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굴조사 유적지의 복원과 활용 연구 - 자연환경의 디지털 복원을 중심으로 -

        허의행 영남고고학회 2017 嶺南考古學 Vol.- No.77

        The technological progress and development of IT devices and the expansion to the public have brought about changes in preserv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Currently, discussions are underway to restore and study archaeological data using this technology. However, the research on restoration of archaeological data is still insufficient in spite of securing and researching and analyzing many excavation data, and there is a limit to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subject. There were many reasons for lack of interest in realistic conditions and research topic setting. In this regard, digital restoration method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recent restoration research method. Digital restoration is to transform not only analog data of the past but also all the data of recent IT equipment to digital, and then to make the past using various graphic programs. However,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ancient terrain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nly to the archaeological data, and to perform the realistic restoration based on the character of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or example, digital restoration of Bronze Age sites was conducted. The ruins are the ruins of the Bronze Age sculpture on the natural embankment. An analysis of the ancient terrain of the site and its surroundings revealed the direction of the old river in the site and the analysis of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showed that the coniferous forest such as the pine growing in the cold climate was distributed. Along with this, the upper structure was restored. The reconstructed sites and natural environment were digitally reconstructed and visualized. Through this method and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completed restoration plan will be utilized in various directions. Especially, it can be used as education and exhibition data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this regard,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research and utilization of the museum by establishing a virtual museum that introduces the concept of virtual cultural heritage only for archaeological materials. IT기기의 기술적 진전과 발달, 대중으로 확대는 문화재 보존과 보호, 활용에 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 이의 기술을 이용하여 고고자료를 복원 및 연구하려는 논의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고고자료의 복원에 대한 연구는 많은 발굴조사 자료의 확보와 연구, 분석에도 불구하고 논의는 매우 부족하며, 연구 주제의 범위로 확장되는데도 한계가 있다. 물론 여러 가지 현실적인 여건과 연구 주제 설정의 관심이 부족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최근 복원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디지털 복원 방법론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복원은 과거의 아날로그 방식의 자료 뿐 아니라 최근의 IT기기를 이용한 자료 모두를 디지털로 전환한 후, 여러 그래픽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문화재의 원상과 함께 과거의 모습을 시각화하는 것이다. 유적지는 당시의 지형, 자연환경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필요로 하며, 유구는 성격 검증을 바탕으로 사실적 복원이 이루 어져야 한다. 그러한 예로 청동기시대 유적지에 대한 디지털 복원을 진행하였다. 대상 유적은 자연제방상에 자리한 청동 기시대 분묘유적이다. 복원분석결과, 유적과 주변의 고지형 분석을 실시하여 하도의 방향과 유적지의 형성 관계를 밝혀내었고, 주변의 자연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한랭한 기후에서 확인되는 소나무 등의 침엽수림이 유적지 내 분포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개개 유구별 상부구조물의 복원도 실시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환경과 유적에 대해서는 디지털 기기로 복원하여 시각화하였다. 이러한 방식과 방법을 통해 완성된 복원도는 여러 방향에서의 활용이 예상되는데, 연구적 측면에서는 유적의 3차원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므로 과거 문화의 이해 틀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가상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육과 전시자료로서의 높은 활용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디지털고고학의 연구적 측면과 가상유산의 개념을 도입한 가상유적전시관의 구축을 위한 사회 활용적 측면의 논의가 본격 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평양성의 구조와 내ㆍ외부 시설의 고지형적 접근

        허의행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2 No.-

        Janganseong, the capital city of the late Goguryeo, has been used as a four-fortress system comprising a north, inner, central, and outer fortress from the Ido of the Pyeongwon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examining the appearance of the castle at the time it was first built, as the castle has been reinforced, contracted, and us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age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original topography of Pyongyang Castle will be helpful in approaching the appearance of the fortification in the Goguryeo period. Pyongyang Castle examined in such a process can be seen using the topography as much as possible without deforming the topography like other three kingdoms capitals. In particular, after thoroughly examining all parts of mountainous areas (including hilly terrain) and alluvial landform, it is possible to see how appropriate spatial utilization proceeded. North and inner fortresses used mountainous and hilly terrain; the central fortress used hilly terrain and alluvial terraces, and the outer fortress used alluvial terraces to build the fortress walls and utilize the internal space. In particular, it is clear that the outer fortress uses the natural topography as much as possible and the standard topography is Guhado, which run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tle from east to west. This Guhado is confirmed inside and outside the fortress; inside the outer fortress it was used as a canal facility, and it served as a topography for the horizontal division of the inner city center, and functioned as a moat facility from the outside. The appearance of the structure of the castle using this original topography is also seen in other facilities. In the alluvial terrain outside the outer fortress, a river road was built in the form of a moat, and in the mountainous area, an outer moat was installed in the form of a sphere to build defense facilities. For the castle gate, a topography that is easy to enter and exit was selected, and a place with a river road and flat land or a place where water flowed out and drained inside the castle was selected. As a place where water is drained, a wide range of wetland terrain is also observed near Geopimun. You can see the potential of ponds that have existed before. From the outside of the castle, facilities that seem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satellite are confirmed. The traces of Cheongamri Fortress in the north, Nakrang Fortress in the south, Jeokdu Castle in the west, and Hwang Castle in the east are constructed using each topography; thus, you can see the data that can review the traces of the fortress system. As such, through paleontology analysis, the appearance of the inner and outer pristine topography of Pyongyang Castle, as well as th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of facilities using it, were examined. In general, it can be seen that the fine topography that appears in the mountainous and alluvial topography is used appropriately. 고구려 후기 도성인 장안성은 평원왕대 이도 이후부터 조선시대까지 북성과 내성, 중성과 외성의 4성 체계로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여러 시대를 거쳐 오면서 성의 보강과 수축, 내부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해 왔기에처음 축조 당시의 모습을 살피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평양성의 원지형을 파악하는 작업은 고구려 당시의 축성 모습을 접근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한 목적으로 살펴본 평양성은 여타의 삼국 도성들과 마찬가지로 지형을 변형하지 않고 최대한 이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산지(구릉지형 포함)와 충적지형의 모두를 면밀히 검토한 후 적절한 공간적 활용을 진행하려는 모습을 살필 수 있다. 북성과 내성은 산지와 구릉지형을, 중성은 구릉지형과 충적단구를 그리고 외성은 충적단구 지형을 이용하여 성벽의 축조와 내부 공간 활용을 진행하였다. 특히 외성은 자연지형을 최대한 이용하는 모습이 뚜렷한데, 그 기준이 되는 지형은 성 내부를 동서로 관통하는 구하도이다. 이러한 구하도는 성의 내ㆍ외부 모두에서 확인되는데, 외성 내부에서는 운하의 시설로 이용되었고 내부 도심지의 가로 구획을 결정하는 지형으로 작용하였으며, 외부에서는 해자시설로 기능하였다. 원지형을 이용하여 성의 구조를 결정한 모습은 여타의 시설 설치에서도 보인다. 외성 밖의 충적지형에서는 하도를 해자로 이용하고 산지에서는 외황을 설치함으로써 방어시설을 구축하였다. 성문은 입ㆍ출입이 용이한 지형을 선택하였는데, 하도 및 평탄지가 펼쳐진 곳을 이용하거나 성 내부의 용수 유출과 배수가 이루어지는 곳에 설치하였다. 용수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거피문 근처에서는 광범위한 형태의 습지성 지형도 관찰된다. 이전부터 존재한 연못지의 가능성을 볼 수 있다. 성의 외부에서는 위성의 성격을 갖는 듯한 시설물이 확인된다. 북쪽의 청암리토성, 남쪽의 낙랑토성, 서쪽의 적두성과 동쪽의 황성 흔적은 각각의 지형을 이용하여 구축한 모습이며 관방체계의 흔적을 재검토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처럼 고지형분석을 통해서 평양성 내ㆍ외부 원지형의 모습과 함께 이를 이용한 시설물의 설치와 구축의모습 등을 살펴보았는데, 대체로 산지와 충적지형에 나타나는 미세한 지형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모습을 볼 수있다.

      • KCI등재

        매장문화재정보 관리와 활용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획 및 제작 연구

        허의행,안형기 한국문화유산협회 2012 야외고고학 Vol.0 No.15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휴대단말기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전화 기능뿐만 아니라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키고, 수백여 종 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강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으로 말미암아 스마트폰은 사회 분위기를 혁신적으로 바꾸어 나가고 있다. 매장문화재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문화재청이나 문화재연구소 등에서 스마트폰 관 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제작한 것이어 서 전문 연구자들에 의한 활용도는 다소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험 적으로 매장문화재 관련 연구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매장문화재정보 관리와 활용을 위 한 어플리케이션을 기획하고 이를 실제 제작하고자 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제작은 매장 문화재를 담당하는 발굴조사기관에 대한 정보와 이들이 제공하고 있는 유적과 유물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폰이라는 한정된 기기에서 손쉽게 검색 및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두어 제작하였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통해 발굴조사 현장이나 또는 실내에서 많은 연구자들 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스마트폰이라는 기기를 통해 문화재 관련 정보를 손쉽 게 취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제작의 취약성이 더 보 완되고 정밀화된다면 매장문화재 유적 보존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활용에도 적극 활 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opularized smart mobile use triggered changes in our society. A smart mobile has two functions – it can be used as a cellular phone and as a portable computer. Not only does it have management tools and scheduler, fax, and internet access function, it is also able to download and delete hundreds of applications as the user requests. Thus the user can create one’s own personalized mobile and extend its utility functions, which has changed the customs of current society. Although applications for browsing cultural properties were already provid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such programs are meant to target the general public and are insufficient for experts. This paper presents a pilot mobile application providing a professional version for managing excavated cultural properties and for utilizing such information. It is designed to confer an easy search on information about research institutes, sites and artifacts by a smart mobile.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such applications may help researchers acquire information on excavated cultural properties regardless of space and time. Furthermore, it can be applied to advertise cultural heritage related contents to the general public and conserve excavated cultural sites.

      • KCI등재

        유구실측의 3D도면화 적용과 활용방안 연구

        허의행 한국문화유산협회 2016 야외고고학 Vol.0 No.27

        그간 유구의 도면화 작업은 야외에서 수작업으로 실측한 후, 이를 다시 실내로 가져와 트레이싱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유구를 3D 모델링하여 실측과 트레이싱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면 야외조사 뿐 아니라 보고서 작성에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러한 유구도면 작성방법은 간단한데, 모델링된 유구를 제도 프로그램으로 불러와 곧바로 평면 트레이싱을 실시한다. 트레이싱이 완료된 후에는 이동과 회전 등의 편집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보고서에 삽입될 도면을 배치하면 완성된다. 이러한 도면은 디지털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추후 콘텐츠 자료로서 활용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raditionally, the process for drawing of archaeological features is composed of measuring and hand drawing in outdoor and tracing them indoor later. However, simultaneous measuring, drawing and tracing through 3D modeling can save a great deal of time and cost for report publication. Such simple procedure of drawing features are as follows. Firstly modeled data is traced in the programe. After tracing, figures are located in reports using commanders for move and rota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such drawings are digitalized, it will serve as raw dataset for producing various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DMZ 내 유적 탐색과 신발견

        허의행,심재연,양정석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68

        The existence of remains in the DMZ is gradually becoming known through recent fact-finding surveys and local research. However, the approach employed has practical limitations in confirming the existence of remains. Even if the existence of remains has been confirmed, it does not deviatesignificantly from thelevel of review of existing materials. Therefore,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remains in the DMZ were identified through an analysis of aerial photos, which is the basis of the paleotopographic analysis method. The search and confirmation of remains within the DMZ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five metropolitan areas. Each metropolitan area was able to approach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major remains in the prehistoric and historical era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representative remains within the area.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remains was designated through GIS analysis based on past maps and topographic maps such as Daedongyeojido, and the morphological features and traces were further clarified through reading of the aerial photos and p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topography. The remains in the DMZ identified through this proces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fortresses, ancient tomb relics, and saji and other architectural remains. Fortress remains wereconfirmed to be the capital city, fortress wall, and beongsuji and exist in various shapes and locations, from the west coast to the east coast. Regarding tombs, rather large-scale shapes such as Jeokseok-chong and Jeok-gol-chong were confirmed, and the size, shape, and location of some tombs could be re-designated. As for the other confirmed remains, it was possible to examine possible sites of relics such as saji and pavilions. These relics were identified along with a large number of flat topography in Cheorwon and Goseong areas, along with traces of stone structures such as stone pagodas found in literature and ancient materials. Through this analysis and confirmation process, the remains in the DMZ were confirmed, and the newly identified or relocated remains corresponded to a total of 22 sites in 5 region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detailed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uins in the DMZ through a detailed review and follow-up research on the distribut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identified remains DMZ 내 유적은 최근 실태조사와 지역 내 연구 등을 통해 그 존재가 점차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한 접근의 현실적 제약은 유적의 존재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설혹유적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하더라도 기존 자료의 검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고지형분석 방법의 기반인 항공사진 판독을통해 DMZ 내 유적을 확인하였다. DMZ 내 유적의 탐색과 확인은 5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각 권역은 지역내 대표 유적의 분포를 통해 선ㆍ역사시대 주요한 유적의 존재 가능성을 접근할 수 있었다. 이렇게 확인된 유적은 대동여지도 등의 과거 지도 및 지형도 등을 바탕으로 GIS 분석을 통해 그 위치를 지정하였고, 항공사진 판독과 지형의 3차원 제작을 통해 그 형태적특징과 흔적을 더욱 명확히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확인된 DMZ 내 유적은 크게 관방과 고분유적 그리고 사지와 기타 건축물 유적 등으로 구분된다. 관방유적은 도성과 성곽, 봉수지 등을 확인하였고 서해안에서 동해안 지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와 입지에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고분은 적석총과 전골총 등의 다소 규모가 큰 형태 등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일부의 고분은 크기와 형태 그리고 위치 등을 다시금 수정할 수 있었다. 기타 사지와 정자 등이 유존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확인하였다. 이 유적들은 철원과 고성지역에서 다수의 평탄대지 지형과 함께 확인되며, 문헌과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자료 등에서 보이는 석탑 등의석축물 흔적 등과 같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과 확인 과정 등을 거쳐 DMZ 내 유적을 파악하였는데, 새롭게 확인되거나 위치가 다시 특정된 유적은 총 5개 권역 22개소에 해당한다. 추후 확인된 유적의 분포와 현황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후속 연구를 통해 DMZ 내 각 유적의 성격과 시기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前期 聚落의 中心과 境界

        허의행 호서고고학회 2014 호서고고학 Vol.0 No.31

        In the Hoseo region, the distribution of types of settlements is distinctive on the east and west sides of Charyeong Range. However, on the west side, Yeoksam-dong and Heunam-ri types were perceived as settlements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the same settlements. With the recent appearance of the Misari type in the Hoseo region, the corresponding period was defined as the early representative cultural period, and the Misari type is understood as an earlier-time settlement type than the Garak-dong type. This paper examined the bovementioned settlement types, revealing that in the first half of the Bronze Age, within the Hoseo region, Yeoksam-dong, Garak-dong, and Misari types existed. These settlements developed and expanded, tak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ed zones and archeological materials. However, in peripheral areas, the diversity of archeological materials was observed. This phenomenon was distinctive in the borders of peripheral areas where various settlements were distributed. Contacts of individual settlement types and cultural combinations, which may involve mutual complementation or exclusivity, occurred. The shapes of borders and peripheral areas, as defined in geology and ecology, also appeared in the Hoseo region in cultures in the first half of the Bronze Age. Such patterns are classified into four zones: central settlement zone, zone where theexpansion of other settlements were cut off, zone where materials of individual settlement types cam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zone where types of settlements changed over time. In detail, nine cultural combination phenomena were confirmed 호서지역은 차령산맥을 기준으로 以東과 以西에서 청동기시대 전기의 취락유형 분포를 명확히 하는 곳이다. 최근까지 차령산맥 이서는 역삼동과 흔암리유형이 동일한 문화를 근간으로 서로 공존해 온 것으로, 이동은 가락동유형만 존재한 것으로 인식해 왔다. 그러다 미사리유형의 호서지역 내 출현을 계기로 전기 보다 이른 早期의 취락유형을 설정해 가는 분위기다. 더불어 조동리유형이라는 새로운 취락유형의 설정도 같이 진행되면서, 호서지역 내 취락유형의 분포 양상은 다시금 복잡해져 가고 있다. 본고에서 상기한 취락유형들을 재검토한 결과, 호서지역 내 청동기시대 전기의 취락유형은 역삼동과 가락동, 미사리, 조동리유형 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상기 취락유형들은 호서의 일정 지역을 거점으로 하여 정착과 전개, 확산의 과정을 진행해 가는데, 나름의 분포권역을 형성하면서 고고학적 물질자료의 특징을 뚜렷이 갖추어 간다. 그러나 주 분포권역의 중심을 벗어난 외곽에 이르면 타 취락유형의 물질자료들과 복합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더구나 각 취락유형별 분포권역의 외곽, 곧 경계지대에서 그러한 현상을 더욱 뚜렷이 볼 수 있는데, 물질자료의 상호보완이든, 배타든 나름의 문화적 접촉과 차단의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지리학과 생태학에서 개념 정의해 온국경(또는 접경지역)과 가장자리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유사한 점이 많다. 그러한 물질자료의 복합현상은 크게 4개 지대로 구분되어 나타나며, 각 지대별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각 취락유형 간 고유한 특징을 갖는 분포권역 지대(중심지대), 중심지대를 벗어나 취락유형의 확산이 차단되는 지대(차단지대), 각 취락유형의 고고학적 물질자료가 서로 접촉하는 지대(접촉지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취락유형의점유가 변화해 가는 지대(이행지대) 등이며, 각 지대에는 서로 다른 9형태의 다양한 문화 복합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수혈유구의 조사와 분석 방법 - 연기 월산리 황골유적 저장수혈을 중심으로 -

        허의행,신광철 한국문화유산협회 2010 야외고고학 Vol.0 No.9

        수혈유구는 시대를 불문하고 각 유적에서 상당히 많이 확인되는 유구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발굴조사 방법 역시 구체적으로 제시된 바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009~2010년 한국고고환경연구소에서 조사한 월산리 황골유적의 원삼국~백제시대 수혈유구를 중심으로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수혈유구에 대한 조사와 분석의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았다. 기존에 가장 많이 적용되었던 ½ 제토법과 1자둑 제토법은 조사 시간을 단축하고, 유구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순한 층위 해석이라는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1자 Pit 제토법, 십자둑 제토법과 4등분 제토법을 포함하여 각 제토법의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제토법은 추후 수혈유구에 대한 현장 조사시 각 조사방법의 특징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하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포토샵의 Photomerge 기능을 이용하여 혼합-추출한 토층단면 사진을 단면도와 같이 활용하면 층위양상 해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기존에 잘 이뤄지지 않았던 수혈유구 내부퇴적토에 대한 각종 분석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화분 및 유기물 함량 분석, 토양시료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 플랜트·오팔(식물규산체) 분석, 부유선별법 등을 통하여 수혈유구의 퇴적과정, 성격과 기능 등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가 완료된 수혈유구에 대해 온·습도 확인, 저장실험, 폐기과정 관찰 등의 실험을 실시하여, 수혈의 성격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수혈유구가 저장혈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혈유구가 당시 사람들의 사회·경제상 등을 반영하는 중요한 유구라는 차원에서 앞으로 이러한 분석과 실험은 더 많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축적된 자료를 통해 수혈유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 considerable number of pit features have been discovered at various sites spanning all periods. However, systematic studies have yet to be conducted, including studies on method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Thus, this study presents an examination of the pit remains from the Hwanggol site in Wolsan-ri, which date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Baekje period and were excavat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Archaeology and Environment in 2009-2010. It also examines diverse analysis methods. The positive aspects of the current methods most commonly used, namely the half earth removal method and the 1-ja embankment earth removal method, are that they cut down on investigation time and prevent the collapse of the pits. However, their limitations are that they simply analyze the soil stratigraphy of the pit featur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1-ja pit earth removal method, the cross embankment earth removal method, the four-division earth removal method and other methods.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were deemed to be determined by the nature of the investigation method adopted for the site. It was also suggested that, when analyzing stratal patterns, it is useful to use photos of earth layer sections created through mixture and extraction using the PhotoShop's Photomerge function. Various methods of analysing the alluvial soil found within pit remains, which have not been readily been studied thus far, were examined. More objective data on the sedimentary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pit remains were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pollen and organic content, the analysis of the chemical components of soil samples, the analysis of plants and plant opal (phytoliths), and the use of the flotation and selection method. Also, regarding pit features which had already been excavated, their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checked, a storage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the process of abandonment was observed. The 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pits were thus analyzed. Through these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it features would have sufficiently served as storage pits. Since pit features are important archaeological remains which reflect the social, economic and other patterns of past people, such analysis and experimental archaeology should further conducted. In addition, systematic studies should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accumulated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