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reation of Soccer Video Highlight Using The Structural Features of Caption

        허문행,신성윤,이양원,류근호,Huh, Moon-Haeng,Shin, Seong-Yoon,Lee, Yang-Weon,Ryu, Keun-Ho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0 No.4

        디지털 비디오는 대용량의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는 시간적으로 매우 긴 데이터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대용량의 긴 비디오를 시청하기 전에 사전에 제작된 요약된 비디오를 시청하고 싶어 한다. 특히, 스포츠 비디오 분야에서는 하이라이트 비디오를 시청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하이라이트 비디오는 사용자들이 비디오를 시청하고자 할 경우 그 비디오가 시청할 가치가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막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축구 비디오 하이라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자막의 구조적 특징은 자막이 갖는 시간적 특징과 공간적 특징으로서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자막 프레임 구간과 자막 키 프레임을 추출한다. 그리고 하이라이트 비디오는 자막 키 프레임들에 대한 장면 재설정과 논리적 색인화 및 하이라이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브라우저를 통한 사용자의 항목 선택에 의하여 하이라이트 비디오와 비디오 세그먼트에 대한 검색과 브라우징을 수행할 수 있다. A digital video is usually very long temporally. requiring large storage capacity. Therefore, users want to watch pre-summarized video before they watch a large long video. Especially in the field of sports video, they want to watch a highlight video. Consequently, highlight video is used that the viewers decide whether it is valuable for them to watch the video or not. This paper proposes how to create soccer video highlight using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aption such as temporal and spatial features. Caption frame intervals and caption key frames are extracted by using those structural features. And then, highlight video is created by using scene relocation, logical indexing and highlight creation rule. Finally. retrieval and browsing of highlight and video segment is performed by selection of item on browser.

      • KCI등재

        조선시대 추고경차관 제도의 운영

        허문행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0 한국문화연구 Vol.38 No.-

        The study is an analysis of Chugo Kyongchagwan's system in the Joseon Dynastic.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n a special situation occurred in a region, the central government dispatched an official called Kyongchagwan(敬差官). Kyongchagwan worked in various fields such as national finance, military, and welfare, and, among them, Chugo Kyongchagwan was a “special investigator” who thoroughly examined the moral principle crimes occured in regions. According to the records of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Seungjeongwon Ilgi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Chugo Kyongchagwan first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and about 250 cases of activities were confirmed until the 19th century. Chugo Kyongchagwans were dispatched to search for drifters and to arrest thieves, but, they mainly carried out the roles of investigating the moral principle crimes (綱常犯罪) since the 16th century. The moral principle crimes refers to violent crimes committed against the royal family(王室) and any ordinary family(家族) members. Since the ruling principle in the Joseon Dynasty was rooted in Neo-Confucianism(性理學), whic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King and ordinary family, the moral principle crimes case was considered a threat to its principle. As such, Central government dispatched Chugo Kyongchagwan to stabilize the public sentiment, while punishing the moral principle case more strictly. Chugo Kyongchagwan conducted the roles that investigated the case circumstances (情況) in the area where the case occurred, directly interrogated the people involved, took the final statement from the criminal, and then reported it in person to the king. With the increase in dispatching Chugo Kyongchagwan, the regulations needed for their activities began to be improved. The mission and authority were recorded in 「Chugo Kyongchagwan-jegeosamok(推考敬差官齎去事目)」 which is issued to Chugo Kyongchagwan, accordingly, Kyongchagwan was able to directly control the government officials under Suryeong (守令). Through the Chugo Kyongchagwan system, it can be looked into the perception of the moral principle crimes in regions of the Joseon Dynasty, the process of handling cases, and Kyongchagwan's mission and authority. Based on these, it is believe that it can contribute to clarify the characters of Kyongchagwan in the Joseon Dynasty. 이 글은 조선시대 추고경차관推考敬差官 제도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조선시대 지방에 특수한 상황이 발생하면 중앙에서 경차관敬差官으로 불리는 관원이 파견되었다. 경차관은 국가의 재정, 군사,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는데, 추고경차관은 지방에서 발생한 강상범죄를 철저하게 조사하는 ‘특별수사관’이었다.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추고경차관이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15세기 중반으로 19세기까지 약 250건의 활동사례가 확인된다. 추고경차관은 표류자의 수색, 도적의 체포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으나, 16세기 이후 주로 강상 범죄綱常犯罪의 조사를 전담하게 되었다. 강상범죄는 왕실王室 혹은 친족親族을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를 가리킨다. 조선왕조의 통치이념은 국가와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한 성리학性理學에 뿌리를 두고 있었기에, 강상사건은 통치이념을 위협하는 요소로 여겨졌다. 이에 따라 강상사건을 더욱 엄격하게 다스리는 한편 민심을 안정시키기 위해 추고경차관을 파견하였다. 추고경차관은 사건이 발생한 지역에서 사건의 정황을 조사하고 연관된 사람들을 직접 심문했으며 죄인에게 최후 진술을 받아 국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추고경차관의 파견이 증가하면서 활동에 필요한 규정이 정비되기 시작했다. 추고경차관에게 발급된 「추고경차관 재거사목推考敬差官齎去事目」에는 임무와 권한이 기록되어 있다. 추고경차관 제도를 통해 조선시대 국가의 지방 강상범죄에 대한 인식, 사건이 처리되는 과정, 경차관의 임무와 권한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경차관의 성격을 밝히는데 조금이나마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영조대 갱진(賡進) 자료 연구

        허문행 국립중앙박물관 2024 박물관과 연구 Vol.1 No.-

        조선의 국왕은 나라를 경영하거나 개인적으로 느낀 바를 시(詩)로 남기곤 했다. 태종(太宗, 재위 1400–1418)·성종(成宗, 재위 1469–1494)·영조(英, 재위 1724–1776) 등 국왕은 신하들에게 직접 지은 시를 내리고 운자(韻字)를 맞추어 화답하도록 했는데, 이러한 군신 간의 문학적 교유를 갱진(賡進)이라 한다. 갱진과 관련한 자료는 국왕들의 언행을 기록한 연대기자료, 역대 국왕들이 지은 글을 모은 『열성어제(列聖御製)』, 국왕이 갱진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한 《갱진첩(賡進帖)》, 갱진에 참여한 신하들의 문집 등에 다수 남아 있다. 이 중 《갱진첩》은 국왕과 신하의 갱진 직후에 제작된 것으로, 갱진의 배경과 내용 그리고 참석자 등 다양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갱진첩》은 국립중앙박물관·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에 다수 소장되어 있는데, 현전하는 갱진첩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은 영조대 제작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연대기자료를 통해 영조가 52년의 즉위 기간 내 공식적으로 200여 차례가 넘는 갱진을 시행했음을 분석하고, 영조의 노년기에 해당하는 1769년(영조 45)부터 1776년(영조 52)까지 갱진이 대폭 증가하는 양상을 살폈다. 또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18~19세기 갱진 관련 자료 첩(帖)·책(冊)·현판(懸板)·병풍(屛風) 16건을 소개하고, 그중 영조대 제작된 《갱진첩》 8건을 중심으로 제작 배경과 내용 그리고 해당 작품의 특징에 대해 정리했다. 영조 연간 제작된 갱진 자료는 국가(또는 왕실)의 경사, 국정 운영, 군신 간의 문학 활동 등 당대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ings of the Joseon Dynasty composed poems exploring their thinking about the governance of the country or personal feelings. Kings Taejong (r. 1400–1418), Seongjong (r. 1469–1494), Yeongjo (r. 1724–1776), and other kings bestowed poems upon their officials and had them compose response poems using rhyming words. Such literary exchanges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were called gaengjin. The vast body of surviving materials related to gaengjin includes chronological materials recording the words and acts of kings, Yeolseong oeje compiling writings by Joseon kings, the so-called gaengjin albums that kings specially produced to commemorate officials’ composition of response poems, and literary collections by officials who took part in the composition of response poems. Gaengjin albums were produced immediately after the king’s bestowal of a poem and the officials’ composition of response poems. They provide diverse information about the background, content, and participants of literary exchanges. Many of these albums are held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Gyujanggak Archiv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 majority of the extant gaengjin albums were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is paper analyzed chronological materials on the gaengjin literary exchanges that were officially conducted 200 times during the fifty-two-year reign of King Yeongjo. It also explored the drastic increase in gaengjin literary exchanges between 1769 (the forty-fifth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1776 (the fifty-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period corresponding to King Yeongjo’s latter years. The paper introduced sixteen items (albums, books, hanging boards, and folding screens) related to the gaengjin literary exchanges held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mong them, it shed light on the production background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ight gaengjin albums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gaengjin literary exchange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re valuable in that they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aspects of the respective period, including joyous events of the state (or royal court),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 and literary activities among the sovereign and subjects.

      • KCI등재

        1741년 作 《景賢堂賡載帖》 연구

        허문행 국립중앙박물관 2022 미술자료 Vol.- No.102

        조선의 제21대 국왕 英祖(재위 1724~1776)는 1737년(영조 13) 10월부터 1741년(영조 17) 6월까지 經筵에서 성리학의 핵심 경전 중 하나인 『春秋』를 進講했다. 영조는 『춘추』에 등장하는 내용을 바탕으로 국정을 논하였다. 또한 영조는 『춘추』를 통해 군신 간의 ‘義理’를 강조함으로써, 국왕의 정치적 권위를 높이고 정국을 안정시키고자 하였다. 영조는 1741년 6월 22일 慶德宮(지금의 慶熙宮) 景賢堂에서 『춘추』 진강을 마친 것을 기념하는 宣醞을 베풀었다. 경현당은 본래 世子의 政堂이었으나, 18세기 초부터 왕실의 공식 행사를 진행하면서 국왕의 위엄를 상징하는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영조가 경현당에서 선온을 베푼 것은 국왕의 위엄을 바탕으로 大統을 계승할 세자의 권위를 신하들에게 분명히 알리기 위한 목적이 반영되어 있었다. 《경현당갱재첩》은 경현당 선온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한 첩으로 선온 장면을 그린 <景賢堂錫宴圖>·선온의 전말·영조의 御製詩와 신하들의 和答詩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첩은 선온에 참여한 신하들에게 賜給되었는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과 서울역사박물관에 각각 1건씩 총 2건이 전하고 있다. 《경현당갱재첩》은 18세기 중반 경연과 賡載 양상, 국왕의 정통성 강화와 군신 간의 ‘의리’가 강조된 당시의 정치적 상황, 아버지의 입장에서 아들 思悼世子(1735~1762)를 걱정하는 영조의 모습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King Yeongjo (r. 1724–1776), the twenty-first king of the Joseon Dynasty, lectured on Chunqiu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one of the five core Neo-Confucian classics, during royal lectures from the tenth lunar month of 1737 (the 13th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through the sixth lunar month of 1741 (the 1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He discussed state affairs drawing upon the contents of this volume. Moreover, he tried to boost the political authority of the king and stabilize the political situation by emphasizing the king-subject relationship based on Confucian propriety and principles as expressed i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On the twenty-second day of the sixth lunar month of 1741, King Yeongjo bestowed liquor on officials to commemorate the completion of his lectures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in Gyeonghyeondang Hall at Gyeongdeokgung Palace (present-day Gyeonghuigung Palace). Gyeonghyeondang Hall was originally used as a space for a crown prince to discuss state affairs. When official events began to be held there from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however, it turned into a space symbolizing the dignity of a king. King Yeongjo’s bestowal of liquor at Gyeonghyeondang Hall reflected his goal of making clear to officials that the authority of the crown prince who would succeed the throne was built upon the dignity of the king. Album of Poems Composed by King Yeongjo and Officials at Gyeonghyeondang Hall was produced to commemorate King Yeongjo’s bestowal of liquor upon his subjects at Gyeonghyeondang Hall. It contains a painting depicting a banquet held by the king to bestow liquor upon officials at Gyeonghyeondang Hall, the text regarding the circumstances of the king’s bestowal of liquor, a poem composed by King Yeongjo, and response poems by the officials. Copies of this album were given to the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event. Only two examples have survived, one housed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one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Album of Poems Composed by King Yeongjo and Officials at Gyeonhyeondang Hall allows us to explore royal lectures, the practice of composing poems in response to a king’s poem, and the political situation marked by the strengthening of the king’s legitimacy and the emphasis on the king-subject relationship built upon Confucian propriety and principles in the mid-eighteenth century. It also enables us to better understand King Yeongjo as a father concerned about his son Crown Prince Sado (1735–176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