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아 간질 환아에서 뇌파와 PET과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

        허윤정,이준수,이종두,김흥동,Hur, Yun Jung,Lee, Joon Soo,Lee, Jong Doo,Kim, Heung Do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1 No.3

        Purpose : We performed EEG and PET on children with epilepsy concomitantly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epileptiform and non-epileptiform discharge of EEG on glucose metabolism. Methods : Seventy three children with epilepsy who had PET and EEG simultaneously were included in our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 two ways: (1) based on the frequency of epileptiform discharge and (2) the severity of non-epileptiform discharge. We evaluated the clinical aspects of their seizures, the severity of focal slow waves during the interictal period with the frequency of spikes or sharp waves in order to compare with the PET results. Results : The subjects were divided by the frequency of epileptiform discharge, with 13 in the no/rare group, 7 in the occasional group, and 53 children in the frequent group. The concordant rates with PET in each group were 0%, 42.9%, and 67.9%, respectively, showing high correlations with the frequency of epileptiform discharge (P<0.05, r=0.491). The subjects as divided by the severity of non-epileptiform discharge were 15 in the no group, 25 in the infrequent group, 17 in the intermediate group, and 16 in the continuous group. The concurrence rates with PET for each group were 13.3%, 52.0%, 64.7%, and 68.8%, respectively, also showing a high cor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non-epileptiform discharge (P<0.05, r= 0.365). Conclusion : Epileptiform discharge and non-epileptiform discharge in EEG showed a certain association with hypometabolism in PET. We recommend EEG to reduce false lateralization and to localize lesions in cases of high frequency and severity. 목 적 : FDG-PET에서 발작기와 발작간기에 따라 뇌혈류량에 따른 대사의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뇌파를 통해 발작기와 발작간기를 구분하고 발작간기의 간질파와 비간질파가 포도당 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PET과 동시에 뇌파를 시행하여 PET의 결과와 뇌파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 우리는 소아 간질 환아 중에서 PET과 동시에 뇌파를 시행한 73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발작 및 발작간기의 간질파와 비간질파의 빈도, 심각도 정도를 분류하여 PET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PET과 뇌파 결과의 일치 유무에 따른 조직병리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결 과 : 간질파의 빈도는 없음/드뭄, 간헐성, 빈발성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PET의 포도당 대사 증가 또는 감소의 병변과의 일치율은 각각 없음/드뭄은 0%, 간헐성은 42.9%, 빈발성은 67.9 % 이었다(P<0.05, r=0.491). 비간질파의 심한 정도는 없음, 드뭄, 중등도, 지속성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PET 결과와의 일치율은 13.3%, 52.0%, 64.7%, 68.8%로 각 변수들의 빈도 차이는 의미 있게 분석되었다(P<0.05, r=0.365). FDG 추적자가 흡수되는 동안 임상적 발작이 있었던 환아는 3명 이었으며 모두 발작기의 PET 영상소견인 대사 증가소견을 보였다. 무증상의 발작이 있었던 2명의 환아 중 1명은 간질 발작기와 발작간기의 대사가 혼합되는 소견을 보였다. 수술을 시행한 환아는 10명으로 6명은 PET 결과와 뇌파의 병변이 일치하였으며 6명 중에서 4명은 비디오 뇌파, 뇌 자기공명영상과도 일치 소견을 보였다. 이들 모두 수술 후 발작은 멈추었으며 조직검사상 뇌피질 이형성증 소견 또는 미세반응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PET과 동시에 뇌파를 시행함으로써 발작기의 경우 무증상의 경련, 임상적 경련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었으며 국소 서파의 심각도와 다극파나 높은 빈도의 극파 또는 예파를 정확히 파악하여 false lateralization의 판독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소아 $Henoch-Sch\"{o}nlein$ 자반병 신염의 임상양상 및 병리소견과 임상경과

        허윤정,신재일,박지민,정현주,이재승,Huh Yun-Jung,Shin Jae-Il,Park Jee-Min,Jeong Hyeon-Joo,Lee Jae-Seu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03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7 No.1

        목적 : $Henoch-Sch\"{o}nlein$ 자반병은 자연 관해 질환으로 예후는 대체로 양호하나, 신장침범 유무가 장기적 예후의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Henoch-Sch\"{o}nlein$ 자반병 신염을 진단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임상양상 및 병리학적 소견과 그에 따른 임상결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0년부터 2002년까지 연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Henoch-Sch\"{o}nlein$ 자반병으로 진단받은 260명 중 $Henoch-Sch\"{o}nlein$ 자반병 신염이 100명이었으며 그 중 신장 조직검사를 한 60명을 대상으로 임상양상 및 병리학적 소견과 임상결과와의 관련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1) 남녀 비는 1.2 : 1이었다. 2) $Henoch-Sch\"{o}nlein$ 자반병 신염 환아 60명 중 81%에서 질병발병 후 3개월 이내 신장을 침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현미경적 혈뇨를 동반한 경우는 100%, 단독 혈뇨 15%, 신염 증후군 7%, 신증후군을 동반한 경우는 22%였으며 임상양상과 임상결과 간에 관련성이 있었다. 4) 혈청 IgA의 증가는 60%에서 보였으며 임상결과와 관련성이 없었다. 5) 임상양상은 병리학적 소견과 연관성이 없었다. 6) 신조직 병리소견의 ISKDC의 분류에 따른 빈도는 G I 5.0%, G II 30.0%, G III 58.3%, G IV 5.0%, G V는 1.7%로 G II와 G III가 가장 많았다. 7) G I, G II는 비교적 양성 경과를 보였고, G IV는 임상결과 B를 G V는 임상결과 D를 보여 병리학적 소견은 임상결과와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 $Henoch-Sch\"{o}nlein$ 자반병 신염에서, 신장 침범의 임상양상은 임상결과와 관련성이 있었고 병리학적 소견도 임상결과와 관련성이 있었다. 조직학적 변화가 심할수록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나왔으며 향후 병리학적 소견에 따른 치료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 및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 $Henoch-Sch\"{o}nlein$ purpura(HSP) is usually a self-limited disease with a good eventual outcome. The prognosis of HSP is mainly determined by the renal involvement. In this study, We evaluated children with biopsy-proven $Henoch-Sch\"{o}nlein$ purpura nephritis about the clinical outcome correlated with renal manifestation and morphologic findings. Methods : The clinical features, initial laboratory and pathologic findings, and clinical out-come were evaluated in 60 children with biopsy-proven $Henoch-Sch\"{o}nlein$ purpura nephritis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an. 1990 to Dec. 2002. Results : The ratio of male to female patients was 1.2:1. The interval between the onset of $Henoch-Sch\"{o}nlein$ purpura and renal manifestation was less than 3 months in 81% of the patients. Initial renal manifestation was microscopic hematuria in 100% of patients, isolated hematuria in 15%, acute nephritic syndrome in 7%, nephrotic syndrome In 22% of patients. Renal manifestation correlated with clinical outcome. Grade II and III were the most common in histologic grades of ISKDC. Renal pathologic finding correlated with clinical outcome. Conclusion : Renal manifestation and pathologic findings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out-com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pathologic findings and treatment.

      • 일개병원 중환자의 영양 상태와 영양 공급 현황 조사

        허윤정,석민지,손영길,류승완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6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배경: 중환자에서 영양불량은 면역반응을 약화시키고 감염을 증가시키며 호흡부전을 악화시켜, 이로 인한 사망률과 이환율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중환자들에 있어서 적절한 영양지원은 필수적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이에 중환자실에 재원중인 환자들의 영양 상태와 영양공급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4월 11일부터 2016년 4월 22일까지 일개병원의 내과계 및 외과계 중환자실에 재원중인 3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중과 알부민 수치를 지표로 한 ICD-9-CM을 이용하여 영양 상태를 평가하였으며, 영양공급방법과 총영양요구량에 비해 실제적으로 공급된 영양공급 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총 환자는 33명이며, 내과계 14명(42.4%), 외과계 19명(57.6%)이고 성별분표는 남자23명(69.7%), 여자 10명(33%)이며, 평균나이는 남자 67.8세, 여자 68.5세였다. ICD-9-CM을 이용한 영양상태 판정 결과 내과계에서는 mild malnutrition 1명(7.1%), moderate malnutrition 5명(35.7%), severe malnutrition 7명(50.0%) 이었으며, 외과계에서는 mild malnutrition 6명(31.6%), moderate malnutrition 1명(5.3%), severe malnutrition 10명(52.6%)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영양공급방법에서는 내과계에서는 oral 3명(21.4%), EN 3명(21.4%), PN 8명(57.2%)이었으며, 외과계에서는 oral 1명(0.5%), EN 13명(68.4%), PN 3명(15.8%), NPO 2명(10.5%)이었다. 영양공급량은 내과계 67.7%, 외과계 84.6%로 공급되고 있었다. 결론: 중환자실에 재원중인 환자 중 영양지원이 필요한 moderate malnutrition 이상의 환자는 33명중 23명으로 69.7%로 파악되었으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kwashiorkor type의 protein malnutrition을 보였다. 영양불량 환자에게 있어 영양지원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많은 환 자에서 실제 영양공급량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영양집중지원팀의 적극적인 홍보 및 활동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Secondary paroxysmal dyskinesia associated with 2009 H1N1 infection

        허윤정,황태규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6 No.1

        Neurologic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2009 H1N1 infection in children have been reported and recognized worldwide. The most commonly reported neurological complications are seizures and encephalopathy. Secondary movement disorders are also associated with the infection, but such cases are rarely reported. Here, we describe the case of a 14-year-old boy with paroxysmal kinesigenic dyskinesia secondary to 2009 H1N1 infection, who presented with dystonia and choreic movement triggered by sudden voluntary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