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알아두면 유익한 코너(5) - 하천점용 유효기간의 연장허가 인정 여부

        허철,Heo, Cheol 한국하천협회 2011 하천과 문화 Vol.7 No.4

        다음은 "법제업무 운영규정"(대통령령) 제26조 제27조 및 "법제업무 운영규정 시행규칙" (총리령) 제22조에 의해 법제처에서 "하천 점용허가 유효기간의 연장허가 인정 여부"에 대한 법령 유권해석(안건번호 2008-0281, 회신일 2008. 10. 17)의 내용이다.

      • KCI등재

        近現代韓、中語文政策與漢文(古典文言文)教育的變化

        許喆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1 한자연구 Vol.- No.29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debate and decision-making on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after modern times.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s in space and time background, South Korea and China have very similar development process and outcome in many aspects, such a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debate and decision-making related to language policy. The dual structure of this study, which has both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s different from that before modern times. And this kind of difference is also the present appearance of Sino-sphere.

      • KCI등재

        韓國 漢字敎育硏究의 動向과 課題

        허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Han Character is not monopoly Character system by one nations or one people, commonly using in Character system which in the oldest East-Asia Countries, also use in the new make Han Character culture circle in the world. Using some character have to need learn Character education. In this view, this paper have a three step find out Research trends and issues about “Han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1. review meaning why we need “Han Character education”,2. look find out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compare with other countries “Han Character education”. 3. review through time how and what change in the field of study theme. 4. research trends and issues changes meaning. Research about “Han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ime spread and find out new issues, but mostly change trend history is the role of reaction about the time’s issue. 주지하듯 한자는 한 국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전통의 동아시아 국가 뿐 아니라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신한자문화권에서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문자이다. 한자의 사용과 더불어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한자교육이다. 본고는 우선 한국 한자교육의 성격을 한자문화권의 다른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한자교육과 어떤 차별성을 지니는지를 보편성과 특수성의 원리에서 규명해 보았다. 이후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한자교육이 근대 교육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위상 변화를 하였는지 통시적으로 점검하고, 교과 교육으로서 지니고 있는 한자 교육의 특수성과 보편적인 면을 구체적인 연구 방법과 적용 사례 등을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현재까지의 연구를 소재별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통시적으로 살펴보면서 연구 소재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의 한자교육 연구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그 연구 영역을 확대하였고, 긍정적인 연구 성과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시대적 흐름에 따른 작용과 반작용의 결과로 도출되고 있는 한계에서 벗어나 보다 더 미래지향적이고 충분한 교육적 당위성과 독자적인 연구 영역, 연구 방법의 확충을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좀 더 심화하여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연구 성과와 이론화를 꾀해야 할 때이다.

      • 기능성 VR콘텐츠를 통한 콘텐츠의 사회적 공헌방안 연구

        허철,김상헌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2

        기능성 콘텐츠의 정의와 VR콘텐츠에 대해 알아본다. 기능성 콘텐츠는 기능성 게임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기능성 콘텐츠 안에서 기능성 게임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기능성 콘텐츠의 개념은 기능성 게임(serious game)의 개념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기능성 게임이란 용어는 1977년 사회과학자인 클라크 앱트(Clark Abt)의 동일제목 저서를 통해서이다. 게임이 사용자에게 재미를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과 반대로 기능성 게임은 사용자에게 게임플레이의 재미와 유의미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대안적 게임을 말한다. 가상현실(VR)은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공간에서 사용자가 실제적인 감각정보를 VR시스템으로 받아 사용자가 실제상황이라고 인지하게 만드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VR콘텐츠들은 현재 다양한 부분에서 다양한 기능성 콘텐츠와의 결합이 되고 있다. 그 중 사회적 공헌이라는 부분과의 결합이 되기 위한 콘텐츠의 부족한 부분을 넘어서 새로운 장애인식개선 콘텐츠의 사례를 연구한다. 콘텐츠의 의미를 통해 향후 이와 같은 콘텐츠는 사용자 만족을 최대화 하며 또한 기능성 콘텐츠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결과물자체에 대한 가치를 넘어 콘텐츠의 사회적 공헌이라는 가치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 KCI등재

        2010년대 이후 중화권 문언문 교육의 변화와 시사

        허철,송준영,종우겸,김혜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1 漢字 漢文敎育 Vol.51 No.-

        본 논문은 2010년대 이후 중화권의 문언문(한문) 교육의 변화를 통해 한국의 한문과 교육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한자문화권의 同而不同을 이해하고자 한다. 근대 시기 한국의 갑오개혁, 일본의 메이지유신, 중국의 5.4운동은 각 나라의 근대화에 분수령이 되는 사건이었으며, 그 역사적 사건 안에 포함된 여러 변화 중 우리의 언어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되는 문자개혁 운동과 언문일치 운동, 그리고 문언문(한문) 교육의 변화가 포함되어 있었다. 3국의 언문일치 운동에서의 공통점은 모두가 자국의 구어에 맞게 문어 생활을 변화시켜 새로운 근대 지식의 보급과 확대를 통한 새로운 지식 사회 건설에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문언문(한문)은 정전 언어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여 사어(死語)화 되었으나 교육의 관점에서는 다르게 취급되었다. 중화권의 어문개혁 운동과 문자개혁 그리고 문언문(한문)의 사회적 위상 변화와 교육의 가치 변화는 한국의 한자 교육이나 한문 교육, 그리고 어문정책에 관련된 논쟁과 정책 결정 등과 비교해 볼 때 공간적ㆍ시간적 배경만 다를 뿐 상당히 유사한 전개와 결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문언문(한문) 교육의 위상 변화는 정치 권력과 매우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정치권력의 변화에 따른 문언문(한문)교육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정치와 교육이 어떤 관계 속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핌으로써 향후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문언문(한문)굥교육이 변화할 모습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런 예측 속에서 한국의 한문과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발견하고 미래의 한문과 교육의 성격과 위상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orea’s Gabo Reform, Japan’s Meiji Restoration, and China’s 5.4 Movement were watershed events in the modernization of each country, and among the changes included in the historical event were the language matching movement closely related to our language life. What the three countrie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were all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knowledge society through the dissemination and expansion of new modern knowledge by changing octopus life to suit their own spoken language.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impact of controversies and decisions on language policy that have been developed since China’s modern and contemporary era on language education. In many ways, such a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debate and policy decisions related to language policy in Korea,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quite similar developments and endings, with only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backgrounds. The dual structure, which has both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can identify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different form from the pre-modern dual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