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잔류 일본인’을 둘러싼 포섭과 저항 : ‘본국 귀국자’라는 다중적 아이덴티티의 가능성

        현무암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비평 Vol.- No.8

        1972년의 중일국교 정상화 이후, 특히 1980년에 들어서 전후에 중국으로부터 귀환하지 못했던 많 은 ‘잔류 일본인’이 귀국하게 되었다. 이들이 일본 패전 후의 극심한 혼란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중국인의 가정에 들어가게 된 이른바 ‘잔류부인’ 및 ‘잔류고아’다. 하지만 간신히 조국의 품에 안 기게 되었어도 ‘중국잔류 일본인’에 대한 일본 정부의 냉대와 사회적인 차별 속에서 이들은 사회 적인 마이너리티 그룹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은 자신들에 대한 지원과 존재의 정당성을 위 해 국가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는 등 싸워나가야 했다. 그 결과 일본 정부는 여느 전쟁 피해에 대 한 소송에서처럼 ‘국가의 책임’에 대해서는 ‘전쟁피해 수인론(受忍論)’을 가지고 부정하면서도 실 질적으로는 ‘특별한 조치’를 통해 구원 정책을 펼치게 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수인론’과 전쟁 책임론 사이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는 ‘중국잔류 일본인’을 통해 기민과 이산이라는 역사성이 투영되는 이들에 대한 일본의 정책과 제도, 그리고 일본 사회 속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위치 및 전후 역사인식 속의 의미와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Following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Japan in 1972, many of Japanese who remained in China after WWII because they could not be repatriated during the postwar period returned to their homeland, especially in the 1980s. These people, known as “Japanese orphans” or “Japanese women remaining in China,” are people that lived on along with the Chinese people in order to survive the aftermaths of Japan’s defeat. They were able to return to their motherland with difficulty, however, they were treated not as Japanese but as a foreigner. Therefore, as a minority, they had to struggle to receive reparation from the nation, which required having to prove their residency in Japan. In the end, the Japanese government denie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based on the ‘war damage endurance theor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special policy’ to support them. This paper examines Japan’s policies toward the Japanese who remained in China after WWII, which stand on the border between the ‘war damage endurance theory’ and the ideology of war responsibility. This paper considers the position of these people as well as the meaning that they hold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consciousness’ during postwar Japa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타이완의 ‘백색 테러’ 시기와 이행기 정의 : 뤼다오 신생훈도처를 중심으로

        현무암(Hyun, Mooam)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5 No.-

        국민당 정권하에서 가혹한 국가 폭력에 의해 생명과 인권이 유린당했던 백색 테러 시기(1949〜1987)의 타이완은 감옥섬이었다. 국제화 시대에 들어서도 주권국가체제의 국제 질서로부터 배제되어 온 ‘고립무원의 섬’ 타이완은, 그럼에도 국가 폭력에 맞서 인권을 존중하는 진보적이고 개방적인 정치문화를 만들어 왔다. 이 글은 백색 테러 시기의 사상 개조 및 집중 수용 시설이었던 뤼다오 신생훈도처가 “인권으로의 길”을 통해 국가인권박물관으로 거듭나는 타이완의 ‘이행기 정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국가 폭력의 극복을 과제로 하는 타이완과 한국은 이행기 정의/과거사 청산이라고 하는 정치문화를 공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28사건에 비해 백색 테러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백색 테러 정치적 수난자의 회고록 및 구술 기록과 전기물을 활용하면, 타이완 백색 테러 시기에 ‘정치범’의 말소를 암시하여 정치적 행동을 규율하는 절망의 기호로서 작용한 뤼다오 신생훈도처의 실상에 다가갈 수 있다. 민주화를 이루기까지의 타이완의 감옥화 된 삶을 규정했던 신생훈련처의 고찰을 통해, 타이완 ‘이행기 정의’에 있어서 백색 테러가 가지는 의미를 명확히 할 수 있다. As human rights were neglected under the martial law imposed by the Kuomintang (KMT) regime, Taiwan during the era of the White Terror was known as “Prison Island.” After achieving democratization, Taiwan has been rapidly implementing “transitional justice” to condemn the injustices that occurred during the February 28 Incident (1947) and the White Terror period (1949~1987).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ransitional justice” in Taiwan, where the Green Island New Life Correction Center, originally intended for ideological correction and collective confinemen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national human rights museum. Though Taiwan and South Korea are thought to share a political culture supported by civil society, the White Terror is less known to the world than the February 28 incident. By means of examining memoirs, oral records, and biographies of victims of the White Terror,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the New Life Correction Center and its attempt to eliminate political dissidents. To better contextualize Taiwan’s “transitional justice” and its relation to the White Terror,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ethods in which the New Life Correction Center regulated its inmates.

      • KCI등재

        한일관계 형성기 부산수용소/오무라수용소를 둘러싼 "경계의 정치"

        현무암 ( Moo Am Hyun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6

        해방 후 한국과 일본의 국교정상화를 위한 교섭 과정 속에서 힘겨루기를 했던 것은 청구권 문제나 식민지 지배 인식 등을 둘러싸고 대립한 정치 엘리트들만이 아니었다. 한일 간에는 재일동포는 물론 제국의 해체에 의해 단절된 생활공간을 재건하려 했던 ‘밀항자’, ‘내선결혼’이 파탄하여 귀국하는 일본인 처, 그리고 제국주의 시기의 어장으로 조업을 나가는 일본인 어부 등이 경계를 오갔다. 이런 사람들을 귀국·억류·송환의 과정에서 경유·교섭·조사를 위해 붙잡아두는 곳이 부산수용소와 오무라수용소였다. 이처럼 한국과 일본은 국민국가를 확립하는 탈식민주의적 경계 설정에 있어서 서로 충돌할 위기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래서 양국은 부산수용소와 오무라수용소라고 하는 대립하는 국경의 안쪽에 또 하나의 ‘경계’를 설치하여 국교정상화교섭에 나서는 ‘경계의 정치’를 전개했다. 본고에서는 한일관계 속에서 사람의 이동의 중요한 접촉면이었던 부산수용소/오무라수용소에 초점을 맞추어 국제정치 속에서 이곳에 수용된 이동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이용되었는지 그 역사적·정치적 동태를 통해 한일관계 형성기에 있어서 ‘경계’의 의의를 재고하고자 한다. In the post-war relations between Japan-ROK, it wasn’t limited to elite politicians with conflicting ideologies in regards to property-claims issues or recognition of colonial rule pulling strategic strings in the negotiating process. There were also many people who were crossing the border, such as stowaways who were trying to reestablish the livelihood and circumstances that had been disrupted by the disassembling of the empire, Japanese wives returning home from broken intermarriages with Korean, as well as Japanese fishermen seeking out prewar fishing waters. The Busan Alien Detention Center and the Omura Immigration Center were set up to detain these people during their stopover, as part of the investigation and negotiation of the repatriation, detention and returning process. Japan and Korea were literally standing on the edge of a precipice, on post-colonial demarcations upon which they were establishing their nation states. For this reason both countries deployed border politics in both the Busan and Omura compounds, establishing another border within their conflicting border where they could engage in diplomatic normalization negotiations. This paper reconsider the significance of the border during the Japan-ROK relations formative period by focusing on the Busan and Omura compounds, and which sheds light on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dynamics in the field of human migration, in order to determine how the detainees were used in international politics. I am specifically trying to give the Busan Compound and its functional transition a proper place in the history of the Japan-ROK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