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세 쓰시마 조선어통사의 정보수집 경로와 내용

        허지은(Her Ji-Eun) 한일관계사학회 2009 한일관계사연구 Vol.32 No.-

        도쿠가와 바쿠후는 대외통교정책으로서 「鎖國政策」을 실시하는 한편 나카사키(長崎), 쓰시마(對馬), 사츠마(摩), 마츠마에(松前)등 4개의 대외 창구를 설정한 후 해외정보를 수집하였고, 다른 지역으로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해외정보를 관리통제하고자 하였다. 이 가운데 스시마는 조선관련 정보 및 중국대륙 정보 수십에 있어서 주요한 대외창구였다. 쓰시마는 조선과의 外交貿易 업무가 이루어지는 倭館을 중심으로 조선 및 중국관련 情報를 수집하였다. 언어도 문자도 다른 조선과의 의사소통과 정보수집의 최전선에 있었던 것은 조선어를 이해하고 구사할 수 있는 朝鮮語通詞였다. 이들은 조선과의 무역 등에 종사해 온 쓰시마의 특권상인인 六十人商 출신으로 藩의 필요에 따라 동원되었으며, 왜관내에서의 업무처리를 위해 1693년 이후에는 왜관에서 상주하면서 근무하였다. 조선어통사의 기본업무는 통역이었지만 이들은 이 외에도 조일간의 외교무역교섭석상에서 양자 간의 의견을 절충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이두가 섞인 한문 및 한글로 작성된 문서를 번역하고 작성하는 업무도 담당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들은 쓰시마에서 바쿠후의 요구에 따라 또는 자체적인 필요에서 지시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통사의 정보원은 업무수행 과정에서 가장 빈번하게 접촉하는 조선의 譯官들이었다. 이들은 통사가 제반사항에 대해 질문했을 대 자신의 선에서 정보수집이 불가능할 경우 한성에 있는 자신들의 인맥까지도 동원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성의를 보이기도 했다. 조선조정에서 東萊府를 통해 공식적으로 왜관 측에 제공하는 정보가 중국관련 내지는 조선에게 불리한 사안일 경우 축소되고 전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잇는 반면 조선어통사가 수집한 정보는 보다 정확하고 걸러지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정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바쿠후가 필요로 했던 정보는 일련의 정책들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필요한 내용들이었으며, 쓰시마에서 필요로 했던 정보는 조일 양국간의 외교무역 관계의 중간 매개자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해 그리고 바쿠후로부터 조선관련 질문을 받았을 때 답변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었다. During the early 17th century Japan"s foreign relations contracted dramatically due to the so-called seclusion policy of the Tokugawa bakufu. The country, however, was far from closed. The bakufu maintained four windows to the outside world which included Nagasaki, Tsushima, Satsuma and Matsumae, through which foreign trade and diplomacy were conducted. These place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llect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related to Japan"s national security. Tsushima played a key role in collecting Korea-related and China-realted information. The Japanese Outpost in Korea called Waegwan(倭館) established and managed by Tsushima played a key role in Japan"s foreign relations with Korea. Korean officials and merchants visited the Waegwan, and they were to be mediated by Tsushima"s korean interpreters in their dealings with the Japanese counterparts. Korean interpreters had their origin in Sixty Merchants(六十人商), who were the privileged merchants of the Tsushima domain and engaged in the Korea trade and had some communication ability in Korean. They were mobilized when needed and began to reside at Waegwan since 1693. The basic duty of Korea interpreters was interpretation, and they also translated the documents written in Chinese of Korean to be sent to Tsushima and Edo. Since they had to be present in all the dealings and negoti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they were able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ose dealings and negotiations. The most important duty assigned to them by the Tsushima domain, however, was to collect information on Korea or China. The domain needed the information for its owen purposes, and sometimes the bakufu ordered Tsushima to gather specific information on Korea or China. It was Korean interpreters who actually engaged in the information gathering work in the field. In Korean interpreters"s information gathering work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was Korea"s Japanese interpreters, who were counterparts of Korean interpreters in their daily business. They even showed their good will be providing the requested informa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personal networks in the capital Hanseong(漢城). Some information delivered by them were more valuable than those delivered through the official line because the former tended to be unfiltered and undoctored. Korean officials were very careful in delivering information related to China, and they were also reluctant to deliver information unfavorable for Korea. These information were likely to be altered or curtailed by Korean officials when they were delivered to the Japanese at Waegwan. The bakufu wanted to have information related to Japan"s national security delivered, but the Tsushima domain needed a wide range of information on Korea in addition to the ones requested by the bakufu.

      • KCI등재

        근세 왜관 館守의 역할과 도다 도노모(戶田賴毛)

        허지은(Her Ji-Eun)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8 No.-

        조·일관계상에서 관수가 왜관에 처음 파견된 시기를 일본에서는 1637년에 파견된 平成連(우찌노 곤베(內野權兵衛))부터, 조선에서는 1639년에 파견된 平智連(嶋雄權之介(시마오 곤노스케))부터로 보고 있다. 조선에서는 국서개작사건 이후 일본이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그들의 동향에 주목하고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고, 이듬해인 1636년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조선에서는 일본과의 분란을 가능하면 만들지 않기 위해 왜관의 일본인 단속을 강화할 목적으로 관수의 파견을 허락하고 관수 및 그의 솔속들에 대한 접대규정을 마련했던 것으로 보인다. 쓰시마번에서 조선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朝鮮方에서 작성하여 관수에게 주었던 館守調書 의 내용을 보면 관수가 왜관에서 수행했던 역할과 기능은 왜관 내 일본인들에 대한 통제, 조일 양국 통교에 관한 의견 제안, 조선 및 북경에 관한 정보수집 및 보고, 東向寺에 조일간에 왕래하는 문서사본 기록의 지시 등 조일간의 왕복문서의 기록과 관리, 왜관 안에서 근무하는 일본일들에 대한 제재 및 관리 등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일간에 관수제도가 확립되고, 1873년 메이지 정부에서 왜관을 침탈할때까지 100명이 넘는 관수가 조선에 파견되어 왜관의 총괄책임자로서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 가운데 네 차례나 조선에 파견되었던 도다 도노모는 역지통신 교섭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으며 고관수 시기에는 통신사강정재판으로 역지통신의 시행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The Japan House(Waegwan, 倭館), was the Japanese settlement in Joseon(朝鮮)and the site for diplomacy and trad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re were officials who came from Joseon and Japan to the Japan House for managing the Japan House and for the surveillance of Japanese residents. The kanshu(館守) managed the Japan House. This official had the responsibility of grasping the actual conditions of diplomacy and trade with Joseon. Therefore, he was to be familiar with the full affairs of the Japan House. Thus, he recorded the daily events there. It was a duty of the manager to collect information on Joseon and China and report back to his higher authority, the Tsushima domain. The manager Toda Tonomo(戶田賴母) recognized his ability to deal with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He went to his newly appointed assignment as the manager at the Japan House in Busanin 1779. Subsequently, this competent official held his post four terms in succession. Moreover, he participated in the negotiations regarding the “location modifying diplomacy in Tsushima” in 1811(易地通信).

      • KCI등재

        근세 왜관과 朝鮮語通詞를 통한 조·일간의 교류 -『通譯酬酌』의 「風儀之部」·「酒禮之部」·「飮食之部」를중심으로-

        許芝銀(Her, Ji-Eun) 한일관계사학회 2019 한일관계사연구 Vol.64 No.-

        왜관은 조선인과 일본인의 공식적인 소통과 접촉을 위해 허용된 공간이었다. 한편, 조선인과 일본인의 접촉과 소통을 막기 위해 구분된 공간이라는 이중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인이 왜관을 출입하려면 동래부사의 허가가 있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러나 조선인은 비공식적으로 빈번하게 왜관을 방문했다. 일본인은 왜관을 자신들의 영역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예고도 없이 무단으로 왜관을 방문하는 조선인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조선과의 의사소통의 최전선에 있었던 조선어통사는 이들을 접대해야 했다. 그 때 조선어통사가 수행했던 역할을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인이 왜관을 방문했을 때 의사소통은 조선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통역의 역할을 담당했다. 둘째, 갑작스럽게 조선인이 왜관을 방문했을 때 조선어통사는 그들을 자신의 처소에서 접대하고 그들의 요구에 따라 일본요리를 준비하기도 했다. 셋째, 왜관은 조선인에게 국내에서 외국인을 보고 외국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었기 때문에 관심이 지나쳐 일본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도 있었다. 이 때 조선어통사는 조선인에게 일본문화에 대해 설명하는 역할을 했다. 넷째, 조선어통사의 의무였던 조선관련 정보수집의 연장선상에서 조선인과의 사적인 만남에서도 정보수집을 위해 노력했다. 조일간의 경계면이었던 왜관에서 이루어졌던 조일간의 비공식적인 교류에서 조선어통사 등 일본인들은 외국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우선시하고 권위의식을 그대로 표현하는 조선의 양반들의 행동에 대해 불쾌감을 느끼기도 했지만 직접적으로 불만을 드러낼 수 없었다. 그 이유는 당시 쓰시마번이 조선과의 무역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조일관련 업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양반이 포함되어 있는 조선인과의 사이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무엇보다도 꺼렸기 때문이다. 그나마 조선어통사가 업무상 잦은 접촉으로 친분관계를 형성한 역관에게 문제점을 제시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것이 최선이었다고 생각된다. In order to enter the Waegwan, Koreans must have received the permission of the Head Official of Dongrae-bu. However, Koreans frequently visited the Waegwan informally. The Japanese recognized the Waegwan as their territory, thus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Koreans visiting the Waegwan without notice. However, the Korean interpreters who were at the forefront of communication with Joseon had to host them. At that time, the role that the Korean interpreters played was as follows. First, when the Koreans visited the Waegwan, communication became the role of the interpreter because it was performed in Korean. Second, when the Koreans suddenly visited the Waegwan, the Korean interpreters hosted them in their own dwellings and prepared Japanese dishes according to their needs. Third, because the Waegwan was the only space where Koreans could see foreigners at home and experience a foreign culture,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y were of too much interest and gave displeasure to Japanese people. At that time, Korean interpreters played a role in explaining Japanese culture to Koreans. Fourth, I have attempted to gather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 meetings with Koreans on the collecting of information related to Joseon, which was the obligation of communicating in Korean. In the unoffici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took place in the Waegwan, and which was the boundary between Korea and Japan, Japanese people were displeased with the actions of yangban in Joseon, who expressed curiosity in foreign culture and expressed an authority consciousness. However, that could not be revealed. The reason was that Tsushima maintained its livelihood through the trade with Korea, which made it more difficult than ever to have difficulties with the Koreans, who included yangban who could affect their work. I believe it was best for the Korean interpreters to present problems to the translator who made frequent contact with their friends and asked for corrections.

      • KCI등재

        쓰시마(對馬島) 조선어통사의 성립과정과 역할

        허지은(Her Ji-Eun)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조?일관계상에서의 쓰시마 조선어통사의 역사, 입지 및 역할 등에 관해 검토한 것이다. 임진왜란 이후 조일간의 외교?무역업무는 왜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언어도 문자도 다른 조선과의 의사소통과 정보수집의 최전선에 있었던 것은 조선어를 이해하고 구사할 수 있는 조선어통사였다. 이들은 조선과의 무역 등에 종사해 온 쓰시마의 특권상인인 60인 상인 출신으로 번의 필요에 따라 동원되어 통사로서 임무를 수행했으며, 왜관내에서의 업무처리를 위해 1693년 이후 왜관에 상주하면서 근무하였다. 쓰시마에서는 1727년부터 체계적인 교육과정 속에서 통사를 양성하였는데, 그 이유는 1678년 왜관이관으로 일본인들에 대한 통제강화로 조선인과 접촉하면서 조선어를 습득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과의 무역량 감소로 商賣를 위해 조선으로 건너가는 인원이 감소되고 조선어학습에 대한 의지를 상실함으로써 조선어수준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쓰시마에서는 계속되는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아메노모리 호슈 등 儒者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과거 조일간의 통교의 樣態를 명확히 할 목적으로 朝鮮通交大紀 分類紀事大綱 등의 기록을 정비하였다. 조선관련 정보의 구축을 통해 조선과의 외교?무역교섭의 근거로 삼음과 동시에 교섭을 원활하게 이끎으로써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 했던 것이다. 이렇게 조선관련 정보를 구축해가는 시점에서 정보수집의 최전선에 있는 조선어통사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졌을 것이다. 따라서 쓰시마에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조선어통사를 양성하기 시작하려고 했던 것은 번 재정을 재건하기 위해 당시 쓰시마에서 실시했던 조선 관련 정보구축이라는 정책 속에서 連動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선어통사의 기본업무는 통역이었지만 이들은 이 외에도 조?일간의 외교?무역교섭석상에서 양자 간의 의견을 절충하는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교섭에 주체적으로 관여하기도 하였다. 또한 동래부에서 양역을 통해 왜관에 전달한 傳令의 寫本이 諺文으로 되어 있었고 양역이 통사에게 보낸 문서의 경우 諺文 내지는 한글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통사는 조선식 한문 또는 한글로 되어 있는 문서를 번역하고 작성하는 업무도 담당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들은 조선과의 의사소통과 조선관련 정보수집의 최전선에 있었던 존재로서 쓰시마에서 바쿠후의 지시를 받아 요구하거나 쓰시마 자체의 필요에 의해 요구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들이 수집한 다양한 정보는 이후 쓰시마, 이후 바쿠후의 대조선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reviews the history, status, and roles of Korean interpreters in Korea-Japan relationships. Sinc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diplomacy and trade business 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had centered on Japanese Settlements. It was Korean interpreters understanding and speaking Korean who was at the forefront of communication with and information collection from Korea of which language and culture were different from Japanese’s. These interpreters were from the sixty person merchant who had been engaged in privileged trade business with Korea and stationed permanently at Japanese Settlements since 1693. They were selected to carry out the given task as Korean interpreter if needed. Tsushima had trained Korean interpreters with systematic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since 1727, of which reason was that learning Korean language through contacting Koreans had become hard due to the heightened control of Japanese after the transference of Japanese Settlements in 1678.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Japanese to go over to Korea for trade business decreased due to the decrease of trade amount, and also Japanese’s will to learn Korean was depressed down, Korean language level declined accordingly. At that time, Tsushima consolidated the records such as ‘Bunruikizitaikou’ and ‘Cyousentsuukoutaiki’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past Korean-Japanese trade patterns in order to overcome the long-lasting economic difficulty in Tsushima according to the advices from the Confucian scholars such as Amenomori hosyu. They intended to overcome the economic difficulty by making it foundation for diplomacy and trade business with Korea and also leading the negotiations smoothly. Thus, at this period of Korea-related information building, the needs for Korean interpreters at the frontline of information collection would have increased more. Therefore, the effort to train Korean interpreters with systematic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in Tsushima is thought to be administered parallel with the Tsushima’s policy of Korean-related information building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duty of Korean interpreters was translation, but they performed the role of mediating the ideas of Korea and Japan in diplomacy and trade business meeting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also occasionally played the initiative role in the negotiations. In addition, since not only the official message that the person on duty sent to Korean interpreters but also the one that Dongnae-Bu sent to Japanese Settlements via the person on duty were written in nbun, Korean interpreters also performed the duties to translate and write the documents in Korean-style Chinese. Above all, however, they most importantly played the role to collect and provide information required for Tsushima itself or by the Shogunate. It is understood that the information that they collected would have influenced later on the policy-making toward Korea of the Shogunate.

      • KCI등재

        『海東諸國紀』의 유통과 조·중·일 관계

        허지은(Her Ji Eu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2

        『해동제국기』는 신숙주가 역사, 지리, 풍속, 사신왕래의 연혁, 사신접대의 규정에 관한 舊禮를 찬술한 것이다. 신숙주는 1443년에 통신사의 서장관으로 직접 일본에 다녀온 경험과, 오랫동안 예조판서로 있으면서 축적한 외교경험을 바탕으로 조선과 일본의 과거 典籍을 참고로 하여 『해동제국기』를 완성하였다. 1471년 『해동제국기』가 편찬된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의 지리, 환경, 일본인의 혈통을 파악하는데 『해동제국기』가 기본자료가 되었으며, 일본과 류큐왕국 등 외국에 대한 접대 의례의 기준이 되고 있었기 때문에 북방 야인들에 관한 책자를 만드는데 있어서도 그 참고자료로서 이용되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일본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입수하게 되면 기존의 『해동제국기』 내용에 첨부해 가는 방식으로 내용을 보완해 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사신접대와 관련하여서는 당시의 상황을 반영하여 조정해야 한다고 하는 등 그 내용을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았고 이견도 많았다. 또한 임진왜란 시기 『해동제국기』는 명나라의 정응태가 조선을 참소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 이 사건은 정무를 중단하는 극단적인 선택을 함으로써 조선을 무고했던 것으로 결론이 났다. 이후 명나라를 의식하여 조선에서는 『해동제국기』의 유통이 활발하지 않았다. 한편 청대 중국에서는 『해동제국기』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유통이 이루어져 일본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되었다. 일본에서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과의 원활한 외교・무역 관계의 유지를 위해 그리고 조선이 일본관련 정보를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해동제국기』가 유통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 현재 『해동제국기』의 판본은 한국보다 일본에 더 많이 남아 있다. Hedongjegukgi (海東諸國紀) written by Shinsuk-ju (申叔舟), was a literature that delivered some practical knowledges on Japan including its history, geography, custom, envoy exchanges, and traditional etiquettes on envoy reception. Shinsuk-ju completed this volume based on his experiences to visit Japan as Seojanggwan (書狀官, Document Officer) of Joseon Tongshinsa (Envoy) in 1443, and long-term diplomatic practices as Yejopanseo (the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referring to prior literature on Joseon and Japan. Since Hedongjegukgi was published in 1471, it had been used as a basic reference to understand the geography, environments, and ancestry of Japan. Hedongjegukgi was also referred by those who worked for literatures on wild groups in northern regions as it provided the guidelines of reception for foreign countries like the Kingdom of Rhykyu, and its content kept being added when new information on Japan was collected. As time went by, however, skepticism or different opinions for some parts of Hedongjegukgi were growing, for instance, with the idea that envoy reception should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situational context. In addition, Ding Yingtai (丁應泰) of the Ming Dynasty in China brought a charge against Joseon to the emperor based on the content of Hedongjegukgi. Joseon took a bold reaction against it by suspending all political affairs and finally led to the conclusion that it was a false charge. This event made the circulation of Hedongjegukgi less active in Joseon. While it was difficult to have a copy of Hedongjegukgi during the Qing Dynasty in China, it was still circulated and was utilized as a source to understand Japan. Furthermore, Japan also needed to grasp the content of Hedongjegukgi to maintain the diplomatic and trade relations with Joseon recover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mjinwaeran) because Joseon used it as the guidelines for trade with Japan, and also to see to what extent Joseon understood about Japan. For those reasons, more printings of Hedongjegukgi are remained in Japan than in Korea at present.

      • KCI등재

        근세 쓰시마의 바쿠후로의 정보보고와 유통

        허지은(Her Ji-Eun) 한일관계사학회 2010 한일관계사연구 Vol.37 No.-

        근세시기 쓰시마는 도쿠가와 바쿠후에게 있어서 조선관련 정보 및 중국 대륙 관련 정보 수집을 위한 주요한 대외창구였다. 쓰시마는 조선과의 外交?貿易 업무가 이루어지는 倭館을 중심으로 조선 및 중국관련 情報를 수집하였으며, 정보수집의 최전선에는 조선어를 이해하고 구사할 수 있는 朝鮮語通詞가 있었다. 이들이 수집한 정보는 조선의 정치?사회?경제?문화 전반에 관한 내용과 함께 중국?북방?유럽의 상황 등을 아우르는 폭넓은 것이었다. 조선어 통사가 수집한 정보는 관수를 통해 쓰시마에 보고된 후 쓰시마의 에도 번저(江戶藩邸)의 에도 家老 → 그 달의 당번 로쥬(老中)의 家老 → 당번 로쥬, 또는 쓰시마 → 에도 번저 에도 家老 → 루스이 → 그 달의 당번 로쥬의 公用人 → 당번 로쥬의 경로를 거쳐 보고되었다. 그러나 에도 번저에서는 경우에 따라 당번 로쥬 외에 오메츠케(大目付)를 비롯하여 바쿠후의 정책결정이나 쓰시마의 바쿠후에 대한 입장과 의사표명에 도움을 주거나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인물들에게도 정보를 제공하였다. 한편 쓰시마에서 바쿠후에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쓰시마의 에도 번저에서는 바쿠후에 대해 조선관련 정보의 수집해야 하는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쓰시마의 입장을 고려하여 쓰시마의 정보수집 임무의 허점을 드러낼 만한 내용은 수정한 후 바쿠후에 보고하였다. 그리고 바쿠후의 간죠부교(勘定奉行) 등이 로쥬의 허가를 받지 않고 쓰시마 에도 번저의 가로에게 정보를 요구하기도 했는데, 에도 가로는 쓰시마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대응하였다. 근세시기 쓰시마는 바쿠후에 대해 단순한 정보전달자가 아니었던 것이다. The Japanese Outpost in Korea called Waegwan(倭館). Korean officials and merchants visited the Waegwan, and they were to be mediated by Tsushima"s Korean interpreters in their dealings with the Japanese counterparts.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Korean interpreters were reported to the bakufu through the Tsushima domain. The head of Waegwan sent the report to the domain. Then Tsushima sent the report to the karo at domain"s Edo residence. The karo or rusui of the domain submitted the report to the roju of the bakufu in the medium of its karo. Sometimes the report was distributed to other high-ranking bakufu officials such as ometsuke in order to strengthen its position in Korea-Japan relations. Some bakufu officials such as kanjo bugyo asked Tsushima officials to report the information to them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roju. They responded to this kind of request only if they thought it was beneficial to the domain. When officials at Tsushima"s Edo residence submit information to the bakufu officials, they paid a special attention to tne fact tnat information unfavorable for Tsushima"s special position in Korea-Japan relations should not be included. It was not unusual that Tsushima officials doctored or altered the information before it submitted the report to the bakufu.

      • KCI등재

        근세일본의 규슈지역 대외창구와 중국관련 정보-『華夷變態』를 중심으로-

        허지은(Her Ji-Eun)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70 No.-

        본 논문에서는 에도막부가 규슈지역에 설치된 복수의 대외창구를 통해 중층적으로 중국관련 정보를 입수했던 점에 주목하였다. 각 대외창구를 통해 입수된 정보의 내용을 『華夷變態』에 수록된 ‘삼번의 난’ 관련 정보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류큐-사쓰마 경유의 ‘삼번의 난‘ 관련 중국정보는 류큐가 중국과 조공책봉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에서 류큐에 직접 전달한 정보의 경우 나가사키에 무역을 위해 오는 복건지역 상인들이 가져오는 풍문을 바탕으로 한 정보와는 달리 정확도 면에서 의미를 가졌다. 조선-쓰시마 경유의 삼번의 난 관련 정보는 나가사키에 온 중국 상인들이나 류큐-사쓰마번 경유의 정보를 통해서는 얻기 어려운 북경 관련 소식이었고, 이에 대한 조선의 대응과 관련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막부에게 의미가 컸다. ‘삼번의 난’ 시기 나가사키에 들어온 네덜란드인을 통해 입수되어 “『화이변태』”에 수록된 정보는 당시 네덜란드가 자카르타를 거점으로 동남아와 복주 등 중국연안에서 무역 할동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지역들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처럼 에도막부에서는 규슈에 있었던 복수의 대외창구를 통해 중국관련 정보를 중층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 등의 상황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I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Edo Shogunate obtained information related to China through multiple external encounters in the Kyushu area.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each external encount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volt of the Three Feudatories” included in “Kai Hentai (華夷變態)” and examined that meaning.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China"s information relating to the Revolt of the Three Feudatories via Ryukyu and Satsuma was based on rumors brought by Fujian merchants who came to Nagasaki for trade because Ryukyu sent tribute to China. Information related to the three wars between Joseon and Tsushima was difficult to obtain through information from Chinese merchants who came to Nagasaki or through the Ryukyu-Satsuma line. Further, it was said to the shogunate that this included contents relating to Joseon’s response. The meaning was great.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utch who entered Nagasaki during the "Revolt of the Three Feudatories" and recorded in the “Kai Hentai (華夷變態)” was based in Jakarta at the time, and because the Netherlands were conducting trade in Southeast Asia, Fuzhou, and other Chinese coasts, related contents dominated. As such, it seems that the Edo Shogunate was able to more accurately grasp the situation of China and neighboring countries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China through multiple external countries in Kyushu.

      • KCI등재후보

        丁應泰의 '朝鮮誣告事件'을 통해 본 조ㆍ명관계

        허지은(Her Ji-Eun) 한국사학회 2004 史學硏究 Vol.- No.76

        In September 1598, when the Japanese invasion drew to its end and a cease fire negotiation began, Ding Yingtai(丁應泰), zanhuazhushi(贊畵主事) of Ming China, brought a charge against Choson to the emperor on the basis of the content" of Haedong chegukki(Records of Countries to the East 海東諸國記) which had been written 130 years before. Ding insisted that Choson hide its relations with Japan and consequently defy the emperor's dignity. This happening brought the unprecedented tension between Choson and Ming China.<br/> Dings charge could be fatal to Choson because Choson had been under the Ming tribute system and that Ming sent heavy reinforcements at the request of the king of Choson(Sunjo 宣祖). Besides, the old suspicion of the Ming court that Choson might conspire with Japan against Ming would get more convincing proof if Dings insistence based on Haedong chegukki proves to be true.<br/> Choson's reaction was a bold one, By suspending management of political affairs, Sunjo strongly denied the charge of treason and expressed his objection to peace negotiations, Moreover, he sent jinjusa(陳奏使) for persuading the Ming court that Choson had never lied but only performed a good neighbor(交隣) policy, I believe that the hidden purpose of those reactions consisted in grasping the detached Ming generals' view of cease fire and in demonstrating Choson's position of anti-negotiation with Japan dearly. After a long debate, the Ming court concluded that Dings insistence lacked in its evidence and Choson cleared herself of the charge.<br/> After these happenings, the Ming court took its stand of a nonintervention policy as far as Choson-Japan relations remained unharmful. Though Choson still had to be conscious of Ming China on relations with Japan, Choson tried to use the policy for taking the diplomatic initiative between Ming China and Japan, The Choson court not only tried to remind Ning of Japan as a possible threat in order to prevent another invasion with the help of Ming but also Japan of Choson's relations with Ming in order to cake the initiative in negotiating with Japan. I believe, as a result, Choson could develop the independent relations with Japan from Ming China in following diplomatic activities such as Tongshjnsa(通信使).

      • KCI등재

        에도막부의 諸國巡見使 파견과 쓰시마번의 대응

        허지은(Her, Jieun) 동양사학회 2016 東洋史學硏究 Vol.134 No.-

        This paper introduces archival materials regarding the administrative inspector from Tokugawa shogunate to the Tsushima domain and examines the kinds of information the shogunate collected and how the domain responded. During the Edo period (1603-1867), the Shogun, upon his inauguration, dispatched administrative inspectors to each domain to tighten his control over the domains by collecting information concerning political stability and financial resources of each domain. Administrative inspectors were sent by the Tokugawa shogunate nine times from 1633 to 1837. The archival materials produced by the administrative inspectors dispatched to Tsushima domain reveal that the shogunate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domain’s position as a mediator between the governments of Korea and Japan. The inspectors prepared a list of questions to find out if the domain represented the shogunate’s position and opinion accurately to the government of Korea. In addition, the shogunate intended to collect information on Korea from the domain officials during its inspection. Tsushima domain, in response, emphasized its unique role in the diplomatic relationship to be acknowledged by the shogunate.

      • KCI등재

        17~19세기 조선관련 오라이모노(往來物)와 정보의 유통

        허지은(Her, Ji-Eun)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1 No.-

        오라이모노(往來物)는 헤이안시대 말기부터 메이지시대 전기까지 서민교육시설인 데나라이주쿠(手習塾)와 가정에서 사용되었던 교재이다. 점차 데나라이주쿠가 증가하고 서민 교육이 발달하면서 역사・지리・사회에 관한 다양한 용어와 내용을 담은 오라이모노가 만들어졌다. 현재 확인된 오라이모노는 3만 종류가 넘는다. 에도시대에 일반서민들은 막부가 정책적으로 해외정보의 유통을 차단했기 때문에 해외 정보를 얻기 어려웠다. 당시 오라이모노는 일반인들이 다른 나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경로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또한 1854년 일본이 개국한 이후에는 해외에 대한 일본인들의 관심이 반영되어 보다 폭넓은 해외정보가 수록되었다. 『오라이모노해제사전(往来物解題辞典)』에 소개된 오라이모노 가운데 조선이 언급되었거나 조선관련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 오라이모노는 모두 33종류이다. 18세기까지는 주로 통신사를 조공사절로 인식하는 내용의 오라이 모노가 간행되었다. 19세에 들어서면 임진왜란과 호랑이 사냥 등 일본의 무위를 드러내는 내용과 조선으로부터의 헌상품・공납 등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룬다. 19세기 중후반부터는 아시아 또는 세계 각국의 지리와 역사에 관한 내용을 언급하면서 조선의 경우도 다루고 있다. 19세기 말에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할 때까지의 경위를 내용으로 하는 오라이모노가 간행되고 있다. 이처럼 오라이모노의 내용에는 시대적 상황변화가 반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서민은 데나라이주쿠의 교육을 통해 오라이모노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조선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지식을 축적하고, 나름대로 국가상을 만들고 세계관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기억화과정을 거쳐 잠재되어 있다가 이후 일본의식을 형성하여 일본의 주체의식을 근저로부터 유지시켜주는 축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An Oraimono was a beginner textbook widely used from the end of the Heian (平安) period to the early Meiji (明治) period. As Tenaraijuku (手習塾),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common people increased and education for the common people developed, oraimono containing various terms and contents related to history, geography, and society were created.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30,000 types of orimono identified. In the Edo period, it was difficult for ordinary citizens to obtain foreign information because the shogunate blocked the distribution of foreign information. At that time, the term Oraimono was meant as one of the few channels for the general public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other countries. In addition, after Japan opened in 1854, the interest of Japanese people overseas was reflected, and a wider range of foreign information was included. Among the oraimono texts introduced in 『Oraimono Kaidai jiten (往来物解題辞典)』, there are 33 types of oraimono texts that mention Joseon or contain contents related to Joseon. Oraimono were published until the 18th century, mainly with content by which Tongshinsa (通信使) were recognized as tribute. At the age of 19, the main focus was on content that revealed Japan"s strengths, such as Imjin・Jeongyu war (壬辰・丁酉戰爭) and tiger hunts, as well as content related to donated goods and donations from the dynasty. From the middle to the late 19th century, the case of Joseon was also dealt with, referring to the geography and the history of Asia or of the history around the worl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 oraimono was published that contained the details of Japan"s victory in the Sino-Japanese War.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s of Oraimono reflected the changes of the times. Through the education of Tenaraijuku, the general public naturally accumulated knowledg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related to culture based on the contents of Oraimono, creating a national image and forming a worldview. It is believed that this was latent through the process of memorization, and later formed Japanese consciousness and served as an axis that maintained the Japanese consciousness from its roo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