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화와 지역 여성운동 정치학의 재구성

        허성우(Songwoo Hur)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3

        이 글은 1990년대 이후 변화된 사회적 조건, 특히 지구화의 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 진보 여성운동 정치학의 재구성을 시도한다. 첫째, 이 글은 대전 지역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 여성운동의 현실은 중앙 수준에서 생산된 담론과 다름을 밝힌다. 중앙 수준의 담론은 한국 여성운동이 보수와 진보 여성운동이라는 양대 구도라고 말하지만 지역현실은 새마을부녀회라는 보수적이며 발전주의에 기초하고 풀뿌리 수준에 영향력이 큰 거대한 조직과 소규모이며 풀뿌리에의 영향력이 미약한 진보 여성운동 조직 간의 불균형으로 나타난다. 둘째, 이 불균형적 구조는 고립적으로 지역 내에서 형성된 것이라기 보다는 국가와 중앙 수준의 여성운동을 매개로 하여 지구적 수준의 페미니스트 여성발전 정책/이론들과 불가분의 상호 영향관계 안에서 발전해 온 것이다. 지구적 수준의 페미니스트 발전 정책/이론들은 기본적으로 아래로부터의 지구화를 지향했으나 한국에서 WID(Women in Development)는 국가발전정책과 보수여성운동과 결합되어 발전주의 이데올로기에 편입되었고, 진보 여성운동의 젠더주류화에 기반을 둔 젠더정치학은 그것이 저항하고자 했던 신자유주의적 정책에 포섭되어감으로써 위로부터의 지구화의 일부를 구성하는 역설을 보인다. 따라서 지역 여성운동이 지구화의 부정적인 영향에 저항하고 이에 개입하여 남녀평등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아래로부터의 지구화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국가 중심적 젠더 정치학이 지역-국가-지구적 수준의 다층적 정치 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This paper seeks a reconstruction of local women's movement politics in S. Korea in the context of globalisation through the case of local women's groups in Taejon city. This paper explores the difference between women's movement discourses produced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reality of local women's movements and reveals the tricky balance between the political activities towards the state politics and the daily activities with grassroots women that local women's movement activists face. It also argues that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local women's movements are constructed through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women's movement groups and the global feminist approaches to gender and development mediated by the state development policy and women's movements at the national level. Though global feminist approaches to development originally intend to resist negative impact of globalisation,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the local, the national, and the global result in an irony of boosting top-down globalisation in Korean context. If the state-centred politics of the gender politics, which tends to obscure differences between local women and women's political apparatus within their personal lives,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new politics that accounts the multiple political spaces across the local, the national, and the global.

      • KCI등재

        한국 여성학 ‘위기담론’의 재구성

        허성우(Hur, Songwoo)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4

        이 글은 한국 여성학의 위기담론을 재구성하고 그 출구를 열어가고자 하는 목적에서 쓰여졌다. 이 위기담론이 신자유주의 질서와 그 안에 편입된 대학 내 여성학의 양적 축소현상과 학문적 정체성의 불안정성을 논의하고 있다면 이 글은 위기를 보는 새로운 요소로 여성학과 여성운동과의 관계를 도입한다. 여성운동 활동가들을 위한 여성학 교육 <사례>분석을 통해 첫째, 그것이 기존 한국 여성학 교육의 주요 참여자들이 전문연구중심의 수도권 대학/원생이었던 비해 개인의 임파워먼트, 여성운동의 새로운 전망과 여성주의 언어화를 지향하는 전국 각 지역의 여성활동가들이라는 새로운 주체들을 소환했음을 밝힌다. 둘째, 1980년대 여성학 교과과정은 여성학과 사회과학, 그리고 여성학과 여성운동을 통합했던 데 비해 1990년대 이래 그것들이 탈구되는데, <사례>의 교과과정은 이것들을 재접합하고 있다고 논의한다. 그러나 이것이 ‘봉합’에 그칠 수도 있는데, 이는 <사례>의 교과과정 운영이 여성학 전반의 지식생산 그리고 사회과학분과들의 젠더연구 수준에 의존하고 있어 여성학과 사회과학의 재접합이 불안정하며, 또한 <사례>의 제도화과정에서 여성학과 여성운동의 통합성이 약화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례>는 학위과정이지만 여성운동과 협력하여 대학 안-팎의 경계를 가로지르면서 새로운 여성주의 공간을 창출했다. 이 작은 실험을 계기로 여성학 교육이 그것의 대학중심, 전문연구중심, 수도권중심을 넘어 대학 안-팎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여성활동가들을 포함한 잠재적 여성주의자로서의 지역 공동체 대중들과 만나는 다양한 여성학 교육프로그램들을 상상하고 실천하는 여성주의 공간이 확장되어간다면 이것은 위기를 벗어나는 하나의 출구가 될 것이다. This case study attempts to reconstruct the discourse of women’s studies in crisis by introducing the new element of intersected relations between women’s studies and women’s movements. The existing Korean women’s studies education at postgraduate level has two distinctive characters: it has mainly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geographically centered on Seoul-greater region, in terms of participants; it also has articulated with the perspective of integrating women’s studies into social sciences and women’s studies into women’s movements during the 1980s but the integration has been dis-articulated since the 1990s. The case illustrates the possible feminist space extended through its calling new participants of women’s movement activists who are excluded from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It further creates the new curricula in which the two dis-articulations are re-articulated. The case study implicates the potential extensive number of people, waiting their seats for feminist education in social/women’s movement fields and in local communities. The discourse of women’s studies in crisis is suggested to move on to galvanizing feminist desire to meet new subjects with diversified programs, transcending the institutional boundaries by which we can find a way to come out of the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