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후위기 시대에 생태적 전환을 위한 기장신학: 본회퍼의 생태신학을 중심으로
허석헌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4 신학연구 Vol.61 No.1
이 글은 기장 제7문서의 의제 중 하나인 “기후위기와 생태적 전환”에 담긴 선교 방향과 과제의 신학적 타당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서가 제시한 생태적 전환의 핵심적인 관심이라고 할 수 있는 두 가지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하나는 ‘하나님-자연의 관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의 세계관의 문제이다. 다른 하나는 ‘인간-자연의 관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의 물음에서 제기되는 청지기 직임의 문제이다. 세계관과 청지기론의 두 물음은 하나로 연결된 동일한 물음이다. 이 두 가지 문제에 답하는 것은 ‘의제 4’에서 제시하는 생태적 선교의 방향의 신학적 타당성을 엄밀하게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 이 글은 신-인-자연의 영역이 분리되거나 혼합됨 없이 그리스도의 안에서 하나의 현실을 이루며, 청지기 역할론과 충돌함 없이 조화될 수 있음을 본회퍼의 윤리사상을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II장에서 신-인간-세계의 관계론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유형들이 갖는 영역적 사고의 문제점을 살핀다. III장은 청지기 직무 개념에 대한 두 입장과 갈등의 문제를 분석한다. IV장에서 기장의 생태적 전환이 담고 있는 신-자연의 관계모델과 청지기 직임의 의미를 본회퍼의 생태신학의 입장에서 제시한 후, V장에서 생태적 전환을 위한 실천의 중요성으로 글의 결론을 맺는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mission orientation and tasks set forth in Agenda 4, “Climate Crisis and Ecological Transition,” of document VII of PROK. To do so, I will address two issues that are central to the document’s concern for ecological transition. One is the question of worldview: How do we view the God-nature relationship? The other is the question of stewardship, which arises from the question of how do we view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Answering these two questions is crucial to rigorously grasping the theological validity of the ecological mission direction proposed in Agenda 4. This article centers on Bonhoeffer’s ethical thought to show that the divine, human, and natural realms are united in the God’s one reality in Christ without separation or confu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human-nature can be harmonized without conflict with the stewardship theology of Agenda 4. This article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II analyzes the God-human-world relation in terms of types and examines their problems. Chapter III describes the two positions on the concept of stewardship and the problem of conflict. Chapter IV presents the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nature and the meaning of stewardship in the context of Bonhoeffer’s ecological theology, and Chapter V concludes with the importance of action for the ecological transition.
기독교 사회주의로서 북한교회의 에큐메니칼적 이해 - 폴 틸리히의 종교사회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허석헌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4 신학과 사회 Vol.38 No.2
북한 기독교에 대한 편향된 연구의 영향 속에 있는 한국교회는 북한 교회를 대화 상대로 인정하지 않으며, 점령식 북한 선교에 함몰되어 왔다. 그러나 한반도 분단역사 가운데에서 형성된 북한체제와 종교정책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북한교회의 정체성을 편향된 정보에 의존하여 규정하는 것은 북한 기독교와의 대화와 협력 관계를 차단하는 근본 원인이 된다. 오늘날 남북 대결이 한층 격화되고 대화와 교류가 전면 단절된 상황에서 한반도 평화와 화해를 위해 한국 교회에게 요청되는 일은 북한의 기독교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이남과는 다른 체제와 역사적 경험 가운데서 이룩한 북한 기독교의 특성과 차이를 신학적으로 인정하고 객관적으로 접근하는 노력이다. 이 글은 북한 기독교를 특수한 문화와 사상이 기독교와 만나 형성 된 기독교 사회주의의 한 형태로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북한 교회를 토착종교의 한 형태로 이해함으로써 북한 기독교에 대한 배타성을 대화 가능성으로 전환할 수 있는 근거를 폴 틸리히(Paul Tillich)의 기독교 사회주의 이론에서 발견하려 한다. 틸리히의 기독교 사회주의는 남북 기독교가 경험한 역사적 상황의 극명한 차이와 이에 따른 신학적 노선의 차이를 각 자 주어진 상황에 대한 신학적 응답으로 보아야할 문제로 인식하는 포용적이며 대화적 입장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분단 전후 남북한의 기독교 경험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 역사적 과정을 검토하고, 북한의 기독교가 남한과는 다르게 북한의 사회주의 노선 하에서 펼쳐진 종교관이 종교 사회주의와의 관련성이 있음을 논증한다. 북한식 기독교 사회주의의 관점으로 해명되어질 북한 교회는 남한의 교회가 부정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의 영역으로 수용하고 연대해야 할파트너쉽의 관계임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결론에서, 북한교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 남북교회가 교회일치운동으로 연합하게 될 때 교회는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됨을 밝히고자 한다. Under the influence of biased research on North Korean Christianity, the Korean church has not recognized the North Korean church as a partner in dialogue and has been mired in occupation-style missions to North Korea. However, relying on biased information to define the identity of the North Korean church without considering the specificities of the North Korean system and religious policies that have been shaped by the history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a fundamental cause of blocking dialogue an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n Christianity. In today's context of escalating confront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a complete breakdown in dialogue and exchange, the Korean church is called upon to abandon its prejudices against North Korean Christianity and to theologically acknowledge and objectively approach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North Korean Christianity, which a different system and historical experience have shaped. This article will begin with the possibility of a new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Christianity as a form of Christian socialism shaped by the intersection of Christianity with a unique culture and ideas. To this end, it seeks to find in Paul Tillich's theory of Christian socialism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North Korean church as a form of indigenous religion that can transform the exclusivity of North Korean Christianity into the possibility of dialogue. Tillich's Christian socialism advocates for an inclusive and dialogical stance that recognizes the stark differences in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experienced by Christianity in the North and South and the resulting differences in theological lines as a matter of theological response to each given situ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es that led to th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Christianity in North and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the division of the country and argues that the relevance of religious socialism to North Korean Christianity is that North Korea's view of religion unfolded under the socialist line, as opposed to South Korea's. Through the lens of North Korean-style Christian socialism, the North Korean church will be seen not as something to be denigrated by the South Korean church, but as a partnership that should be embraced and brought into the realm of the Christian ecumenical movement. In conclusion, it will be shown that the church can contribute to the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en it moves away from negative perceptions of the North Korean church and unites the churches of the North and South in an ecumenical movement.
5・18 광주 항쟁과 사건의 신학: 계시 사건으로서 5・18 광주항쟁에 대한 신학적 해석
허석헌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4 민주주의와 인권 Vol.24 No.1
This article aims to reconceptualize the May 18 Gwangju Democratic Uprising as an "event" and to interpret its meaning as revelation. In other words, I argues that seeing May 18 as an event of divine revelation should be an authentic Christian way of remembering May 18 today. Seeing 5・18 as a revelatory event is an attempt to situate revelation in the midst of history, where Christian theology has kept it locked up in a religious system. It means de-religionizing the Christian system of truth by interpreting the religious language of revelation in the non-religious language of events. By reversing the religious interpretation of the May 18 event and attributing its meaning to the Christian message, this article attempts to read May 18as a revelation of a presence that transcends the religious message byilluminating the event. The event is beyond the religious system ofChristianity.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reconstructs the unfolding process of theevents of May 18 in the sense of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 truth event,drawing on the concept of event from French philosopher Alain Badiou andthe theologian Ahn Byung-mu, who opened the era of Korean Minjungtheology. Specifically, this study divides the events of May 18 into threeprocesses: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and the control of state power,popular resistance and the citizen army, and eavesdroppers and deaths, and traces the flow of eventualization as a process of truth discourse within theevents of May 18. In the conclusion, it reveals the theological meaning ofthe revelation of the events of May 18 by focusing on the public natureof the events of Jesus of Nazareth and the people of Gwangju.
알랭 바디우의 사건의 철학을 통한 안병무의 사건론의 재발견
허석헌 한국대학선교학회 2023 대학과 선교 Vol.55 No.-
The dialogue of Byungmu Ahn’s M injung t heology with t he e vent philosophy of Badiou is based on the ideological common ground that connects the two. In particular, the two thinkers have a common denominator in developing a discourse of resistance and liberation around the concept of an event. If Badiou’s event philosophy can be theologically accepted and interpreted, it can provide inspiration and a framework for th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thought structure of Minjung theology. To this end, this study comprises the following order and contents. First, this paper reclaims Minjung’s event and draws the contours of its background,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event. Second, I explain the overall structure of Badiou’s event philosophy and reveal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Minjung event theory and Badiou’s event theory. In conclusion, this paper describe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and validities of Ahn’s event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Badiou’s event notion. 이 글은 안병무의 ‘민중사건’의 개념과 프랑스의 철학자 알랭 바디우의 사건의 철학 사이의 대화를 통해 민중 사건론의 철학적 토대와 신학적 의미를 확인하는데 있다. 안병무의 사건론과 바디우의 사건의 철학 간의 대화는 둘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사상적 동질성에 근거한다. 특별히 두 사상가는 사건의 개념을 중심으로 저항과 해방의 담론을 전개하고 있다는 공통분모를 갖는다. 만약 진리와 주체의 가능성을 사건의 정교한 철학적 개념들을 통해 전개하였던 바디우의 사건 철학을 신학적으로 수용하고 해석할 수 있다면, 전통적 기독교에서 신 인식에 대한 이분법적 구도를 넘어서 사건을 통해 계시와 민중 주체를 진술하려는 민중신학의 사유구조에 바디우식 철학적 해석의 영감과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와 내용으로 구성된다. 첫째, 안병무의 사건론의 내용과 그 특징을 분석한다. 둘째, 바디우의 사건의 철학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고 안병무의 사건론과 바디우의 사건론 사이의 접점을 밝힌다. 결론에서는 안병무의 사건론이 갖는 철학적 함의와 타당성을 바디우식 사건 해석으로부터 제시한다.
허석헌 대한철학회 2024 철학연구 Vol.169 No.-
This study argues that Bonhoeffer’s Christian ethics of “living together with others” should be elucidated from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Ba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Bonhoeffer’s theology and Kant’s philosophy, I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Bonhoeffer’s theology of the other that does not identify the other as the subject and, at the same time, does not reduce the subject to the other. This means that Bonhoeffer succeeded in dialectically coexisting the mutual independence and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without emphasizing the priority of either. I contend that the ethics of others, which does not exclude the subject, is a highly suitable approach in today’s ethical situation that demands both change through the subject and the rights of the other. To this end, this study fulfills three tasks. First, this paper explains Bonhoeffer's critique and reception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Second, this study examines Bonhoeffer's theological reconstruction of Kant's act-philosophy. Finally, this study argues for the importance of an ethic of solidarity that goes beyond an ethic of “for” the other to an ethic of “with” the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