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ACUM기법을 활용한 경기도소방학교 교육훈련과정 개발

        허영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fire-fighter by job analysis,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mparison between present curriculum and new-developed curriculum. First, job classification of Gyeonggi provincial fire-fighter was consisted of five jobs - adminstration, prevention, correspondence, rescue, and emergency - by three times discussions of expert panels. and Job analysis and curriculum development were performed by the DACUM panels who consisted of five subject-matter experts and one educational expert on each field. DACUM committee was held four times, orientation about DACUM technique was given to panels in first meeting. Job classification of Gyeonggi provincial fire-fighter was consisted of five jobs; (1)adminstration job was consisted of eleven duties and forty-seven tasks, (2)prevention job was eight duties and sixty-nine tasks, (3)correspondence job was twelve duties and forty-two tasks, (4)rescue job was two duties and forty-six tasks, and (5)emergency job was two duties and forty-three tasks. Considering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each task, if it was high order prior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key tasks was chose; (1)adminstration job was thirty-one tasks, (2)prevention job was forty-seven tasks, (3)correspondence job was twenty-four tasks, (4)rescue job was thirty-nine tasks, and (5)emergency job was forty-one tasks. Then task elements, concerned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tools wre derived from each task, and job analysis step was completed by compiling key tasks vs.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tools matrix. Considering time and teaching method for understanding and proficiency of them, education and training type and course type were determined by discussion of 5 panels. Then, courses were named, and subjects of each course were derived by reviewing synthetically these required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tools upon three principles; continuity, sequence, integr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step was accomplished by making course profile and subject profile. These profiles were consisted of title, goal, contents, time, target, and tools and materials. Finally, it was proposed that it is very necessary of reconstruction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fire-fighter by comparing present curriculum and new-developed curriculum. Several suggestions for reconstru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were proposed; application of new-developed curriculum,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delivering system, introduction of always-learning system, continuous research on fire-fighter job. 이 연구는 경기도소방학교의 교육훈련과정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직무분석, 신교육과정 개발, 현행 교육과정과의 비교 분석 등의 절차를 거쳤다. 먼저, 경기도 소방공무원의 직무체계에 대한 전문가협의를 통해 행정, 예방, 대응, 구조, 구급의 5개 분야로 설정하였다. 각 직무분야별로 5명의 내용전문가와 1명의 교육훈련전문가로 구성된 DACUM 패널에 직무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을 수행하였다. DACUM 전문가협의회는 총 4회에 걸쳐 개최되었는데, 1차 협의회에서는 DACUM기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사전교육을 실시하였다. 경기도소방공무원의 직무체계를 살펴보면, 행정분야는 11개 책무와 47개 작업, 예방분야는 8개 책무와 69개 작업, 대응분야는 12개 책무와 49개 작업, 구조분야는 2개 책무와 46개 작업, 구급분야는 2개 책무와 43개 작업으로 각각 분석되었다. 책무별로 작업을 도출하여 중요도, 난이도, 빈도를 기준으로 교육훈련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을 핵심작업으로 선정하였는데, 행정분야는 31개, 예방분야는 47개, 대응분야는 24개, 구조분야는 39개, 구급분야는 41개로 최종 확정되었다. 각 핵심작업에 대한 작업요소, 관련 지식, 기능, 태도 및 장비를 도출하여, 핵심작업/지식․기능․장비 매트릭스를 작성함으로써 직무분석 단계를 완료하였다. 교육과정 개발 절차는 핵심작업/지식․기능․장비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시작되었다. 도출된 지식, 기능 및 장비에 대하여 이해 및 숙달에 소요되는 시간과 방법 등을 고려하여 어떤 교육훈련형태(학교교육(집합교육), 직장교육, 직무보조자료, 사이버교육)가 적합한지, 그리고 어떤 코스형태(기본교육, 전문교육, 현장교육)로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내용전문가(분임별 5인)의 의견 합의를 통해 결정하였다. 코스형태별로 필요한 코스명을 도출하였고, 코스명을 기초로 하여 필요한 지식, 기능 및 장비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 등의 교육내용 조직 원칙에 따라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각 교과목별로 교과목표, 교육내용, 교육시간, 교육 대상, 교육방법, 교육기자재 등을 도출하여 교과목 프로파일을 작성하였고, 교과목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코스 프로파일을 작성함으로써 교육과정 개발 단계를 완료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도출된 교육과정(안)과 현행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향후 경기도 소방학교 교육훈련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경기도 소방학교의 교육훈련체계 개편을 위해, 신 교육과정(안)의 활용, 교육훈련방식의 개선, 상시학습제도의 도입, 소방공무원의 직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성화고의 산학협력교육에 대한 산업체 산학협력담당자의 인식 분석

        허영준 한국농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porate personnel staff's perception of cooperative education between firms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o,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cluding the effect of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 operation status of field practice, and problems and needs of cooperative education. Several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purpose of cooperative education was to develop and procure new skilled craftsman by operating field practice among typical three types of cooperative education; field practice, internship and field trip. Second, this field practice was preferred due to securing an outstanding workforce and easing of reinforcement, and these trainees performed the tasks related of a field of study. Third, their basic personality and positive and serious attitude towards job was rated high, but understanding and adaptation to the firm and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needed for performing was rated low. Fourth, these staff think that it is desirable for field practice to be operated for more than three months through the second semester of third grade, and to employ the trainees selectively after completion. Fifth, it is necessary that governmental incentives for participating firms, cooperative education supporting system of central government, and support to cooperation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firms ara necessary.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irst, For invigoration of cooperat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active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etc. Second,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s the authority to manage and supervise the operation of field practice program, so it has to take an important role of managing the quality of the program. Third, because firms is the place of field practice, active participation to field practice of firms is very important factor to hopeful performance of field practice and national supporting policy must be prepared to induce firms to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s. 이 연구는 산업체 산학협력담당자의 특성화고등학교와의 산학협력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 운영, 산학협력교육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의 결과, 산업체가 특성화고와 산학협력교육을 하는 주된 목적은 신규 인력의 양성 및 확보를 위해서이며, 산학협력교육의 대표적인 3가지 형태인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 인턴십, 산업체 견학 중에서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이 학생의 직무능력 향상과 기업의 인력 확보 차원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은 우수 인력의 사전 확보 및 인력 충원의 용이성 때문에 선호되고, 현장실습생들은 실습기간 중에 주로 전공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실습생의 기본 인성과 일에 대한 긍정적이고 진지한 태도는 높게 평가한 반면, 조직 이해와 적응, 업무수행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은 낮게 평가하였다. 또한 산업체 산학협력담당자들은 현장실습이 3학년 2학기에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현장실습 종료 후에 실습생 채용 의사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성공적인 산학협력교육을 위한 참여 산업체에 대한 정부 차원의 인센티브 미흡, 국가수준의 현장실습 지원을 위한 구심체 부재, 우수 산업체와 특성화고간의 연계 지원 부족 등의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앙부처, 시․도교육청 및 단위학교, 그리고 산업체 차원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특성화고의 산학협력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학기술부, 고용노동부, 중소기업청, 지식경제부 등 유관 부처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시․도 교육청은 특성화고의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관리․감독 권한을 가지고 있어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의 질 관리 차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산업체는 현장실습이 실제 이루어지는 장소이므로 현장실습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기업의 적극적 동참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지원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3D Printer로 제작된 인공뼈 구조에 대한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허영준,최성대 한국기계가공학회 2020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9 No.11

        The structure of the femur bone was analyzed. Moreover,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bone wasdetermined by considering two parameters, namely, the outer wall thickness and inner filling density torealize the 3D printing of a cortical bone and spongy bone by using a fused deposition modeling type 3Dprinter and ABS material. A basic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riation trend in themechanical strength of the test specimens with the change in the parameters. Based on the results, theparameters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mechanical strength wer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artificial bone,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artificial bones was examined under a load. Moreover, we proposed anapproximation method for the 3D printing parameters to enable the comparison of the actual bones andartificial bones in terms of the strength and weight.

      • KCI등재

        농업문해의 내용영역, 하위요소 및 성취기준 개발

        허영준,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or thematic areas, subareas and standards of agricultural literacy. Based on the literature, a definition of the agricultural literacy was derived, and a prototype of thematic Areas, subareas and standards of agricultural literacy was derived. Then, the definition and the prototype were reviewed and corrected by a conference council composed of five experts. As a result, the prototype was converted to a draft which was five thematic areas, twenty susareas and sixty standards. With the Delphi method, the validity of the draft was confirmed by three rounds. Data from each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analyzed for means, standard deviations, degree of coincidence and convergence in opinion, agreement rate, stability of responses(t-test), and degree of consensus by SPSS 15.0 version. Whether Delphi survey would continue or not an additional round, was determined by agreement rate(80% or more), CVR(<0.42 in case of 20 experts), and degree of consensus(standard deviations<0.800). The first round of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on twenty expert panels; seven from researchers, six from teachers, and seven from administrators group. The researcher modified the items to which the panels showed mixed responses to open questions, and accommodated the panel's opinion on the validity of thematic areas, subareas and standards. As a result of first round, a modified draft made up of six thematic areas, twenty subareas and fifty-two standards was derived. After the second round of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same expert group, a second modified draft composed of six thematic areas, nineteen subareas and fifty-one standards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e third round of Delphi survey with the second modified draft and modifying the draft on according to opinion of several expert, thematic areas, subareas and standards of agricultural literacy were confirmed. As The results of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s, agricultural literacy is consisted of six thematic areas, nineteen subareas, and fifty-one standard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농업문해의 내용체계를 구성하는 농업문해의 내용영역, 하위요소 및 성취기준을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농업문해의 개념을 정립하는 절차가 필요하였고, 정립된 농업문해의 개념에 기초하여 농업문해의 내용영역, 하위요소 및 성취기준을 구명하는 절차가 밟았다. 농업문해의 내용영역은 개념 정의에 포함된 ‘농업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로서 6개의 영역으로 설정되었으며, 농업문해의 내용요소는 내용영역별로 포함되어야 할 세부 내용요소를 말하고, 성취기준은 일반 국민들이 민주시민으로서 성취하여야 할 농업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목표를 조작적으로 정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전문가협의 및 델파이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농업문해의 내용영역, 하위요소 및 성취기준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선행연구 및 전문가협의를 통하여 구안된 농업문해의 내용영역, 하위요소 및 성취기준(안)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위한 전문가 집단은 농업문해 이론 및 연구, 농업문해 실행, 농업문해 정책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각 7명, 6명, 7명 등 총 20명의 해당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하였다. 매 라운드별로 각 조사항목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긍정률, CVR값, 의견일치도 등을 산출하여 계속 진행해 나갈지를 판단하면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농업문해는‘일반 국민들이 농업에 관한 기본 정보를 종합․분석․교환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현명한 소비 활동과 국가 정책 결정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농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로 정의하였다. 농업문해의 내용체계는 6개의 내용영역, 19개의 하위요소, 51개의 성취기준으로 구성되었다. 농업문해의 내용영역은 농업․농촌의 기능과 가치, 농산물의 생산, 농산물의 가공 및 유통, 농식품의 가치와 안전성, 농업과 자연환경, 농업정책 등 6개 영역으로 최종 구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