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ㆍ중ㆍ고등학교 음악교육 실태 및 국악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

        허선형,김희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2 국악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회원인 음악교사와 그들의 동료 교사들이 지도하는 7개 지역 초ㆍ중ㆍ고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음악교육의 실태 및 국악수업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여 학교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과 효과적인 국악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를 제작하여 학회 홈페이지에 탑재하고, 교사들의 안내에 따라 희망하는 학생 1,001명이 접속하여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은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 E-stat 3.0을 활용하였다. 학교 음악교육의 실태 조사 결과, 음악시간에 많이 배우는 음악 3가지는 국악, 서양음악, 대중음악 순이었으며, 음악시간에 자주 하는 활동과 수행평가 4가지는 다양한 음악 감상, 악기 연주, 가창, 음악이론 및 음악사 등으로 나타났다. 음악수업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55점(SD 1.056)이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만족도가 다소 감소하였다. 음악시간에 국악을 배우는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3점(SD 1.229)이며, 국악수업 교수자 유형은 음악교사 단독 수업이 가장 많았다. 학교 음악시간에 학생들이 하고 싶은 국악활동 1~4순위 중 1, 4순위만 유의수준 1%에서 학교급별ㆍ학년 그룹별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국악기 배우기, 지역문화축제 탐방 및 참여, 국악 감상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음악시간에 국악을 배워서 좋은 점은 ‘국악으로 우리 역사와 문화까지 배울 수 있다’가 가장 많았다. 학교 음악시간 국악수업의 필요성은 5점 만점에 3.63점(SD 1.062), 음악시간에 국악수업의 희망 빈도는 3.39점(SD 1.013)이었다. 학교 음악시간의 활동 및 수행평가에 대한 만족도와 국악수업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는 상관관계가 있고, 국악수업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와 국악수업의 희망빈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앞으로 학교 현장 실태 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국악수업에 대한 요구가 무엇인지 면밀히 살펴 국악교육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더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가곡(歌曲) 지도내용 고찰

        허선형 한국국악학회 2013 한국음악연구 Vol.54 No.-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이후로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가곡 초장 부르기가 추가되어, 가곡은 듣는 노래에서 부르는 노래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라 2012년에 학년의 구분 없이 편찬된 중학교 음악교과서 총 17종에 수록된 가곡(歌曲) 관련 내용을 고찰하여 보았다. 왜냐하면, 이러한 같은 주제에 대해 다양한 교과서의 내용 및 구성이 교수학습의 성과와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가창, 감상, 창작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한 가곡(歌曲)의 통합적 지도법이 교수학습 과정의 성패를 결정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분석을 통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가곡 교수법을 위해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및 지도법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 음악교과서에서 혼용되고 있는 가곡의 용어에 대한 개념을 우선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학생들에게 가곡 가창을 지도할 때, 먼저 이 음악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대해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가곡은 약 6곡 정도가 제재곡으로 수록되어있지만, 앞으로 더 다양한 제재곡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시조시를 제재곡으로 하는 민요와 시조, 가곡이 불려진 문화적 배경의 차이와 그 음악적 특징을 비교해보는 등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다양한 교수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곡 가창 수업을 위한 단계별로 정확한 교육용 악보의 개발과 각 단계에 적합한 교수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가곡을 우수한 음악문화로써의 가치뿐 아니라, 학생들의 정서와 문화적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제재곡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가창 제재곡으로 가곡(歌曲)의 초장만 부르기가 추가된 것으로 만족할 것이 아니라, 앞으로 배우는 범위를 점차 늘려가야 할 것이다. 가곡(歌曲)을 학교 교육에 적용함에 있어, 음악교과서의 활용도와 중요도가 매우 높아졌다. 음악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체계적이고도 효율적인 가곡 가창을 습득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음악교과서의 가곡 관련 내용 및 가창 교수법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길 바란다. Since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7, the music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s have added gagok to their singing units. Accordingly, this study has investigated,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9, which was published regardless of grade levels in 2012. The books, a total of 17 species have compiled of gagok(歌曲) along with their relevant information. Since these textbooks apply a variety of the content and configur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these same songs, their approaches can affect the result and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songs. Also, a variety of the integrated activities or creative pedagogy including singing, listening, and creation of the songs can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se approaches. Through examining the contents and approaches of gagok in 17 music textbooks, this study has proposed effective and systematic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songs as follows. First, the music term of gagok in the textbooks has been used as its incorporation with the western style song. Thus,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scribe the concept of gagok in the textbooks. Second, after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songs, it will be more effective and helpful for students to sing gagok. Third, since the music textbooks have listed about six songs from within the total repertoires of gagok,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gagok songs as the repertoire for the secondary students. Fourth,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there needs to be developed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dealing with the cultural differences of various songs such as sijo, gagok, and folk songs using the same lyric. Fifth, the effective notation and the use of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at every stage need to be developed. Sixth, gagok should be regarded as a valuable group of songs with their own mus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emotional and cultural sensitivity. Seventh, since the current music textbooks only include the first chapter of gagok, the scope of this song needs to be gradually increased in the books. The application of gagok to school education, to music programs and to the utilization of textbooks is most important. This study expects there to be more studies regarding these songs and for their approaches to increase in school music textbooks.

      • KCI등재후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창작활동 고찰

        허선형,정미영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2

        Creating Korean music is literally to make Korean music with Korean musical language. Through creative activities of Korean music in music textbooks, students can cultivate creative musical expression and creativity as well as succeed in the unique musical characteristics combining music and language transmitted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reative activities to include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of Korean middle schools according to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7. It also aims at exploring the problem and the reasonable direction of creative Korean music composition in the books. The creative activities in Korean music are challenged by using the terminology and notation of Western music. Moreover, ‘minyopung’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new song style in regards to traditional Korean folk songs, has been composed by the creative techniques of Western music like time signatures and the solmization ‘sol, la, do, re, mi’ of the pentatonic scale. The creative activities of the books did not include original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jangdan, malbutchimsae, traditional notation, and Korean musical notes. As a result, this study explores the proper approaches to making Korean music in the music textbooks for Korean middle schooler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reative activities for making Korean music be presented by traditional Korean notation in jeongganbo or garakseon and that they describe the detailed musical terms of Korean music. In addition, this study expects to continue the creative activities in the music textbooks which may lead students to become interested in creating Korean music us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as well as to enjoy creating Korean music. 국악창작이란 말 그대로 우리의 음악 어법에 따라 우리 음악을 창조하는 것이다. 국악창작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음악적 표현력과 창의성을 함양시키는 동시에, 이 땅에서 전승되어온 한국음악의 고유한 특성을 파악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교육적 효과를 함께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의 음악교과서의 국악 창작 활동과 내용들이 우리 음악 어법에 맞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음악교과서의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악창작활동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제시된 악보가 오선보로 되어 있어 음악 용어나 표기방법이 서양식으로 표현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민요풍’이라는 말을 사용하면서 서양음악창작 기법을 이용하여 국악창작은 단순히 오선지 위에 주어진 박자표에 맞춰 ‘솔, 라, 도, 레, 미’의 5음 음계의 음들로 채워 가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따라서 국악어법에 맞는 방법으로 국악창작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서의 국악창작내용이 개편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우리의 전통 악보인 정간보와 가락선 악보를 사용하고 국악용어로 설명해야 한다. 또한 노랫말과 장단, 가락이 유기적인 관계임을 인지하고 단일 요소의 변형으로 제시하기 보다는 요소들이 모두 결합되어 체계적인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앞으로 이와 같은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국악어법에 맞는 국악창작활동이 제시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Korean Music of Some Textbook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the U.S.A.

        허선형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1 국악교육연구 Vol.5 No.1

        Since the early 1900s, the interests of culture, education, and music of immigrants have been increased in the U.S.A. Under this background, music classes in the school have been requested to serve the musical and cultural needs of immigrated students. For this reason,several scholars in music education have published various literatures on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leading scholar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orld published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to introduce an exotic music and various music curricula. The Campbell’s literatures have been seriously considered as the precedent study on the roles and method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due to their unique accomplishment and reality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following books which are related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lso describe the methods and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as the part of East Asian Music. In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literature, we examine the method for explanation of Korean music and the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which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U.S.A. For this research, the literature is examined by the following three standards. Firstly, we investigate the repertoires for Korean music in the books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Japan and Western culture have influenced on Korean music and culture. For the second, the approaches which were already established for teaching Korean music are explored. Lastly, the information, notation, and illustration for Korea and Korean music in the literature are examined. We may need to consider that these materials are appropriate to represent and understand Korean music correctly.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 that the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knowledge of Korean culture are properly understood by the multicultural music textbooks which are used for teaching Korean music in the U.S.A.

      • KCI등재

        판소리 원격수업 콘텐츠 개발의 실제 : <춘향가> 中 '자진 사랑가'를 중심으로

        허선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2

        본 연구는 판소리 원격수업을 위한 콘텐츠를 <춘향가> 중 ‘자진 사랑가’를 활용하여 1∼6차시로 개발하고, 각 수업 내용을 연계한 논술과 가창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1∼2차시는 영상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조선 후기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판소리의 특징까지 이해할 수 있다. 3∼4차시에서는 ‘자진 사랑가’를 감상하고, 온라인 학습지로 사설붙임새를 학습하여 그 음악의 맛과 멋을 느낄 수 있다. 5∼6차시는 ‘자진 사랑가’의 가락과 음악적 특징을 가락선보로 나타내고 따라 부르며, 판소리 공연에서 소리꾼과 고수, 그리고 관객의 소통 방법을 체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판소리의 역사와 시대적·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며 감상할 뿐만 아니라, 판소리의 호흡, 창법, 표현법 등을 익히고 그 음악적 특징까지 표현함으로써 학생들의 음악 표현 활동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고 귀로 들은 가락을 가락선보로 시각화하는 활동과 함께 노래함으로써 이 음악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깨닫고 애호하여 생활 속에서 활용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원격수업용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에서 본 연구가 온라인 국악 수업을 위한 콘텐츠 개발의 한 예로 적용될 수 있길 바란다. This study used ‘Jajin Sarangga’ in <Chunhyangga> as remote learning content for pansori developing it into six class-hour lessons and suggested essay writing linked with each area of instructional content and an evaluation plan for singing. In Class 1~2, students were instr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based on it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using videos and images. In Class 3~4, students were instructed to experience the musical traits of pansori by singing ‘Jajin Sarangga’ themselves, thus appreciating its taste and beauty. In Class 5~6, students were instructed to express the melody and musical traits of ‘Jajin Sarangga’ through garakseonbo (melodic contour notation) and experience the communicative method between a pansori singer and a percussion accompanist and between the performers and audience. Thus, they could express the musical traits of pansori by singing while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as well as the origin and history of pansori. They also expanded on the scope of musical expression by learning pansori breathing, singing styles, and expression.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students will realize and appreciate the beauty and value of pansori in depth by understanding it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by visualizing the melody heard with their ears into garakseonb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an example of developing instructional content for online Korean music classes at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content for future remote learn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영산재’의 교수ㆍ학습 내용 및 방안 연구

        허선형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3 국악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영산재를 제대로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해 불교와 불교음악, 그리고 영산재와 범패의 역사적 전통성과 그 진정한 가치를 찾아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범패를 감상하고 따라 불러봄으로써, 오랜 세월 우리 문화에 크게 자리 잡고 있었던 불교와 불교음악에 대해 더 가까 이 느껴볼 수 있게 하였다. 즉, 불교의 이해를 위해 불화 ‘팔상도’와 ‘영산회상도’를 중심으로 접근 하였고, 불교음악은 불교 경전에 수록된 음악 관련 내용들과 음악관 등에 관한 기록을 통해 그 내 용과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영산재의 이해와 감상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역사, 미술, 음악 등의 타교과와 통합지도를 통해 5차시로 분량으로 계획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한 제재곡은 전문적 인 어장스님이 부르는 바깥채비 소리 중 홋소리 ‘합장게’이며, 태징의 반주소리와 나비춤, 법고춤, 바라춤과 같은 3가지 작법무를 통해 악, 가, 무가 함께 전승을 되어온 우리음악의 특징을 불교 의식 음악에서도 다시 확인해 볼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3대 성악곡의 하나인 범패의 음악적 특징 및 다른 성악곡과의 차이점을 찾아보게 하였다. 그럼으로, 영산재의 범패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통해 우리 역사와 문화에 깊은 영향 미쳐온 불교 와 불교음악을 통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음악문화나 음악적 식견이 더 넓고 깊어지게 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Buddhism and Buddhist music and its historical traditions of Youngsanjae. It's performance is truly worth browsing through a plan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and appreciate Youngsanjae. Also, by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Beompae, which belongs to the three vocal genre, it can feel more certain that our culture has for many years relied heavily on Buddhism and Buddhist music. The Buddhist painting, ‘Palsangdo’ and ‘Youngsanhoesangdo’ could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of Buddhism and the Buddhist scriptures containing the various opinions for the music of the Buddhist. For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Youngsanjae, this study selected the contents of Buddhism and Buddhist music and from them established the lesson plans for 5 classes selecting the musical piece of the professional fisheries monk called as Hapjangge of Hotsori, singing Budda with clasped hands with the accompaniment of taejing. Also, through Buddhist ritual music having three types, jakbeopmu of nabichum, beopgochum, barachum,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combined with music, song, and dance could been confirmed the types. Conclusively, the appreciation of Beompae, one of the three types of Korean vocal music, can help Korean students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Buddhist and Buddhist music by discov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musical types and can help to experience a wider perspective of Korean culture.

      • KCI등재후보

        경기민요 ‘늴리리야’를 통해 살펴본 중학교 민요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안

        허선형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4 국악교육연구 Vol.8 No.2

        This study chose ‘Nuilniliya’, one of the representative folk songs of the Gyeonggi province, which has been used as the singing repertoire in music textbooks for decades. The objective was to study how to change the approaches of the folk song in relationship to the Korean National Music Curricula and the music textbooks of Korean middle schools. For this study, the musical concepts, contents, and methodologies in relationship to the song from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9 were selected. This mind map shows that various activities and musical word webs can be learned through just one song from the most basic level to the highest level. This study organized proficient and relevant approaches to teaching the song, ‘Nuilniliya’ in the music textbooks of Korean middle schools as the following; 1) the introduction of ‘Nuilniliya’ one of Gyeonggi folk songs, 2) the change of the musical notation for the score of the song, 3)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tori including the mode, scale, sigimsae, or singing style of the song, 4) the appreciation and playing of the song gutgeori jangdan through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5) the instruction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in relationship to the song, and 6) the methodological expansion of creating music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 Consequently, this study revealed that from the various approaches, meaningful learning of Korean folk songs could be obtained from the effective and creative methodologies of indigenous Korean music based o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These changes to the teaching methods of Korean folk songs have resulted from the studies and efforts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world. From these results, the approaches to teaching Korean folk songs are to become more developed as well as independently reorganized. 본 논문은 우리 민요 교육의 변화를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실린 경기민요 ‘늴리리야’의 지도내용 및 방법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현행 총 17종의 교과서에서 9종의 교과서가 이 곡을 다루고 있었고, 교과서별로 학습목표에 따라 이 곡에 대한 다양한 지도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민요 교수법의 변화는 국악계와 한국음악계의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함께 해온 결과이며, 이를 통해 한국음악교육이 좀 더 주체적으로 재정비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것을 성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육적으로 의미 있고 다양한 국악 개념의 이해 및 활동의 체득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단지 민요를 배움으로써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배우느냐 즉 민요 교수법의 변화가 가져온 효과로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아직도 부족한 점과 헤쳐 나가야 할 난관은 많이 남아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앞으로 질적으로 더욱 내실 있는 민요 교육을 위한 발전방안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단 한 곡의 민요를 배우더라도 그것이 한국음악적 논리에 기반하고, 다양한 음악활동이 학생들에게 통합적으로 경험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서양음악과 국악의 음악적 특징을 동등하게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서양음악 제재곡에서 국악 어법을 찾거나 국악 개념을 설명하려 하지 않듯이, 국악 제재곡을 서양음악의 개념이나 특징을 설명하는 데 이용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셋째,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변화에 발맞추어 그것을 교사들이 수업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민요 교수법 연수가 더욱 더 강조된다. 넷째, 한국의 음악교사는 이중음악성(bi-musicality)의 자질을 갖출 필요가 있다. 즉, 다양한 시대, 문화권의 음악을 가르쳐야 하는 21세기의 음악적, 문화적 배경과 요구에 부응하는 음악교사의 자질을 함양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국가 교육과정의 내용 변화에 부합하는 민요 교육을 위한 음악교과서의 편찬과 음악교수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한국 민요의 변화 및 발전방안에 대한 논의는 시대적 고난을 공유하고 서로 비슷한 문화적, 교육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아시아 민요 교육과도 통하는 바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