가시켰다. 넷째, 연구모형인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침투반추와 의도반추의 경로에서 자 기자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경로에 이어 역경후성장으로 연결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기능적인 침투반추가 자기자비와의 조절효과를 통하여 의도반추를 확장시킨 후, 역경후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상담실제의 시사점과 추후연구의 제언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intrusive rumination in order to prove that this intervention could cause posttraumatic growth to increase. A total of 27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four variables such as posttraumatic growth, self-compassion,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The data were worked out through PASW 18.0 and SPSS Macro to analyze mediated moderation of self-compassion as a research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ile intrusive rumination,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compassion were not correlated. Additionally, posttraumatic growth, deliberate rumination, and self-compas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mediating model showed deliberate rumina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rough the moderation of self-compassion, intrusive rumination effectively caused deliberate rumination to increase. Fourth, mediated moderation of self-compassion was investigated as a research model. Accordingly,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moderated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rough the moderation of self-compassion, instead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increased and it could be linked with posttraumatic growth subsequently.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together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직장 내 괴롭힘 피해와 관련된 개인요인 및 환경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현숙자 ( Hyun Sook-ja ),유현실 ( Yoo Hyun-sil ),곽민정 ( Kwak Min-jeong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24 분쟁해결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직장 내 괴롭힘 피해와 관련된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의 종합적 검토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국내 학술지 논문 44편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선정된 연구논문들은 Einarsen, Hoel, Zapf와 Cooper(2020)의 직장 내 괴롭힘 설명모형을 참고하여 직장 내 괴롭힘과 관련된 억제요인과 촉발요인을 개인과 환경 차원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개인적 억제요인의 효과크기는 직무만족, 자아존중감, 재직의도, 자기자비, 회복탄력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촉발요인의 효과크기는 소진, 관계불안, 분노, 우울, 이직의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환경적 억제요인의 효과크기는 동료애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관계지향 조직문화, 조직공정성, 상사 리더십, 사회적 지지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환경적 촉발요인의 효과크기는 직무 스트레스가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보상결핍, 경쟁풍토, 조직 불공정성, 역할 과부하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직장 내 괴롭힘과 관련된 전체 촉발요인은 전체 억제요인보다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내 괴롭힘과 관련된 개인 및 환경적 촉발요인을 완화하는 것이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개입에서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추가로 조직 차원의 지원 및 개입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review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workplace bullying, and for this purpose, a meta-analysis of 44 papers in domestic journals was perfor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sizes of the factors on workplace bullying. The selected research papers were reviewed by classifying the inhibitory and triggering factors related to workplace bullying into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levels by referring to the explanatory model of workplace bullying by Einarsen, Hoel, Zapf, and Cooper(2020). Results are as follows: The effect size of job satisfaction was the greatest in the individual inhibitors on workplace bullying, followed by those of self-esteem, employment intention, self-compassion, and resilience. While burnout has the greatest effect of the individual triggers, followed by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fairness, supervisor 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On the other hand, fellowship has the greatest effect size of environmental inhibitors, followed by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fairness, supervisor 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while job stress has the greatest effect size of environmental triggers, followed by lack of compensation, competitive climate, organizational injustice, and role overload. In addition, all triggers related to workplace bullying were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size than all inhibitory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leviating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triggers related to workplace bullying is very important in intervening in workplace bullying. In addition, ideas about organizational support and intervention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