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특허맵(Patent Map) 이론과 사례

        현병환(Hyun Byung Hwan) 한국마케팅과학회 2005 한국마케팅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Vol.- No.-

        특허정보는 연구개발 활동과의 밀접한 연관성, 신기술 및 미공개 정보제공, 데이터 접근 용이성 등으로 기술혁신의 성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과학기술지표로 인정받고 있다. 특허맵이란 특허정보의 서지사항과 기술적 사항을 정리 및 가공하여 분석결과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표화한 것으로, 최근 국내에서도 연구 기획 및 정책 수립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중요한 지표로 특허맵을 활용하고 있다. 본 분석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관고유 사업 및 3억원 이상의 대형과제를 대상으로 특허맵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허맵 분석을 통하여 해당 기술과 관련된 전 세계적인 연구개발 동향과 발전 추세를 분석할 수 있었고, 그 안에서 해당과제 및 연구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경쟁자 파악 및 협력 연구대상 탐구 등 연구개발 활동의 방향 설정에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차세대 성장동력 사업 및 신생태동기기술 분야 등의 대형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연구기획의 사전 타당성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고, 공식적으로 적용하는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신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투자가 원천 특허로 연결되어 국가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전환 시대: 정부지원, 네트워크 역량과 지식공유가 혁신행동을 거쳐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규선,현병환,Choi, Kyu-Sun,Hyun, Byung Hwa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정부지원, 네트워크 역량과 지식공유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혁신행동이 매개하는 효과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코로나 확산일로의 시기로 디지털 기반의 네트워크와 지식공유 활동이 빠르게 범용화된 가운데 법인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357부의 설문을 분석하여 SPSS 버전 24와 smart PLS 3를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정부지원, 네트워크 역량, 지식공유가 증가하면 혁신성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행동은 네트워크 역량, 지식공유와 혁신성과 사이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부지원은 네트워크 역량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혁신성과 창출에 있어서 중요한 혁신행동 유발을 위해 기업인들의 네트워크 역량을 제고하고 지식공유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정부 지원정책으로 제시하여야 하겠다. 이는 곧 기업인들이 자발적으로 더욱 유연하고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인이 되어 줌으로써 기업과 산업의 혁신성장으로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어줄 것이다. 즉, 본 연구는 지식공유 활동과 함께 혁신행동을 야기하여 혁신성과 창출에 도움을 주는 네트워크 역량에 있어서의 정부지원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전체적인 구조상에서 종합적으로 요인들 간 관계성을 실증하였다. The study sets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network cap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on the effects of innovative behavior on innovation performance. As digital-based networks and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re rapidly becoming common in the era of the spread of Covid-19, 35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incumbent employees and the research hypotheses are verified using SPSS 24 and smart PLS 3 to prov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found that innovation performance increased when government support, network cap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increased. Innovative behavior is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capability,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government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etwork capabiltiy. Therefore, in order to induce innovative actions that are important in creating innovative results, various programs to enhance the network capabilities of entrepreneurs and promote knowledge sharing should be required as government support policies. This will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entrepreneurs to voluntarily develop and implement ideas more flexibly and freely, thereby enhancing competitiveness through innovative growth of companies and industries. In other words,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 in the network capability to help create innovative results by inducing innovative behavior along with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nd comprehensively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n the overall structure.

      • KCI등재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 공정성이 조절하는 정서적 고갈의 매개 효과

        정해숙,,현병환,Jeong, Hae Suk,Kim, hyun,Hyeon, byung Hwa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 공정성이 조절하는 매개효과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을 분석하여 SPSS 24와 smartPLS 3를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직장 내 괴롭힘의 증가하면 정서적 고갈, 이직 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고갈은 직장 내 괴롭힘과 이직 의도 사이의 영향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 공정성은 직장 내 괴롭힘과 정서적 고갈 사이의 영향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 의무화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종사자들에 대한 존중과 감수성을 높이고, 조직 공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개인과 기업의 안녕과 성장으로 경쟁력을 높이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괴롭힘 예방을 위한 다양한 변수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impact relationship of the mediated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turnover intention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SPSS 24 and smartPLS 3 by analyzing 400 survey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workers. Studies have shown that increasing bullying in the workplace also increases emotional depletion and turnover intentions. Emotional depletion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turnover intentions, and organizational justice has lai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significantly moderating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emotional depletion. Therefore, it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to increas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well-being and growth of individuals and businesses by increasing respect and sensitivity for workers through compulsory bullying prevention education and various programs. Future research requires research using various variables to prevent bullying.

      •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윤지수(Ji-su Youn),현병환(Byung-hwan Hyu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5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모두 정(+)의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on the intention of entrepreneurship and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bilateral relationship.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hip was positively (+) significant to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cond, entrepreneu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were all positive (+) mediating effects.

      • 일터학습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서비스품질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최정희(Jeong-Hee Choi),현병환(Byung-Hwan Hyu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18세기 후반 산업혁명의 기술혁신과 더불어 사회, 경제 등 일대 변혁이 시작되었다. 변혁과 함께 지식의 중요성이 인식되었고 그로인해 교육과 훈련, 학습 등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로 발전하게 되었다. 하지만 단점과 장점 등을 보완 수정해야 했으며, 그 필요성에 따라 일터학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질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양적 연구의 사례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질적 연구 또한 대기업,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일터학습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서비스품질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여향을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고자 한다. With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major revolutions such as society and economy began. With the transformation, the importance of knowledge was recognized,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a society centered on education, training and learning. However, the shortcomings and advantages had to be supplemented and corrected, and research on work learn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necessity. However, qualitative research is dominant and there are few cases of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is also being conducted on large companies and SMEs. Therefore, the researcher want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workplace learning on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job satisfaction.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경철(Kyung-Cheol Kwon),현병환(Byung-Hwan H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기업의 경영환경에 있어서 단순한 수익창출뿐만이 아닌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도 점점 강해지고 있다. 하지만 CSR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는 냉정하며, 그러한 기업의 활동을 자사의 이익이나 부정적 이미지를 쇄신하기 위한 활동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CSR활동을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소비자들이 CSR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CSR진정성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293부의 자료를 데이터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martPLS 3.0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활동이 기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CSR진정성에는 자선적, 윤리적 책임활동만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매개효과분석에 있어서는 CSR진정성이 윤리적, 자선적 책임활동과 기업태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sumer demands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simple profit creation are getting stronger in the business community of companies. However, the consumers evaluation of CSR is old, and the company activities are evaluated as undertakings aimed at renewing their own profit or improving negative images. This study focuses on the authenticity of CSR as a medium through which consumers who negatively view CSR activities are able to perceive CSR positively. For empirical analysis, 239 copies of data collect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for the general public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using SmartPLS 3.0.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at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attitude. It was further verified that only philanthropic and ethically responsible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CSR authenticity.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determined that CSR sincerity is associated with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corporate attitudes.

      • KCI등재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서비스의 지각된가치가 쇼핑몰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강선(Sun Kang),현병환(Byung Hwan Hyun) 대한경영학회 2021 大韓經營學會誌 Vol.34 No.10

        본 연구는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여러 지각된가치들 중 어떤 지각된가치가 얼마만큼 온라인 쇼핑몰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국내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서비스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인 쿠팡의 로켓배송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로켓배송서비스를 6개월 이내에 1회 이상 이용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로켓배송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지각한 경제적가치, 품질적가치, 감성적가치가 로켓배송만족도와 쇼핑몰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로켓배송의 감성적가치는 로켓배송만족도와 쇼핑몰충성도에 각각 직접적으로 가장 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경제적가치, 품질적가치 순으로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몰충성도의 총효과 분석 결과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으며, 로켓배송에 대한 감성적가치가 다른 지각된가치의 3배 이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소비자가 로켓배송서비스를 좋아하고 이를 사용할 때 편안하고 즐거운 감정과 좋은 기분을 많이 지각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감성적가치가 쇼핑몰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더 깊이 연구하고자 배송경제성, 반품처리성, 신속정확성의 배송서비스 품질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반품처리성의 조절효과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신속정확성, 배송경제성 순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배송서비스 품질이 좋아질수록 감성적가치가 쇼핑몰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며, 배송서비스 품질 중 반품처리성이 미치는 조절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물류 및 배송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가치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차원적인 지각된 가치를 적용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지각된가치를 쾌락적 요소 및 실용적가치를 모두 포함한 경제적가치, 품질적가치, 감성적가치의 다차원적인 가치를 적용하여 배송만족과 쇼핑몰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서비스 품질인 배송경제성, 신속정확성, 반품처리성의 조절에 따라 감성적가치가 쇼핑몰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도 추가 연구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은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서비스가 고객에게 감동을 주고 있으며, 이런 감동의 조절효과로 배송서비스 품질 중 반품처리성, 배송경제성, 신속정확성 순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통기업들은 이런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배송에 있어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ffect of consumers’ perceived value of the last mile delivery service on the corresponding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n the loyalty closely related to the profits of the company. Therefore, focusing on Coupang’s Rocket-delivery service, a representative success case of the last-mile service in Korea, this research has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perceived emotional value, economic value, and quality value on Rocket-delivery satisfaction and the shopping mall loyalty. This study shows that the emotional value of Rocket-delivery has the greatest significant effect on Rocket-delivery satisfaction, followed by economic value and quality value.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emotional value of Rocket-delivery has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Coupang shopping mall loyalty, followed by quality value direc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tal effect of variables on Coupang shopping mall loyalty, it shows that the emotional value of Rocket-delivery has the greatest influence. It can be inferred that using the Rocket-delivery service makes you feel good and a lot of pleasant emotions. Therefore,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emotional value on shopping mall loyalty in more depth, the moderating effect of Rocket-delivery service quality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turn-handling property is the most significant, followed by the delivery-economy and the quick-accuracy.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effect of consumers’ multidimensional perceived value of logistics and delivery services on their loyalty. This study shows 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perceived valu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shopping mall loyalty by applying emotional value, economic value, and quality value including both hedonistic and practical values to the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using the last mile delivery service.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delivery-economics, quick-accuracy, and return-handling which are quality factors of delivery service on the emotional value of the delivery service which has the most influence on loyalty. An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 from the research results is that the last mile delivery service impresses custome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quality of delivery services in the order of the return-handling, the delivery-economy, and the quick-accuracy affects this emotion. The point is that distribution companies that provide last-mile delivery services can apply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for delivery by using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기술이전 협상에서 기술도입 기업의 기술료 결정 요인 중요도에 관한 연구

        백종일(Jong-il Baek),현병환(Byung-hwan H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분야로의 기술이전을 목적으로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공공부문의 연구기관과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정부 기관 등 이해 관계자에게 ‘기술도입 기업’ 입장에서 고려하는 중요한 기술료 산정 변수가 무엇인지에 대한 의미 있는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농촌진흥청 차세대바이오그린 21 국책 연구 사업을 통하여 유상 기술이전을 받은 N사업단의 85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 1개월 동안 AHP 설문 조사를 통하여 기술료 결정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도입 기업에서는 1)기술 활용에 따른 수익성, 2)경영진의 관심 및 의지, 3)기술도입의 필요성 및 긴급성 순서로 기술료 결정을 위한 중요도의 우선순위가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첫째, 향후 국가 R&D 연구 정책 또는 국책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에서 단기간에 현장 활용성이 높고 제품화 등 기술도입 기업의 수익성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 둘째, 기술료 지불 절차와 방법, 기간 등에 대해 기술도입 기업의 경영적 부담을 줄여주어야 한다는 것 셋째, 국책 연구과제를 공모할 때는 기술 개발의 시급성이 반영되어 연구수행 기간이 산정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eaningful inform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concerning the determinants of royalties to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centers and agencies. These groups are responsible for policies encouraging technology transfer from the public sector to the private sector. To identify key determinants of royalties in technology transfer, this study conducted AHP survey analysis (Survey period: 01/10~31/10, 2016) of 85 companies which were participants of the R&D project "Next Generation BioGreen21" of R.D.A in the "N"center from 2011 to 2015.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critical factors include: 1)Technical considerations for determining the profitability of the technologies, 2)The interest and willingness of the management group, 3)Necessity and urgency of technology transfer. These findings suggest three main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centers and agencies should develop technologies that help companies improve their commercialization as well as the profitability in the near future. Second, government-funded research centers and agencies should consider reducing the administrative burden of the royalty payment for private companies. Third, public R&D projects should reflect the proper research schedule for technology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R&D time span of companies which transfer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