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왜도정규분포 기반의 측정오차모형

        허태영,최정순,박만식,Heo, Tae-Young,Choi, Jungsoon,Park, Man Sik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6

        본 연구에서는 정규분포 기반이 아닌 왜도정규분포 기반의 측정오차모형을 제시하고 단순선형회귀모형에서의 기울기 계수에 대하여 특성을 파악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측정오차모형에서 단순선형회귀모형에서의 기울기 계수의 과소추정 및 감쇠의 정도를 보였다. This study suggests a measurement error model based on skewed normal distribution instead of normal distribution to identify slope parameter properties in a simple liner regression model. We prove that the slope parameter in a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is underestimated.

      • KCI등재

        최단경로 기반 교통량 공간 예측에 관한 연구

        허태영,박만식,엄진기,오주삼,Heo, Tae-Young,Park, Man-Sik,Eom, Jin-Ki,Oh, Ju-Sam 한국통계학회 2007 응용통계연구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연평균일교통량 예측을 위한 공간회귀모형을 제시하였다. 비록 공간 분석을 위하여 조사지점들 간의 유클리디안 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조사되지 않는 도로의 교통량 예측을 위하여 교통량 조사지점들 간의 최단경로를 이용한 공간회귀모형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공간예측방법으로는 일반크리깅을 사용하였으며 교차검증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최단경로 기반의 교통량공간예측모형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we suggest a spatial regression model to predict AADT. Although Euclidian distances between one monitoring site and its neighboring sites were usually used in the many analysis, we consider the shortest travel path between monitoring sites to predict AADT for unmonitoring site using spatial regression model. We used universal Kriging method for prediction and found that the overall predictive capability of the spatial regression model based on shortest travel path is better than that of the model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by cross validation.

      • KCI등재

        층화모집단 평균에 대한 붓스트랩 추론

        허태영,이두리,조중재,Heo, Tae-Young,Lee, Doo-Ri,Cho, Joong-Jae 한국통계학회 2012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9 No.3

        층화확률추출은 모집단을 어떤 층화기준에 의해 여러 층으로 분할한 다음 각 층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표본을 임의추출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실제 조사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표본조사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층화확률추출을 사용하여 추출된 표본을 통해 모평균에 대한 붓스트랩 추정량과 신뢰구간 및 가설검정 등 통계적 추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층화모집단에서의 모평균의 추정량과 관련된 극한 분포이론들을 기초로 붓스트랩 일치성을 근거로 층화 모평균에 대해 표준 붓스트랩 방법, 백분위수 붓스트랩 방법, 스튜던트화 붓스트랩 방법을 활용한 신뢰구간과 붓스트랩 가설검정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모의실험을 통해 신뢰구간 추정 방법들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In a stratified sample, the sampling frame is divided into non-overlapping groups or strata (e.g. geographical areas, age-groups, and genders). A sample is taken from each stratum, if this sample is a simple random sample it is referred to as stratified random sampling. In this paper, we study the bootstrap inference (including confidence interval) and test for a stratified population mean. We also introduce the bootstrap consistency based on limiting distribution related to the plug-in estimator of the population mean. We suggest three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s such as standard bootstrap method, percentile bootstrap method and studentized bootstrap method. We also suggest a bootstrap test method computing the $ASL_{boot}$(Achieved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of estimation are verified using simulation.

      • KCI등재후보

        고객혁신성과 가치지향성 기반의 2단계 사전 고객세분화를 통한 시장 확산 전략

        허태영(Tae-Young Heo),유영상(Youngsang Yoo),김영명(Young-Myo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 기술혁신학회지 Vol.10 No.1

        R&D를 통한 미래기술개발은 정보 및 지식기반 경쟁력이라는 틀 안에서 기업의 생존과 연계된 기술적 혁신전략과 맞물려야 하며 개방형 네트워크 R&D 조직을 통하여 고객 중심의 미래기술전략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미래기술개발은 단순히 미래예측을 통한 기술개발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술개발 단계 이전부터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미래기술 또는 서비스 개발에 실제로 고객 니즈를 반영한 기술의 시장화를 통하여 기업가치의 극대화를 높여야 한다. 일반적인 시장세분화는 일반적으로 인구 통계적 특성 또는 고객의 소비 패턴 등과 같은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고객을 구분하는 사후세분화를 광범위하게 활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방식은 고객의 다양한 잠재 수요분석을 통한 새로운 시장기회를 탐색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장기적 관점에서 미래 기술서비스에 대한 수요파악을 위해서는 고객의 심리의식, 라이프스타일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고객 세분화 기법을 적용한 사전세분화가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미래통신서비스 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고객의 기술수용태도와 일상생활에서 추구하는 가치지향성을 세분화 변수로 선택하고 이를 통하여 미래 통신서비스 시장을 세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기술개발활동 단계부터 사전세분화를 통하여 기술개발전략 구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신기술에 대한 수용태도를 기준으로 2개의 군집을 도출하였으며 구분된 2개의 군집에 대하여 각각 고객의 가치지향성을 기준으로 2차 세분화 분석을 실시하는 계층적 고객세분화 모형을 제시하였다. 계층적 모형을 통하여 도출된 군집에 대한 상세 분석을 통해 군집별 세부적인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세분 군집이 독립된 개별 시장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밝혀내었으며, 대응일치분석을 통하여 특정 미래통신서비스에 대한 시장의 진입, 확산 그리고 전이가 용이할 수 있도록 목표 세분 군집을 위치화 하였다. R&D into future technologies should be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strategies that are linked to corporate survival within a framework of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competitiveness. As such, future technology strategies should be ensured through open R&D organizations. The development of future technologies should not be conducted simply on the basis of future forecasts, but should take into account customer needs in advance and reflect them in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technologies or services. This research aims to select as segmentation variables the customers' attitude towards accepting future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ir value orientation in their everyday life, as these factors will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 demand for futur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thus segment the future telecom service market. Likewise, such research seeks to segment the market from the stage of technology R&D activities and employ the results to formulate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the customer attitude towards accepting new technologies, two groups were induced, and a hierarchical customer segmentation model was provided to conduct secondary segmentation of the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respective customer value orientation. A survey was conducted in June 2006 on 800 consumers aged 15 to 69, residing in Seoul and five other major South Korean cities, through one-on-one interviews.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a sub-group demonstrating a high level of technology acceptance (39.4%) and another sub-group with a comparatively lower level of technology acceptance (60.6%). These two sub-groups were further divided each into 5 smaller sub-groups (10 total smaller sub-groups) through two rounds of segmentation. The ten sub-groups were then analyzed in their detailed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age patterns in existing telecom services such as mobile service, broadband internet and wireless internet and the status of ownership of a computing or information device and the desire or intention to purchase one. Through these steps, we were able to statistically prove that each of these 10 sub-groups responded to telecom services as independent markets. We found that each segmented group responds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market. Through correspondence analysis, the target segmentation groups were positioned in such a way as to facilitate the entry of future telecommunication services into the market, as well as their diffusion and transfer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