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험-실천의 구원을 위한 개념적 전략

        허재훈(Hur, Jay-hunn)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2 No.-

        유사-주체의 능동적 실천이라는 환상이 미디어와 인터넷 환경을 넘나들고 있는 것이 현대의 풍경이다. 이성-주체와 감각-경험의 분리라는 전통적인 서양 계몽의 사유는 내재적 방법을 통해 후자를 전자에 복속시키는 역할을 해왔다. 게다가 총체적으로 관리되는 사회는 경험의 구원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총체적으로 관리되는 사회는 경험을 장악함으로써 그 지배를 완성하지만 지배에 균열을 낼 수 있는 계기도 경험이다. 경험은 흐름이자 매체이기 때문에 총체성의 사회가 지배의 계기로 삼으려고 해도 완전하게 장악되지 않는다. 경험의 구원은 여기서 그 틈새를 발견한다. 순응과 체념도 계몽의 속도전에서는 배제해야 할 가치로 간주되지만, 경험의 자리 배열에 의해 드러나는 저항의 구도에서는 의미있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무목적의 목적이라는 경험의 운용 방식은 전일적 지배구조에서는 간결한 저항 방식이다. 어떠한 주체의 행위도 모두 지배에 포섭되어 있는 사회에서 순응과 체념도 저항의 가치가 될 수가 있는 것이다.경험-실천은 권력의 균열에도 유효하다. 워낙 유동성을 경계하는 권력의 구조는 표출적인 경험-실천조차 관리하려 한다. 게다가 권력은 소통조차도 관리하기 때문에 유사-주체의 개별적 저항은 연대의 효과를 전혀 발휘하지 못한다. 그러나 권력도 흐름과 매체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경험-실천의 활동 무대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경험-실천이 이 틈새를 활용하여 소통과 연대를 강화하면 선한 권력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적어도 절대악이 아니라 최소한 필요악의 지위에 머물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경험-실천의 넘치는 생명력과 경험-실천의 무규정성은 현대의 사유지평을 비판하는 지렛대로 기능하기도 하며, 경험의 자기배열을 통해 현대 자본주의의 물신성과 직접성을 드러내는 계기를 제공한다. 저항이 아니라 저항의 계기와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경험-실천의 계기다. 따라서 내재성과 외재성의 통전적 성찰이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경험-실천의 ‘약한’ 구조화를 통해 경험-실천의 터전인 삶, 그리고 그 정치성을 드러내는 작업이 요청된다. 이는 경험-실천의 원근을 확대하고, 정치의 일상화와 일상의 정치화를 통해 선한 권력에 이르는 틈을 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landscape of the modern period reveals an illusion about the activity of pseudo-subject. The Western tradition of enlightenment that breaks down the relationship of reason-subject and sensation-experience has taken a role of subordinating the latter to the former by way of immanent method. In the totally administered society nowadays, the redemption of experience has been made impossibl from the origin. Totally administered society completed its dominance by way of grasping experience, but it is the experience that could make a crack in the dominance. The society of totality trying to dominate experience cannot grasp it completely, because experience is a stream and media. The redemption of experience finds an opening at this point. Though adaptation and resignation are the values that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peedy war of enlightenment, but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the resistance structure that is revealed in the arrangement process of experiences. Operation method of experience as purpose of non-purpose is a simple way of resistance in the structure of totally established dominant structure of power. In a society where all kinds of subjective actions are subordinated to the dominance, adaptation and resignation could be a value of resistance. The experience-parxis is useful for the fissure of power. The structure of power that always watches the fluidity tries to manage even the expressive experience-praxis. Moreover, it manages the social communication, so that any individual resistance of pseudo-subject cannot be effective for the solidarity at all. However, because the power too has the characteristics of fluidity and media, it can be a stage for the activity of experience-praxis. Therefore, if experience-praxis takes advantage of this fissure and strengthens the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an opportunity to make a good power could be prepared, and make it stay at the stage of not the absolute evil but the least necessary evil. The vital life force and the undetermined character of experience-praxis plays a role of a lever for the critique of modern thought,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veal the fetishism and bare immediacy of modern capitalism by way of the self-arrangement of experience, which is contellation in Aodrno’s term. The opportunity of experience-praxis shows not resistance but the opportunity and possibility of resistance. This must be understood more in holistic unity or wholeness than is usual in the ‘weak’ structuralization of experience-praxis, but more politically than the application of its categories to daily lives might imply. In expanding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praxis, it is opened that a road to finding the redemption of experience and the good power is contemplated.

      • KCI등재

        헤겔과 노예제

        허재훈(Hur, Jay Hunn)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4 No.4

        헤겔의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은 근대성의 양면성과 현대사회의 이념적 모델을 파악하는데 핵심적인 요소다. 여기서 헤겔이 노예제를 인지하고 그것을 자신의 철학적 구도에 어떻게 수용했으며, 어떻게 관념적으로 재구성했느냐 하는 점은 무수한 논의의 대상이다. 헤겔은 당시의 다른 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계몽주의와 노예제의 공존에서 혼란을 느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헤겔은 ‘자유’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제기하게 되었으며, 자유의 변증법을 전개함으로써 프랑스 혁명과 계몽주의 전반을 성찰하는 ‘정신’의 변증법을 구상하게 되었다.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이 은유를 넘어선 현실적 의미를 획득하게 된 것도 이러한 과정 때문이었다. 주인과 노예의 상호인정의 투쟁은 ‘시민사회’에서 원자적 개인이 무한 경쟁을 통해 자신들의 욕망을 실현하려고 하는 데서 비롯된다. 시민사회의 욕망은 생존하고자 하는 자기유지의 본성에 따라 이루어짐으로써 목숨을 건 투쟁에 이르게 되고, 이를 통해 지배와 예속의 관계가 정립된다. 주인의 지위를 차지한 욕망은 권력욕망 또는 순수욕망의 실현으로, 노예의 지위를 차지한 욕망은 노동욕망 또는 간접욕망(매개된 욕망)의 실현으로 귀결되었다. 이 두 가지 욕망이 근대성의 틀을 유지하는 기본 개념인 셈이다. 이때 주인은 추상적 체계의 원형으로 기능하고, 노예는 근대적 개인의 원형으로서 노동하는 개인의 표상이 된다. 특히 노예는 노동욕망을 가진 개인으로서 생의 자기유지를 위해 불가피한 생산활동과 생산체계에 자의적으로나 타의적으로 편입됨으로써 현대 사회의 대중을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원형적 개인이 프로테스탄티즘을 내면화하면 비로소 자본주의적 개인이 등장하게 된다. 헤겔이 말하는 ‘시민사회’의 욕망의 무한경쟁은 바로 부르주아의 무한경쟁을 말한다. 이는 소유하는 개인의 자유라는 근대성의 인간형을 모델화한 것이다. 여기에 헤겔은 노동하는 개인을 덧붙여 욕망과 노동의 근대적 개인을 완성한다. 욕망과 노동은 상호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정신에서 발생하는, 동일성과 비동일성, 또는 동일성과 차이의 동일성을 말한다. 우리가 자본주의적 개인이라 말하는 이념적 존재는 바로 추상적 체계를 대변하는 주인의 의식이겠다. 그러나 구체성을 상실한 추상성의 전개는 윤리적 상황을 비롯한 철학적 상황을 추상성 일변도로 만들었다. 물론 헤겔도 추상성에 대한 전면적인 반성 체계로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을 전개했으나 근본적으로는 구체적 추상성이라는 ‘추상적’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헤겔의 윤리학과 인륜성의 전개에서 뚜렷하게 전개된다. 또한 세계사의 도정을 역사철학적으로 단절/분절시켜 이해하는 것 또한 계몽의 특징이다. 헤겔이 직접 시도한 ‘철학사’ 강의 또한 서구 중심주의의 산물이며 계몽주의 시기의 산물이다. 철학사 서술에서 그리스 철학을 호출한 것도 이러한 보편주의의 요청 때문이었다. 말하자면 헤겔은 구체와 추상을 통일하는 변증법적 과정을 제시했지만 철학적 관성에 따른 추상성의 요구로 인해 다시 서구 일변도의 근대성과 추상성으로 빠져버렸다. 헤겔 사유의 추상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식민성과 노예제의 현대적 의미를 다시 살펴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인륜성을 인식론적 견지가 아니라 존재론적 견지에서 다룬다고 하더라도 추상성의 윤리학의 범주를 넘어설 수 없기 때문이다. Hegel`s dialectics of Master and Slave is the key to understand the duality of modernity and the model of contemporary society. The opinions of Hegel`s recognition of the slavery and its reflection in his philosophical system are received with various views. Hegel seems to grasp the point that he confudled at the coexistence of enlightenment and slavery. Hegel`s concept of freedom was due to this circumstances, which reached the considera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enlightenment in general. This renders Hegels` Master-slave dialectics to the actual meaning. The struggle between master and slave started with fulfilling individual`s desire through limitless competition in civil society. The desire of civil society is concluded in the struggle at the risk of individual`s life, and consequently the relation of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The desire of master is revealed as the desire for power or the pure desire. At this moment the master functioned as the original form of abstract system. The desire of slave is revealed as the desire for labour or the mediated desire. At the same time the slave as the original form of modern individuality is represented as the labour individual. In particular, the desire of slave runs into the masses in the modern society, being included in productive activity and productive system and internalized the protestantism. The limitless competition of desire in the civil society and the labouring individual comes from modeling modern human being as individual`s freedom. This ideal model represents the capitalistic individual, which is nothing but the master`s consciousness representing an abstract system. A concreteness lost on a abstractness brings the philosophical situation to be absolutely abstract. Although Hegel developed the master-slave dialectics in overall reflections on the abstractness, he remained an ‘abstract’ level of concrete abstractness. As a result, his theory of ethics and sittlichkeit brings to a conclusion that the abstractness-based universalism reaches a very determined racism. Hegel exposed a dialectical process uniting the concrete and the abstract, but has degenerated into a europe-centered modernity. Under critical investigating the abstracness of his theory, a meaning of slavery and coloniality ha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식민주의의 기초

        허재훈(Hur, Jay-hunn)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0 No.-

        이 논문은 로크의 자연법 이론과 인디헤나의 절멸에서 비롯된 식민주의의 기초를 밝히려 한다. 로크는 자연법을 철학적 전제로 설정하여 자신의 정치이론을 전개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로크는 북아메리카 지역의 식민지 건설에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연법 이론을 전개했다. 로크의 '소유적 개인주의 입장'은 자연상태와 자연법의 상호관계를 토대로, 배제와 절멸의 논리를 펼친다. 소유권을 지니지 않은 사람을 배제하고, 토지를 효율적으로 경작하지 않는 사람들의 소유권을 빼앗고, 이를 토대로 노예제를 정당화하고 절멸의 논리를 펼친다. 부르주아의 문화가 아닌 모든 문화를 파괴하는 식민주의는 바로 여기에서 비롯된다. 로크는 이를 처음으로 세속적으로 전개한 최초의 사상가이다. 로크 이후에 식민주의는 18세기에는 인종주의로, 헤겔에게는 보편사의 착종으로, 다종한 문화권에서는 '오리엔탈리즘'으로 계속 판형을 거듭했다. 18세기 서양의 '철학사'가 보편사로 확고하게 자리잡으면서 사상과 이론은 서구 일변도의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보편사가 상식으로 통용되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제노사이드를 비롯한 인종의 절멸이라는 역사적 과정과 그 철학적 정당화가 잠복해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on the foundation of the colonialism, which comes from Natural Laws by John Locke and the extermination of the indigenous. John Locke develops his political doctrines considering Natural Laws as the logical, metaphysical supposition. He assumes Natural Laws to be the logical presupposition, but is interested in North America. This is evidently seen in his works according to research outcomes. His 'possessive individualism' discusses exclusion and extermination, on the bound of natural laws and natural state. The person without possessive rights is excluded, the people without effective farming is forfeited. Then acculturation is the justifying of slavery and suggestive of extermination. In the possessive individualism of bourgeois society, that is, private property, man is annulled aboard. That is colonialism comes from, which destroys all the cultures but its own cultures. It is Locke who is the first thinker of the imperial. In the thought of Locke found we in profane terminology projected for the world imperial. After Locke, colonialism has been appeared in the guise of racism in the eighteen century, especially in the universal history of system of philosophy, sometimes in the face of orientalism on all sides. The ideas of colonialism and imperialism have been absolutely for the West. In the totally administered society nowadays, the hope of redemption has been made impossible from the origin. From the beneath, operated and practiced the program of deletion of race, its ethnic cleansing is a mere case. Locke's thought for the human rights is consisted of property and freedom in mankind, but it ground baits for its bloodied symposium with words and consults. 'Our word is our weapon', this is wording of one ethnic that is in nearing extermination.

      • KCI등재
      • KCI등재

        민족의 발견과 근대성의 형성

        허재훈(Hur Jay-Hunn) 대한철학회 2005 哲學硏究 Vol.94 No.-

        서양식의 논리에 따르면, 민족은 민족국가의 형성 과정에서 '발견'되며, 동시에 문명화한 개인의 자유주의적 논리, 즉 근대성의 확립과 함께 등장 했다. 민족 개념은 순전히 근대적 논리라는 데 모두 동의하고 있다. 이러한 논리를 긍정하든 부정하든, 여기에는 분명히 일리가 있다. 다만 이러한 민족 논리가 세계를 포괄하는 유일한 논리일 수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해 두어야 한다. 문명의 기준과 근대성의 형성에 대해서는 논의가 분분하다. 그러나 서양의 민족 개념과 근대성 개념이 우리에게 어느 정도 이식되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고 전면적으로 이식된 것이라고 섣불리 인정하기보다는 우리 내부의 여러 계기를 꼼꼼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고찰 대상은 근대성의 계기로서의 민족과 민중 개념이다. 먼저 민족은 사회진화론과 동양평화론을 통해 왜곡되었고, 이 과정은 이식된 근대성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민중의 개념은 한글을 통한 일제의 지배정책으로 인해 이 또한 왜곡되었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민족의 개념은 동학농민전쟁과 의병전쟁 과정에서 제기된 국권회복의 방략이었으며, 민중의 개념은 동학의 사상운동 과정에서 제시된 백성의 인간선언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민족과 민중은 근대성의 계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서구에서 말하는 시민의 완화된 형태로서의 민중의 등장은 민족의 '발견'과 함께 근대화 과정에서 내재적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민중의 등장은 외적인 계기로서의 민족과 함께 근대성의 담당자로서의 민중의 역할을 각인 시켰으며, 더 나아가 일제 강점기 이후 줄기차게 전개된 민족해방운동의 중심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According to Western logics, the conception of nation is found in making of nation-state and in the establishment of modernity, which is liberalistic logic of civilized individual. It is agreed that the concept is the utter modern logic. Whether one is agreed or disagreed in the idea, there is something in it. But I assert boldly that this nation logic is not the only logic covering the whole insistence of nation problem. There seems to be little agreement as to the norm of civilization and the making of modernity. It is never denied that the concept of nation and modernity in the western is transplanted to us. The problem would rather calls for deliberate consideration of our inner moment than concedes the complete transplantation of the concepts. A subject for speculation is the concept of nation and people, which serve as the momentum of modernity. Both concepts were introduced distorted, the former by Orient Pacifism and Social Darwinism, and the latter by Japanese imperialist's ruling scheme using Han-Gul. Viewing from a different standpoint, however, we can call the notion of nation as a means of restoration of sovereignty, which was brought forward during the Dong-Hak peasant war and the royal army's movement. And the concept of people appeared in the declaration of human rights of the people, which have been advanced in the process of Dong-Hak's thought movement. The concep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urse of the embodiment of modernity. The rising of the people, the eased form of western citizen, has played an immanent part with the finding of the notion of nation. Therefore, the raising of people takes the duty of modernity with the finding of nation as an external moment, and furthermore it was reborn as the central force of national liberation from the rule of Japanese colonialist.

      • KCI등재
      • KCI등재

        음악의 윤리학, 인식에서 윤리로

        허재훈(Hur Jay hunn)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4 No.-

        본 논문은 근대성 비판과 미학적 인식을 토대로 '음악의 윤리학'을 정초하려 한다. 바로크 시대를 전후하여 이성적 인식의 세계관이 일반적 세계관으로 정착하게 되면서 서유럽을 중심으로 한 유럽의 인식체계는 현대의 모든 인식체계의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합리성이 보편화를 강변하면서 문명의 위기는 경제위기와 함께 쇠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음악의 윤리학'은 문명 비판과 함께 근대성 비판을 매개로 새로운 인식체계의 지평을 조명할 단서가 된다. 무엇보다도 음악은 양의 동서를 막론하고 인간과 공동체를 연결하는 주요 장치로 기능했다. 이는 인지과학의 인식론에서도 확인되는 바이지만 무엇보다도 기존의 인식체계의 배경을 이루기도 한다. 따라서 음악적 매개는 기존의 인식체계인 근대성을 비판하는 주요 기제로 등장한다. 둘째 음악은 고유의 무정형성으로 인해 자체 내에 서구의 보편적 인식을 해체하는 기능을 숨기고 있다. 따라서 음악적 인식은 비개념적 인식의 대표적 사례다. 셋째 음악은 인간 행위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받기도 하기 때문에, 음악적 문제가 제기되는 순간 윤리적 문제가 뒤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감성의 문제를 다룬다는 가치론적인 주장을 논외로 한다 하더라도 음악은 일종의 실천철학을 주창할 수 있는 최상의 도구가 되며, 따라서 음악의 윤리학이 정립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한다. 넷째 음악의 즉흥성은 구체성의 구원을 예료하면서 동시에 17세기 이전의 사례윤리학을 되돌아보도록 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말하자면 사례윤리학을 비개념적 인식으로서의 음악적 인식을 통해 다시 짚어봐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형식과 구조는 물론이고 탄력과 적응이라는 측면에서 구체적 현장과 지정학적 요소를 감안할 수 있는 포괄적인 윤리학적 밑그림을 제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개념을 중심으로 인식체계를 주창하는 서유럽의 주요 인식지도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이는 문화산업의 확산과 제도화를 통해 더욱 강화된다. 음악적 인식은 예술로서의 모더니즘이 등장하면서 단초를 드러냈지만 일반적인 논의로 확산되지는 못했다. 이는 후에 '탈-주의(post-ism)'를 통해 재등장했다. 그런데 음악과 예술의 즉흥성과 직접성과는 다르게 '탈'주의는 여전히 이성을 근간으로 내세우는 반비판과 비판의 과정에서 화석화 경향을 드러내었다. 이성을 폄하한다는 '탈'주의는 물론이고 그 비판으로 등장한 '탈'주의에 대한 비판 또한 여전히 이성 중심과 동시에 서유럽 그들만의 이성에 머물러 있었다. 음악의 윤리학은 근대성과 유럽-중심의 문명을 극복하기 위한 열쇠를 제공한다. 음악이 한낱 개별자의 치유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명이 시작된 이래로 개인과 공동체를 연결하는 주요 수단이었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음악의 윤리학은 일면적인 인식체계를 극복하고 대안적 공동체에 이르기 위한 인류의 노력을 예료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on an ethics of music based on the critic of modernity and the aesthetic knowledge. Through baroque era, the knowledge system of europe forms all the basis of modernity, in establishing general point of view by rational knowledge. As a result, the crisis of civilization have been deepened into decline. In this situation, the ethics of music is a clue of new epistemology with casting light upon the critique of civilization. Music provides, above all, a function linking man and community, irrespective of east and west. This form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ed epistemology, which is evidently seen in the knowledge of cognitive science field. This musical mediation is a crucial mechanism of critique of modernity too. Music assumes ethical problems to be its theme. For it can affect interactions with human behaviors. In this sense, it plays a role of a way for the advocate of practical philosophy, apart from axiology considering the problem of sensibility. That means scope is given for assuming the ethics of music. In the thought of the ethics of music included a impromptu nature of music, a non-conceptual knowledge. Both of them contributed to anticipation of redemption of concreteness and critique of the epistemology of west europe, raising the controversial issue through all sorts of field. The former should be imposed form and structure, the latter constellation of experience, which gropes a way of resistance in the structure of totally established dominant structure of culture industry. In expanding the perspective of the ethics of music, it is opened that a way to finding the key of modernity and the alternative of eurocentric civilization.

      • KCI등재

        계몽주의와 인종주의

        허재훈(Hur, Jay-Hunn)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1 No.3

        인종주의는 통념과는 달리 18세기 계몽주의 시기에 가장 번성했다. 고대에는 피부색으로 여타 종족을 차별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계몽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보편적 인권을 확립했다. 개인은 현실적으로는 자유롭게 계약할 수 있는 개인이며, 이러한 개인은 자본주의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 자본주의는 식민주의와 결합되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그 내면적 기초로 인종주의가 번성하게 되었다. 이후 피부색 따위를 비롯한 인종차별보다는 문화적 인종주의가 인종차별의 근거를 이루게 되었다. 서양사에서는 유대인에 대한 차별은 종교적 인종주의의 형태로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것은 사실이다. 종교적 인종주의는 아메리카 대륙으로 진출한 유럽 백인들에 의해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무차별 학살했다. 종교적 인종주의는 일종의 문화적 인종주의로, 근대의 생물학적 인종주의와는 다르다. 계몽사상가들은 중세의 종교적인 속박에서 벗어나 합리적으로 사유하고 이성과 진보, 관용과 인도주의의 가치를 역설하면서 미신과 악습을 타파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고문, 사형 제도의 불합리함을 지적하는 등 정부와 교회의 잘못된 관행, 정책을 비판하였다. 이들이 주장하는 이론대로라면 인간성에 기초한 보편적 권리에 따라 여성과 노예를 비롯한 소외 집단도 인간적인 권리와, 나아가 정치적 권리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들은 인간의 자유와 평등을 강조하면서도 흑인과 여성에 대해서는 차별적인 인식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자본주의의 태동에 따른 값싼 노동력 확보를 위해 노예제가 필요했듯이, 인종주의는 이러한 노예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이데올로기로 기능했다. 역사철학적으로 보면 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 기간이라 할 수 있는 ‘신대륙의 발견’에서 18세기에 이르는 시기로 이때가 바로 인종주의가 이론적으로 정립된 시기였다. 18세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자본주의에 대응하는 철학사조가 계몽주의라면, 계몽주의의 내면적 풍경이 인종주의였다. 인종주의는 식민성과 함께 근대성의 핵심 요인이었다. 공통감(각)을 통해 개인의 자율성을 새로운 상식으로 만들었던 흄과 칸트의 이론에서도 인종주의는 여전히 작동하고 있으며, 생각하는 주체와 소유하는 주체의 확립을 통해 인종주의는 감정적인 인종과 소유하지 못한 인종의 배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었다. 근대성의 근간에 놓여 있는 인종주의를 점검하지 않고서 차별과 위계의 문화를 비판하는 것은 일면적인 사고에 불과하다. 계몽주의에서 금기를 타파하는 정신은 인종주의 앞에서는 여지없이 침묵했고, 그 여파는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인종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면 진정한 계몽은 아직 오지 않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 racism in the Enlightenment. To understand a idea of the Enlightenme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acism. During this time, Europe was flourishing with the racism. The racism has been yet hidden in spite of being influential in Europe since 18th century to the present. It also i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that was connected to a coloniality. Since the racism in Europe have been run in parallel with a colonialism, it also need to reconsider the relation of modernity and racism. Ironically, Enlightenment which had adopted a slogan of a universal human rights and a autonomous subject, has implied a racism. Enlightenment theorists such as Voltaire, Hume, and Kant leave a trace of racism, but they could be turned a blind eye to it for the reason to spread and conclude the idea of Enlightenment. While the ego cogito turned out to the ego conquiro and the thinking subject to the possessive subject, the racism has dug into flesh of modernity. The racism that remains etched in western minds appears all over the world in different ways. It drives people paranoiac and half-cultivated. Enlightment could not enlighten without standing against the racism and scrutinizing its philosophical c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