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죤 듀이의 예술교육관에 입각한 교사의 지성과 정서의 역할

        허정임 釜山敎育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8 學生指導硏究 Vol.18 No.-

        ABSTRACT These days when we are concerned about personal egoistic thought which has been spreading out because of the tendency of postmodern theory since 1950´s, it would be significant that we study J. Dewey´s pragmatist theory which is full of the principle of harmony and unity.In particular to we consider Dewey´s art education theory based on pragmatism would be more significant because the sit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s treated in the field of ordinary life as well as in the classroom in Dewey´s art education theory. In this study I will consider the concept and play of intelligence and emotion have the influence on children.Studying the concept and role of them, we will realize that art renders us aware of their union with one another in origin and destiny.Education through at should serve to enhance the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존 듀이의 경험의 성격

        허정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1 No.-

        이 연구는 존 듀이의 <경험과 자연>에 담긴 일차경험 개념의 성격을 검토한 것이다. 그는 경험을 인간 유기체(자연으로서의 정신)가 대상인 자연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이로써 듀이의 경험은 자연(인간 유기체)과 자연의 상호 작용이며 경험과 자연은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맺게 되었다. 즉 듀이의 경험 관점에서 세계의 모든 것은 경험 과정이거나 경험된 존재로 환원된 것이다. 이것이 듀이의 자연주의적 경험론이다. 이 이론은 거시적인 차원에서 볼 때 인간의 경험은 자연과 상호작용하는 유기체의 신경 작용(정신)이라고 지적한 것이다. 듀이는 경험 개념의 바탕에 있는 논리적 근거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널리 알려져 있듯이 듀이의 경험 개념은 제임스의 두 저서 <심리학의 원리>(1890)와<근본적 경험론>(1912)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따라서 듀이의 경험 개념의 성립 원리는제임스의 두 저서에 나타난 핵심 개념인 ‘순수경험(pure experience)’과 ‘사고 흐름(The Stream of Thought)’에서 찾을 수 있다. 순수경험은 인간 유기체가 얻은 순수한 사물 정보로서 사고(thought)와 사물(thing)이 미분화된 정보이다. 그것은 인간 유기체가 기억한 특정 관념과 결합되지 않은 정보이다. 듀이와 제임스는 그것을 사물인 동시에 사고라고 하였다. 하지만 순수경험은 듀이의 경험을 구성할 수 없었다. 감성 단계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감성적 순수경험은 의식의 사고 흐름을 통하여 기억된 각종 관념과 연합하여 다양한 개념의 연상으로 변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기를 중심으로 사물과 사고도 개념적으로 분리되었다. 듀이의 일차 경험이 생성된 것이다. 요컨대 듀이의 경험은순수경험이 사고 흐름과 직접 작용하여 생성된 것이다. 듀이의 일차 경험은 순수경험과결별하여 순수 관념 상태로 사고 흐름에 작용할 때 이차 경험으로 변화하였다.

      • KCI등재

        지체장애 부모의 양육 실태 및 지원 요구 조사

        허정임,박재국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aring realities and their support demand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aring realiti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showed highest score in physical theraphy in theraphy domain, and the monthly private education wage or theraphy wage was less than one hundred thousand won. And the parents put emphasis on the everyday life guide in home study. And this study showed that national support was highest in the education wage and the expenses of medical care and education ranked the top two areas in their financial burden on family level. To sum up, their demands for support about rearing conditions were as follows; Their demand for support about rearing realities was medical support service to the school and nation, studing support to the school, support for medical care fee for private machinery, support for coaching everyday life in school, support for helping everyday life in school, readjusting allowance for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expanding and improving the sheltered housing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financial aid on goods and equipment specially tailored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체장애 부모의 양육 실태를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그들의 지원요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지체장애 부모들의 양육 실태에 있어 가장 많이 받는 치료는 물리치료, 월평균 사교육비 및 치료비는 10만원 미만, 가정에서의 중점 지도 영역은 일상생활 지도, 지체장애 부모에 대한 국가 지원은 교육 급여, 자녀로 인한 경제적 부담은 치료 교육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체장애 부모들의 양육 실태와 관련된 지원 요구는 학교와 국가에 대한 치료지원서비스 요구, 학교에 대한 학습지원과 사설기관 치료비 지원요구, 학교에서의 일상생활지도와 일상생활지원에 대한 요구, 장애아동 부양수당과 보호시설 확충 지원요구, 특수용품 및 보장구 지원요구가 있었다.

      • KCI등재

        미술과 중심의 통합교육 탐구

        허정임,이은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1 No.-

        Art can provide students with ways of understanding and exploring their lives in terms of culture and society. In addition, art is closely related to other subjects. In other words, artwork should be learned in the context of the culture where it is created. Therefore, art education has to let go of superficial skills or techniques, if it is to support a thinking process that allows for the exploration of visual information, the adequate judging of information available in today’s world, and the abilities to create meaningful art. So art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n important subject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creativity and understanding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art education needs to be integrated with other subjects and should also to be systematic in nature in order to expand students' thoughts and critical understandings of visual images. Furthermore, by including images familiar to children's every day lives, art teachers can ex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their students through the art class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ways of integrating art education into the other subject areas in elementary education. This research also suggests an integrated art education curriculum for school teachers to use in their classrooms. 미술은 학생들에게 개념, 정서, 정신성, 감각을 통해 삶을 탐구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공한다. 또한 우리의 사회적․문화적 삶의 이해를 조사하고 표현하는 방법들을 제공하며 다른 교과 영역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미술작품은 그것이 만들어진 문화적 관점 안에서 학습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미술 교육은 모든 인간 활동과 창의적 사고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과로 인식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생각을 열어주고 시각 정보를 소화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어린이의 특성을 이해해 그들이 삶 속에서 가장 가깝게 접하는 것을 미술 소재로 끌어들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이 논문은 초등학교 현장교육 연구이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에 맞는 미술교육을 통합교육으로 실행하기 위한 주제를 찾아내고, 이를 중심으로 타 교과와의 통합학습안을 제시하였다. 미술과가 중심이 되는 통합교수학습안에 의한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2011년에 부산시 동항초등학교에서 수업을 실행하였고 수업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초등교육에서 각 교과 내에 스며들어있는 미술적 요소, 교과별 내용을 미술교과와 관련시켜서 통합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였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통합교수 학습과정 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미술교육과 인도의 ‘라사’ 이론에 관한 고찰

        허정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9 No.-

        There has been much ext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al field work in arteducation ever since multicultural education came to the fore in Korea. Regretably, however, the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has demonstrated not only the scarcity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on-site training but the difficulty of research.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ofcarrying out researches on the field, the basic foundation for furtherunderstanding of Indian art works in oriental culture area has beeninvestigated. The theory of Rasa as a classical Indian theory is generally referred to asthe matter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of specific aesthetic experience. Itcan be said that the theory is a sort of Indian culture and their traditionalway of appreciating art works. As experience has been emphasized in the2009 reformed curriculum, so is in art education. In the theory of Rasa, it isencouraged to reconsider the value of art works obtained by experience,explaining theoretically the emotions experienced by art work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heory of Rasa, with theorization ofaesthetic experience of Indian art, suggested and activated as a way ofteaching-learning methods by instructors who are focusing on the studentsparticularly associated with Indian culture among primary school studentsfrom various cultural background. In other words, when admitting the theoryof Rasa as the essence of Indian aesthetics, a rudimentary knowledge ofIndian art works and a broad variety of teaching orientation for multiculturalart education can be actively provided. 한국에서 다문화교육이 대두된 이후 미술교육에서 이와 관련한 현장연구들이 있어왔으나 문화의 다양성에 접근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미술교육에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현장교육의 교수학습 자료 부족을 낳게 된다. 이 논문은 이에대한 연구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동양 문화권에 속해 있는 인도 예술을 이해하는 기초적 틀을 고찰한 것이다. 미적 경험의 주관성과 객관성의 문제로 거론되는 고전 인도미학의 ‘라사’이론은 인도인들의 문화이며 예술을 감상하는 그들의 전통적 방법이라고할 수 있다. 고전 인도의 ‘라사’이론에서는 예술작품을 경험할 때 느끼는 감정을 이론적으로 풀어냄으로써 ‘경험’, ‘체험’에 의해 얻어지는 예술품의 존재가치 문제를 다시생각해 보도록 한다. 즉 인도미학의 정수를 ‘라사’이론에서 찾는다고 볼 때 다문화 미술교육에서 인도예술작품의 이해를 위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다문화 미술교육의 폭넓은 교수방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미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 연구신장 연구

        허정임,오금환,박정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7 No.-

        This thesis is a case study of improving creativity through providing the students in an economically, socially, culturally isolated region with proper opportunities of art and 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with respect to beauty are likely to enhance capabilities of creative expression and critical judgment through aesthetic sensitivity. By providing students with a variety of visual and tactile experiences, the program in this study uses these experiences to promote active aesthetic interactions and to cultivate the capabilities in students for creative expres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program creator applied art education program such as painting, making, decorating, Korean traditional art in a form of afterschool program. Experience of art activity related with their interests was emphasized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higher grades of students, the program creator encouraged students to create new idea while enhancing the level of their hand activities. This education was practiced once a week for fourteen weeks (one class is 2 hours). After applying this program to students, the program creator found two important results. First, this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students' creativity in art class. Second, the self-confidence acquired in art class led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in other subjects. 이 연구는 경제적, 지리적으로 문화격차가 많은 소외지역의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문화예술에 대한 친밀감을 형성하고, 정서 순화와 표현력을 도모하여 창의력 향상으로 인한 자신감과 성취감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현장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적용하는 교육 프로그램은 표현하기, 만들기, 꾸미기, 방법탐색, 전통미술 체험하기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영역들은 학생들 자신이 직접 만들거나 디자인하여 꾸미거나 아이디어를 모색하여 표현하는 체험학습의 형태이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는 흥미와 관련되는 예술체험을 만들어 주고, 고학년 학생들에게는 흥미를 바탕으로 하여 손동작의 난이도를 높여나가면서 학생 스스로가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도록 유도한다. 교육 환경이 열악한 경북 의곡 초등학교 분교에 예술 강사가 직접 교수하는 방과 후 교육의 형태이다. 1주에 1회, 14주 동안 실행했으며 1회의 교육시간은 2시간(100분)이다. 교육을 실행하기 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실태와 미술교과 관련 실태를 분석하였고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미술교과의 창의력 신장을 점검하였으며 이 창의력 신장이 타 교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서예교육의 멀티미디어 교수자료 개발 연구

        허정임,전종탁,김명숙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4 No.-

        서예는 서체마다 필법이 다르고 결구(자모음의 배치) 및 장법(낱자의 배치)도 다르다. 각 서체마다 기능적 숙련을 요하므로 미술교과의 다른 영역과는 달리 서체에 대한 기능과 지식을 기반으로 반복적인 연습을 거치는 학습지도과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실기능력이 부족한 교사들을 위해 교실환경에 적용 가능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교수법에 자신감을 주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업자료 준비의 번거로움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서예학습의 특성을 살린 자료 활용으로 차시별 학습목표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멀티미디어 자료를 초등학교 3, 4학년의 현장수업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The subject ‘Art’ is comprised of many fields, one of which is calligraphy. It is considered important because it has traditional value and helps pupils expand their emotional and aesthetic capacity. Thus, it now takes the largest part of the art subject. But it is one of the least favorite areas because they lack teaching skills and materials. Studying and teach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level of the pupils are needed and development of multimedia materials which suits the typical environment of Korean primary schools is also needed. Thus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teaching materials as requested and required by the current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o summarize the actual result. The developed material was produced in CD and thus is duplicable and usable in any classroom. The calligraphy education that will be addressed in the main passage is included in mother language course in China and Japan while it is a part of art education in Korea although Korea belongs to the same oriental cultural area. This implies a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the other two Asian countries, China and Japan, in that China and Japan focuses on the functional aspect of calligraphy such as reading and writing while Korea highlights cultivating emotional sentiment. The actual case study that will be addressed in the main text is regarding development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which will be applicable to the advanced class environment by complementing practical capability of teachers and reducing the hassle of preparing class materials. The education of calligraphy is aimed to establish a good personality and to nurture a harmonized spiritual life for students. In the face of the reality of today’s society characterized by widespread individualism and standardization partly due to computers and materialism, the education of calligraphy could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promote patience, spirituality and creativity among students.

      • KCI등재

        불탑을 활용한 초등미술과 교수법 연구

        허정임,이은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5 No.-

        이 연구는 전통미술에서 불탑을 활용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에 관한 것이다. 즉 문화교육의 한 형태로서 미술교육에 있어서 초등학생들의 미적체험과 감상 그리고 표현능력을 키워주는 학년별 교수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현행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불교문화를 활용하여 교수할 수 있는 내용은 2학년을 제외하고 3, 4, 5학년의 단원12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우리 문화유산을 이해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기도 하며 다른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불교미술의 한 영역인 불탑을 활용하여 미술사적인 맥락에서 이해를 하고, 미술교육 분야의 지식을 넓힐 수 있는 전문성을 키워주고 이를 통해 교실에서 가능한 미술교과의 다양한 교수방법을 학년별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 중에서 6학년의 수업설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수업을 한 다음 그 결과를 검토해 보고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a part of cultural education, to suggest some teaching methods which develop elementary school students' aesthetic experiences and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works of art using Buddhist pagodas. In the current textbooks of the 7th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introduction about Buddhist culture is only limited to unit 12 of the 3rd, 4th and 5th grade textbooks. This study shows various teaching methods using Buddhist pagodas; making pagodas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clay, match sticks, and wet tissue for the 2nd grade, appreciation of pagodas connected with the works of arts in the region for the 3rd grade, combined classes with social studies for the 4th grade, comparative appreciation of pagodas with other countries for the 5th grade, and, for an aesthetic experience, appreciation of modern art and making pagodas creatively for the 6th g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