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태적 패널모형의 회계이익률 예측능력 검증

        심상규 ( Sang Gyoo Shim ),허영빈 ( Young Pin Huh ),김창수 ( Chang Soo Kim ) 한국회계학회 2004 會計學硏究 Vol.29 No.2

        회계이익률은 Ohlson의 초과이익할인모형, NCI 지식자산평가모형 등의 회계분야 연구와 금융기관 및 신용평가기관의 기업평가업무에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예측연구는 미비하다. 또한, 기존의 회계이익예측 연구에서 사용되는 시계열모형은 자기변수 영향만을 반영하여 예측치를 추정하므로 단일변량 모형수립에는 적합하지만 외부요소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동태적 패널(dynamic panel)모형을 이용하여 회계이익률을 예측한다. 동태적 패널모형은 자기변수 이외에도, 외생변수와 개별기업 효과를 반영하여 예측치를 추정하게 되어 시계열모형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동률지수, 생산자제품재고지수 및 3년 만기 회사채수익률을 외생변수로 하는 동태적 패널모형을 사용하여 매출액영업이익률과 매출액순이익률을 예측한다. 예측능력은 실제치와 예측치 차이로 측정되는 예측정확성, 그리고 예측치와 주식수익률의 관련성으로 측정되는 시장기대이익 대용치로서 적절성을 기준으로 랜덤웍(random work) 모형과 비교하여 평가한다. 검증결과에 의하면, 동태적 패널모형은 모든 예측대상 회계이익률에서 높은 예측정확성을 나타냈으나 시장기대이익 대용치로의 적절성에서는 우월성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표본기간, 기업규모 및 업종을 달리하여도 동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orecasting ability of the dynamic panel model about accounting income ratios. The motive of a study stems from the following. First, although accounting income ratios are used as an important index in accounting study and practical business forecasting studies using them are rare. Second, time- series models used in the existing study have limits not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external factors. The dynamic panel model can overcome those limits by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extraneous variable and individual company as well as auto-variable. We design the forecasting model using the dynamic panel model and select operating index, producer`s inventory index and 3year company bond returns as the extraneous variables. The forecasting objectives are the ratio of operating income to sales and the ratio of net income to sales. The forecasting ability is estimated by the relative superiority to random work model on the basis of forecast accuracy and proxies for market earnings expect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ynamic panel model shows a higher degree of forecasting accuracy and does not provide a more proper investors` expectation income than the random work model. These results are robust in most years, firm size and industries.

      • 기업의 소유구조가 회계정보 공시수준에 미치는 영향

        허영빈,심상규 중앙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1999 산업경영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기업의 소유구조가 회계정보 공시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차보고서에 공시된 회계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회계정보 공시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실험변수로 전체 외부소유주 소유비율과 외부소유주의 집단별 소유비율을 소유구조 대용변수로 사용하였다. 또한 외생변수가 회계정보 공시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하고자 선행연구에서 회계정보 공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된 기업규모, 수익성, 연령을 통제변수로 검증모형에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검정결과 전체 외부소유주 소유비율은 회계정보 공시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외부소유주의 집단별 공시압력 차이로 인한 희석화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일 수 있다. 이를 확인하고자 외부소유주의 집단별 소유비율이 회계정보 공시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소유주 소유비율은 회계정보 공시수준과 음(-)의 관계를 보였고, 정부소유주 소유비율은 공시수준과 관계가 없었으며, 기관소유주 소유비율과 외국인소유주 소유비율은 공시수준과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로 볼 때 전체 외부소유주 소유비율이 일견하여 공시수준과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나 이는 외부소유주의 집단별 공시압력이 서로 다른데서 오는 희석화 현상의 결과일 뿐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관투자가나 외국인 소유지분이 커질수록 공시압력이 높아진다는 사실은 이들 투자가들의 공시압력이 적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기업의 소유구조가 회계정보 공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며 대리인 이론과 Gray의 이론을 지지하는 의미가 있다. 한편 통제변수로 사용한 기업의 연령 및 수익성도 회계정보 공시수준과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어 회계정보 공시수준은 기업의 연령이 많을수록 또한 기업의 수익성이 좋을수록 높아진다는 사실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The study attempts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is determined by company's ownership structure. The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level is estimated from annual reports and the ratio of entire outside owners and the ratios of different outside owner groups are used as the surrogate of ownership structure. To control the effects of extraneous variables, firm size, profitability, and company age are included in the model.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entire outside owners' holding ratio has no impact on the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level. However, this may be caused by the smoothing effect resulted by differences in disclosure pressure among outside owner groups. Further analyses are carried out on the effects of different outside owner groups on the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leve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dividual investors' holding ratio shows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the government's holding ratio show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the institutional investors' holding ratio and foreign investors' holding ratio show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level. Theses results agree with the a priori expectation. It can be asserted that the agency theory and Gray's theory are supported in Korea stock. The profitability and company age used as control variables show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level confirming that the more accounting information is disclosed as the profitability of a company is higher and the age of a company is ol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