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주의 실천으로부터 치유의 인문학 방향 찾기

        허라금 ( Ra Keum Huh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3 시대와 철학 Vol.24 No.1

        This paper began with the position of understanding the limits of Humanities as a means to discover the answer to the questions, ``Who am I`` and ``How should I live`` when believing that there is one correct answer. From the start, the objective of traditional Humanities was never to be a humanities in which those in the peripheries and those in pain can participate and form their subjecthood. Therefore, one can hardly expect the Humanities to give healing and caring for the painful suffering of the socially vulnerable who are unable to claim representative positions. By asking questions on Humanities, they should go on to discover their own value and to practice the value that they discovered. As such, humanities healing should include the act of questioning which problems in the order of today`s world bring mental and physical pain to humans and the act of restoring the self-autonomous ability of humans to change the world.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is answer in the practice of feminism which has taken place in the past half-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성 주류화 정책 패러다임의 모색

        허라금(Huh Ra-Keum)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1

        이 글은 지난 10여 년간 한국 여성정책이 기초해 온 정책 패러다임을 평가하고 앞으로 나갈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논문의 구성은 크게 세 가지로 이루어졌다. 먼저, 전통적인 공/사 구분을 재조정함 없이 여성을 공적 영역에 포함시켜 그 경제적 자립을 통해 남녀 평등을 이루려는 기획은 엄밀한 의미에서 젠더 구조에 민감한성 주류화 정책이 되지 못한다는 점을 논리적, 개념적으로 설득한다. 다음, 개념적 논리에 기반해 이루어진 논증이 실제 현실 정책 현장에서 어떻게 확인되는지를 여성정책의 최근 성과와 한계를 통해 보이고자 했다. 이상의 논의는 새로운 대안적인 정책 패러다임이 요구됨을 설득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사적인 영역에서 수행해온/하고 있는 여성들의 보살핌 활동 경험과 그 활동 가치가 사회적 기여로 인정되도록 하는 사회정의의 패러다임을 키테이의 연구를 중심으로 제시하였고, 더 나아가 보살핌의 필요를 공적으로 조직화하는 정책에서는 어떤 점들이 구체적으로 달라질지를 복지정책 안에서 살펴 보았다. 이상은 소위 ‘생산활동’에‘재생산 활동’을 종속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여성의 사회적 기여를 비가시화하고 주변화해 왔던 기존의 삶의 질서와는 다른 질서를 구상하는 방향으로 성 주류화 정책이 변화해야 함을 제안하려는 논문의 목적과 연결된다. This paper evaluates the policy paradigm on which the gender policy in Korea has been based for the last ten year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change. It consists of three major sections. First, I argue that plans to achieve gender equality through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by integrating them into the public sphere without adjusting the traditional division of public-private spheres is not gender sensitive enough and therefore inadequate for gender mainstreaming policy. Next, I tried to show how this is proved within the context of policy application by presenting the recent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gender policy in Korea. These first two steps are taken to persuade the readers that an alternative policy paradigm is in demand. Lastly, I present a social justice paradigm that validates women's care giving work, traditionally exercised within the private sphere, as a social contribution. Studies by Eva Feder Kittay is a major contribution to this concept which I look at in details. I also tried to show what differences will take place within the existing welfare policy when policy that publicly organizes the need for care is applied. Present way of life marginalizes and makes invisible women's social contribution by subordinating ‘reproduction work' to ‘production work'. The three steps of argumentation I have taken is in accord with the purpose of this paper which suggests that gender mainstreaming policy needs to change its direction by considering a different way of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위험 시대 재난과 정치적 책임

        허라금(Ra Keum Huh) 철학연구회 2015 哲學硏究 Vol.0 No.108

        This article aims at conceptualizing ‘disaster’ as structural injustice in the context of the age of risk. It is to derive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on disaster’, which fits today’s society, from the concept of ‘disaster as structural injustice’. It is an attempt to understand disaster as a sort of ‘social process’ not as an unfortunate ‘event’. Understanding disaster as social process has a different perspectives in disaster prevention and preparation, responses and recovery with understanding disaster as an ‘event’. In main body, I will review briefly changes in the modern concept of disaster and discuss Naomi Zack’s argument about the issue of disaster as a theme of ethics. And then I will argue that the conventional approach of ethics, which is represented by Zack is inappropriate to understand and prepare the issue of disaster in the age of risk and assert appropriateness and necessity of the perspective to see disaster as social process not a momentary event. Finally, with the meaning of disaster in the risk society, I will suggest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suitable for disasters, based on the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proposed by Iris Young.

      • KCI등재

        부덕(婦德)의 실천을 통해 본 유교(儒敎)

        許羅今 ( Huh Ra-keum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7 No.-

        이 글은 유교 종부의 덕의 실행이 갖는 의미와 그 한계를 살피는데서 출발하여, 유교적 덕의 실천이 남녀 차이를 차별하지 않는 민주적 방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기능적으로 성별 분업화된 예의 실천으로 유지되어 온 유교의 윤리를 시민의 통합적 윤리로 재해석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통합적 윤리로서의 유교 윤리는 생명을 길러내는 구체적인 수행 속에서 함양되는 도덕적 덕과 함께 의로운 세계를 만들고자하는 정치적 실천의 덕을 온전한 한 인격으로서 통합적으로 실천할 것을 목표로 한다. 그와 같은 통합적 인격으로서의 덕은 음양의 균형을 이룬 이들의 모범을 따라서 그 뜻을 연마하기 위한 배움의 터가 존재할 때, 또한 일상이나 제도적 질서가 그러한 덕성의 실천이 가능하도록 조직, 운영될 때 함양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덕성을 갖춘 이들이 만들어가는 유교 사회는 그것이 공유하는 규범에 의해 자아가 구성되고 동시에 관계적 인격들이 그 자아를 구성하는 사회적 규범을 만들어가면서 형성되는, 진정한 윤리적ㆍ정치적 주체들의 공동체가 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하여 탄생한 새로운 유교 해석은 오늘날의 민주적 가치와 접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seeks to a way to embody the practice of Confucian virtues as democratic mode, which does not discriminate gender difference. Therefore, the article suggests that Confucian ethics, which has been maintained as practice of functionally gender-divided li, is reinterpreted as integrated ethics for citizens. Such Confucian ethics, as a whole person, aims at practicing integratedly political virtue of practice to create a just world as well as moral virtue which is cultivated in a concrete practice to care for life. The virtue as the integrated person can be built when there is a site for training according to a model of people who accomplish the harmony of ying-yang, and when daily or institutional order is organized and maintained to practice these virtues. Then, the Confucian society, constituted by people with the virtues, will be a community of genuine ethical and political subjects, where selves are constituted by shared norms and relational persons create social norms that consist of the selves. And new Confucian interpretation, born through the process, will be able to meet with today's democratic values.

      • KCI우수등재

        관계적 자율성에 대한 철학적 연구

        허라금(Huh, Ra-Keum) 한국철학회 2014 철학 Vol.0 No.120

        이 글은 기존 자율성 개념이 사회적으로 주변화 되거나 억압 받는 위치에 있는 이들의 자율적 행위성을 비가시화 하게 만드는 개념이라 보고, 이들의 행위성을 인정하는 자율성 개념 이해를 모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자율성 개념에 대해 제기된 여성주의 비판과 더불어, 관계적 자율성 개념을 발전시켜온 여성주의 철학자들의 논의를 살펴본다. 그리고 개인의 정체성이 그가 속한 사회화 과정에서 상당부분 형성된다는 것을 인정하고, 자율적인 결정과 선택을 가로막는 환경적 제약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진지하게 고려하는 입장에서, 이 글은 사회적으로 취약한 이들이 택하는 일견 ‘타율적 행위나 선택’처럼 보이는 것 역시 자율적인 것으로서 존중할 수 논리를 절차적 자율성 이해에서 찾는다. 이 글은 절차적 자율성과 실질적 자율성 간의 관계를 온정주의에 대한 입장 차이를 통해 대비하고, 이를 토대로 절차적 자율성 개념이 관계적 자율성 개념으로서 적합함을 주장한다. 온정주의적 강제에 대한 입장은 곧 취약한 위치에 있는 이를 자율적 존재로 취급하느냐 아니냐와 직결되는 것으로서, 이들의 인격성에 대한 존중의 문제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례에 비추어 절차적 관계적 자율성 개념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한다. This article aims at understanding perstonal autonomy in order to recognize agency of people who are socially marginalized or oppressed, considering that the mainstream philosophical concept of autonomy makes them invisible, For this, feminist philosophers" discussions on the notion of relational autonomy as well as feminist critiques on the existing concept of autonomy are examined. In the perspective that personal identity is considerably formed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of her own and that there are also situational constraints against autonomous decisions and choices, I suggests that at a glance ‘heteronomous acts or choices’ by the socially vulnerable can be regarded as autonomous ones. Then, the article compares the concepts of procedural and substantial autonomy by contrasting their respective views on paternalism and asserts that the concept of procedural autonomy is suited as that of relational autonomy. The aspect on paternalism is connected directly with whether to recognize the vulnerable as autonomous being or not, with its significance on respect on their personhood. Finally, through the case of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the idea of the concept of procedural, relational autonomy takes concrete shape.

      • KCI등재

        특집 논문 : 젠더 관점에서 본 아시아 여성의 재난 취약성

        허라금 ( Ra Keum Huh ) 한국환경철학회 2012 환경철학 Vol.0 No.13

        본 연구는 재해가 빈번하고 가부장적인 젠더 관계가 지배적인 아시아 지역 현장에서 이루어진 그 동안의 재난 연구들을 바탕으로 여성을 재난에 취약하게 하는 젠더 구성적 측면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시아 재난 취약 국가들의 젠더 질서와 이들 나라 여성들의 재난 피해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한다. 그리고 여성의 인명피해비중이 훨씬 크게 나타나곤 하는 아시아 재난 현상을 이해하는데 젠더 중립적인 관점이 갖는 한계를 넘어설 필요가 있음을 보인다. 본문은 ``재난``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부터 시작한다. 재난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는가는 재난과 관련된 이해와 분석, 대책 및 복구정책 등의 방향을 결정하는 기초라는 점에서 재난 연구에서 중요하다. 먼저, 재난을 사회적 취약성으로 보는 관점의 유효성을 살피고, 인명피해의 절대적 다수가 여성인 아시아 재난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취약성 개념을 넘어서 젠더 취약성 개념이 필요함을 논한다. 마지막으로 젠더 취약성 개념 아래에서 어떤 재난 대책이 요구되는지를 살펴보고, 아시아 여성의 재난 취약성을 구성하고 있는 젠더적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구체화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gendered aspects of women`s disaster vulnerability in Asia. I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women`s disaster vulnerability and their countries` patriarchal gender order, especially in Asian countries that are vulnerable to disasters. This study would be able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phenomena of much larger proportion of women victims in disasters of these countries. To do this, I start from the question on how to conceptualize the term ``disaster``. That is very important in disaster studies since the concept of ``disaster`` would largely determine a direction of approach to the related understanding and analysis, recovery polices, etc. First, I take the socially constructed vulnerability approach to disaster, and then I show the inadequacy of the approach to explain the phenomena of the absolute majority of women victims in disasters,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e concept of ``disaster``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gender-neutral perspective. Then from the gender-constructed (gendered) point of view on vulnerability, I suggest what kind of intervention is necessary, and what kind of gender factors constitute women`s disaster vulnerability in Asian countries that are vulnerable to disasters. I develop these arguments based on research papers, reports from the international disaster institutions, related research documents and so on.

      • KCI등재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연구

        허라금(Huh, Ra Keum),조소연(Cho, So Yeon) 한국여성학회 2015 한국여성학 Vol.31 No.1

        이 논문은 지구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대리모 시장의 거대구조 속에서, 대리모 여성의 실제 경험이 갖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우선, 상업적 대리 출산과 경제 논리로 매개된 지구적 재생산 위계구조가 제3세계 여성에 대한 몸의 착취를 가져왔음을 비판해 온 페미니즘의 프레임을 통해,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증가의 요인과 현황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인도 대리모 여성들을 지구적 대리모 시장에서 행위자가 아닌 피해자로 위치시키는 서구식 식민주의적 관점을 지양하면서, 제 3세계 여성 당사자의 경험을 민족지학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가시화할 것을 제안한 판데(Pande)의 연구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인도 현지의 대리모 여성들과 대리모 시술 병원, 그리고 여성의 건강권을 중심으로 대리모의 법적 권리를 주장하고 있는 인도 여성단체인 ‘사마(Sama)’ 활동가의 입장 등을 고려하면서, 가족에 대한 기존의 개념과 질서, 관계에 균열을 낼 수 있는 대리모 수행의 가능한 의미들을 탐색한다. This study here is to seek implication of actual experiences of Indian surrogate women in the grand structure of increasingly globalized market for fertility industry. For this, we begin by examining the factors,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growing market of Indian commercial surrogacy, from the framework of feminism which has criticized that hierarchical structure of global reproduction that is intertwined with commercial surrogacy and logic of economy, has led to exploit female bodies in the third world. Second, we are to review several researches of Amrita Pande, who challenged the western colonialism perspective that simply situates Indian surrogate women not as agents, but as victims in the global surrogate market, therefore proposed the feminist ethnographic approaches to capture third world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finally, considering the each position of Indian surrogate women, Akanksha infertility clinic, Sama activists who advocate legal rights to protect surrogate women by focusing on the women’s health issue, on surrogacy, this study concludes with researching on conditions required for actualizing the possibility of surrogate performance to disrupt conventional concept, order, and relations of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