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리 연안에서 채집된 용가자미 (Hippoglossoides pinetorum)의 식성

        허성회,백근욱 한국어류학회 2003 韓國魚類學會誌 Vol.15 No.3

        용가자미의 식성을 연구하기 위해 고리 주변해역에서 소형 기선저인망을 이용하여 1996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채집된 용가자미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용가자미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 (Caridea)였다. 다음으로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가 비교적 많았다. 그 외에 단각류(Amphipoda), 곤쟁이류(Mysidacea), 두족류(Cephalopoda), 갯지렁이류(Polychaeta), 요각류(Copepoda), 게류(Brachyura), 이매패류(Bivalvia)등의 먹이생물이 위내용물에서 발견되었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용가자미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전환이 명확히 나타났는데, 체장 3∼5 ㎝의 작은 크기에서는 난바다곤쟁이류와 곤쟁이류를 주로 먹었다. 하지만 5㎝이상 크기의 개체들은 새우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20㎝ 이상의 크기에서는 두족류와 갯지렁이류의 점유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We examined the stomach contents of Hippoglossoides pinetorum collected monthly by a small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s of Kori,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1996. H. pinetorum was a bottom feeding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shirmps. Its diets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euphausiids, amphipods, mysids, squids, copepods, polychaetes, crabs and bivalves. It showed distinct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3-5 ㎝ SL) preyed mainly on euphausiids and mysids. However, individuals over 5 ㎝ SL preyed mainly on shrimps. Individuals of 20-28 ㎝ SL fed relatively large quantities of squids and polychaetes together with shrimps.

      • KCI등재

        꼼치(Liparis tanakai)의 식성

        허성회 한국어류학회 1997 韓國魚類學會誌 Vol.9 No.1

        꼼치의 식성을 조사하기 위해 가덕도와 다대포 사이의 낙동강 하구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꼼치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꼼치는 특정 먹이생물에 대해 선택성이 대단히 큰 육식동물로 나타났다. 꼼치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였는데, 전체 위 내용물의 건조중량중 74.3%를 차지하였다. 그중 자주새우(Cragon affinis)가 모든 크기군에서 가장 선호된 종이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였으며, 위 내용물의 19.8%를 차지 하였다. 그밖에 게류, 단각류, 곤쟁이류, 갯가재류, 등각류 등이 위 내용물중 출현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꼼치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 종류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위 내용물중 새우류와 어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성장함에 따라 점차 변하였다. 즉, 4∼10㎝ SL 크기군에서는 새우류가 위 내용물의 거의 90%를 차지하였고 어류의 비율은 5% 이하에 불과하였는데, 성장함에 따라 새우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지고 어류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였다. 31∼45㎝ SL 크기군에서는 어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이상에 달하였으며, 새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60% 이하로 감소하였다. Stomach contents of snailfish, Liparis tanakai, caught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examined quantitatively. Liparis tanakai was a bottom feeding carnivores, and showed an almost strict specialization on shrimps and fishes. Shrimps and fishes accounted for 74.3% and 19.8% of the overall stomach contents, respectively. The most selected prey species was Cragon affinis for all fish size classes. The snailfish' s diets included minor quantities of crabs, amphipods, mysids and isopods. Small individuals(4∼10 ㎝ SL) consumed mainly shrimps which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0% of the stomach contents. However, the portion of the diet attributable to shrimps decreased steadily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this decrease was paralleled by increased cosumption of fishes. For 31∼45 ㎝ individuals, fishes constituted over 30% of the stomach contents, while shrimps made up approximately 60% of the diet.

      • KCI등재

        광양만 잘피밭에서 서식하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유어의 식성

        허성회,곽석남 한국어류학회 1998 韓國魚類學會誌 Vol.10 No.2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감성돔 유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감성돔(1∼7㎝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게류 및 새우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갯지렁이류, 히드라류, 주걱벌레붙이류, 요각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감성돔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감성돔은 옆새우류, 카프렐라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게류 및 새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Feeding habits of juvenile Acanthopagrus schlegeli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in Kwangyang Bay were studied. A. schlegeli (1∼7㎝ SL)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amphipods (gammarid and caprellid amphipods), crabs and shrimps. Its diets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gastropods, polychaetes, hydroids, tanaids, copepods and isopods. A. schlegeli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preyed mainly on gammarid amphipods, gastropods and polychaetes. However, crabs and shrimps were heavily selected with increasing fish size.

      • KCI등재

        앨퉁이(Maurolicus muelleri)의 산란상태 및 식성

        허성회,차병열,김주일,김진영 한국어류학회 1998 韓國魚類學會誌 Vol.10 No.2

        우리나라 주변 해역 중 ·심층에서 많이 출현하며,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앨퉁이 (Maurolicus muelleri)의 산란생태 및 식성을 조사하였다. 앨통이는 동해 남부 연안역을 중심으로 연중 산란하며, 주 산란기는 8월 전후로 나타났다. 앨퉁이의 난소에서 관찰된 포란수는 5,072∼32,117개 범위였다. 난경은 3개의 크기군으로 구분되었으며, 0.8㎜ 이상 크기의 난모세포가 산란된다고 볼 때, 1회 산란수는 약 250개로 추정되었다. 앨퉁이는 동물플랑크톤을 먹는 어류로 부유성 요각류(Copepoda)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 그 외에 단각류 (Amphipoda),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새우류(Caridea) 및 곤쟁이류(Mysidacea) 등의 갑각류를 잡아먹었다. Spawning ecology and feeding habits of Maurolicus muelleri in the Korean waters were studied. M. muelleri spawned continuously throughout the year showing a peak in August. Major spawning ground of this species was the southeastern sea of Korea. The fecundity observed from the ovaries of M. muelleri showed a range of 5,072 to 32,117, and the average number of eggs per one spawning time was approximately 250. M. muelleri was a zooplanktivore which fed mainly on copepods. Its diets also included various crustaceans such as amphipods, euphausiids, shrimps and mysids.

      • KCI등재

        한국 남해 가덕도 주변에서 채집된 등가시치(Zoarces gillis)의 식성

        허성회,백근욱 한국어류학회 2000 韓國魚類學會誌 Vol.12 No.1

        Feeding habits of Zoarces gilli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from March 1998 to February 1999 were studied. Z. gilli was a carnivore and consumed mainly shrimps, gammarid amphipods, fishes, bivalves and cumaceans. Its diets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copepods, caprellid amphipods, ostracods, crabs, squids, gastropods, ophiuroids and polychaetes. It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Individuals of small size(10∼15㎝SL) fed mainly on small prey organisms such as gammarid amphipods, bivalves, cumaceana and ostracods. However, larger shrimps and fishes were heavily selected with increasing fish size.

      • KCI등재후보
      • Shoalgrass와 turtlegrass에 棲息하는 小型魚類 個體群들의 季節的 變動에 관한 硏究

        허성회,Huh, Sung-Hoi 한국해양학회 1984 韓國海洋學會誌 Vol.19 No.1

        Abundances of small fishes that utilized seagrass meadows of Redfish Bay, Texa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to determine monthly changes of this concentrated subtropical fish community during 1982-1983. an effective quantitative sampler, a 1-㎡ thrown cage, yielded a total of 10,223 fishes that comprised 40 species in 23 families, with average total densities about 15 fishes/㎡ in shoalgrass meadow and 6 fishes/㎡ in turtlegrass meadow. The darter goby, pinfish, code goby, and Gulf pipefish were the four most abundant species, and accounted for approximately 85% of the number of fish collected. However, the two different meadows had different relative abundances of fishes. The darter goby numerically dominated shallower shoalgrass meadow, while the pinfish and code goby were the commonest fishes in deeper turtlegrass meadow. Seasonal changes in both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s of fish populations were major characteristics in these subtropical seagrass medows. Peak abundance of total fishes occurred during spring, with a secondary peak in fall. Lowest abundance of total fishes occurred in winter. Each abundant species showed its own seasonal abundance pattern, and had a peak abundance 1-3 months separated from other species, with some overlap of increased larval recruitment. Such distinct seasonal abundance patterns with different times of peak recruitment. Such distinct seasonal abundance patterns with different times of peak recruitment among fish species seem to permit use of the seagrass habitats with reduced, seasonal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