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학의 지형도에 그려 넣어야 할 북방 한계선

        허경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5 고전과 해석 Vol.19 No.-

        우리나라 지도의 북쪽에 압록강과 두만강이 있고, 그 위에는 중국 영토가 있는데, 이곳이 바로 고구려의 옛 땅이다. 고구려의 영토가 바로 이곳이고, 고구려의 역사와 문학 배경이 바로 이곳인데, 그 이전 古朝鮮의 문학 영토는 그보다 훨씬 더 북쪽이다. 한국 문학의 지형도에 그려서 넣어야 할 북방한계선을 찾는 것이 국문학자의 중요한 연구과제 가운데 하나이다. 세종대왕이 六鎭과 四郡을 개척한 뒤에 현재 우리나라 영토의 북방한계선이 정해졌지만, 사대부가 많이 살지 않았다고 생각했기에 한문학 지도에서 이 지역을 별로 연구하지 않았다. 조선시대 과거시험 합격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지방이 평안도라는 연구결과가 나온지 오래 되었지만, 우리는 이 지역을 문학지형도에서 애써 외면했다. 19세기말까지 漢字가 동아시아의 공동문자였으므로, 한자를 아는 한국인은 중국인이나 일본인과 통역이 없이도 의사를 소통하고, 漢詩를 唱和하거나 筆談을 주고받았다. 중국을 무대로 기록된 燕行錄 500종, 일본을 무대로 펼쳐지는 通信使 使行錄 45종과 필담창화집 167종 통신사 사행록과 필담창화집은 필자가 수집하고 조사하면서 계속 숫자가 늘어났는데, 문화재청 용역 보고서 『통신사기록 조사 번역 및 목록화 연구』 (문화재청, 2014)에 소개한 숫자이다. 역시 한국문학 지형도에 그려넣어야 할 동방과 서방 한계선이다. 漂流記 경우에는 북방으로 아이누가 살던 북해도까지, 남방으로 류큐(오키나와)와 필리핀을 거쳐 베트남까지 한국문학 지형도에 포함시켜야 한다. 한민족이 백년 넘게 정착해 살고 있는 중국땅의 朝鮮族文學이나, 러시아에서 창작되는 高麗人文學, 미국 땅에서 창작되는 美洲人文學, 일본 땅에서 창작되는 在日同胞文學 역시 20세기 한국문학 지형도를 넓혀주었다. 사행록이나 표류기가 일시적인 문학기록이고, 移住人文學 역시 영토와 관련이 없는 문학이지만, 고조선시대에서 고구려시대까지의 문학은 문학지형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와 영토에도 관련되는 문학이기에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내년(2016년)은 세종대왕이 압록강 가에 여연군을 설치하여 甲山 서쪽의 압록강 南岸을 모두 우리나라 영토로 편입시킨 해이다. 四郡을 개척한 첫 해를 기념하여 ‘한국문학의 북방한계선’을 주제로 한 종합적인 연구가 시작되기를 기대한다. Maps of Korea have the Amnok and Tuman Rivers to the north, and above them Chinese territory, the old territory of Koguryŏ. This region was the territory of Koguryŏ, the setting of its history and literature, and previously the literary territory of Kojosŏn which was much further north. Finding where to draw the Northern Limit Line (NLL) on Korea’s literary geographical map i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tasks of Korean literature. Although the present NLL was established after the six garrisons and four outposts by King Sejong, the region was little studied in the literary map of classical Chinese studies since it was thought that few scholar-officials lived there. Research has long shown that P’yŏngando was the province that produced the most passers of the Chosŏn civil service exams, but it has been ignored in the map of the Korean literary landscape. As Chinese characters were the common literary language until the end of the 19thcentury, Koreans who knew them could communicate their thoughts with Chinese and Japanese without translation, exchanging Chinese poetry or communicating by writing. Records of travels to Beijing written with China as the setting number 500 pieces, while the records of emissaries to Japan number 45 and collections of written conversations and poetry exchanges number 120, so eastern and western limit lines need to be drawn on the Korean literature geographical map. In the case of “drifting” records, the map also should include Hokkaido, where the Ainu lived, in the north and the Ryuku(Okinawa), Phillipines, and Vietnam to the south. The literature of Koreans in China, who have settled there for over one hundred years, Koryŏ-saram literature in Russia, Korean-American literature, and Zainichi Korean literature also widened the geographical map of 20thcentury Korean literature. Emissary records and “drifting” records were momentary literary records, and although emigrant literature has no relation to territory, the literature from Kojosŏn to Koguryŏ is not only an important research topic for the literary geographical map but also Korea’s history and territory. 2016 will be the year that the Yŏyŏngun Outpost established by King Sejong and Naman on the Amnok River west of Kapsan are included into Korean territory. In commemoration of the first year of the establishment of the four outposts, we await the start of comprehensive studies on the topic of “The Northern Limit Line of the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 AHCI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중 문화교류의 유형과 석릉수간의 위상

        허경진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39 No.-

        한자(漢字)가 우리나라에 수입된 뒤에, 한중 문화교류는 주로 한자를 통해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에는 유학생이나 무역상들도 자 유롭게 중국을 오갔지만, 조선시대에는 일 년에 몇 차례 사신만 국서를 가지고 오 갔다. 조선에서 중국에 가는 사신을 명나라 때에는 조천(朝天), 청나라 때에는 연 행(燕行)이라 하였는데, 이들은 시대 분위기에 따라 소극적, 또는 적극적으로 북 경(北京)에서 중국 문인들과 필담(筆談), 창화(唱和)를 통해 교류하였다. 중국 사신들이 조선에 오면 접반(接伴) 문인들과 한시를 주고받았으며, 이때 지은 작 품들은 황화집(皇華集)으로 출판되었다. 대부분의 한중 문화교류는 북경에서 두 나라 문인들 사이에 이뤄졌는데, 임오군 란(1882) 때에 오장경(吳長慶) 부대가 조선에 주둔하면서 청나라 장수(將帥)와 종군문인(從軍文人), 조선의 영접관이 문화교류의 주역이 되었다. 오장경의 막료 (幕僚) 가운데 나이가 가장 어렸던 원세개(袁世凱)가 조선에 머무는 동안 권력을 쌓아 결국 중화민국의 대총통을 거쳐 중화제국의 황제까지 올랐다. 임오군란의 영 접관 김창희(金昌熙)가 오장경의 막료 25명에게서 받은 시문(詩文) 138건을 묶은『석릉수간(石菱受柬)』에는 124편의 편지가 실려 있으며, 이 가운데 상당수는 청나라 문인들의 문집이나 서간집에 실려 있지 않다. 한양(漢陽)이라는 공간, 1880년대라는 시간, 대원군(大院君)의 실각, 138건이라는 분량, 원세개가 황제 까지 오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 점들로 볼 때에, 『석릉수간(石菱受柬)』은 한중 문화교류사에서 독특한 위상을 지닌다. Since Chinese characters were introduced to Korea, the letters have served as a means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Goryeo Dynasty Period, a wide range of people, including students and merchants, were allowed to travel to China.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only a small number of envoys responsible for delivering sovereign messages were permitted to cross the border. Those envoys were called Jocheon(朝 天) in the Ming Period and Yeonhang(燕行) in the Qing Period. They made contact with literary circles in Beijing, actively or cautiously depending on the social atmosphere at that time, through literary exchange(筆談) and verifying poetry(唱和). When Chinese envoys came to Joseon, they exchanged Chinese poems with reception (接伴) poets, and those poems were published in Hwanghwajib(皇華集). Sino-Korean cultural exchange most often took place in Beijing. However, when Im-O Gunran(the Military Mutiny of 1882) occurred and General Wu Changqing’s troops were stationed in Joseon, commanders and military writers from Qing and reception officers from Joseon were the key players in cultural exchange. Yuan Shikai, the youngest member of Wu Changqing’s staff, built up his political power while staying in Joseon, eventually becoming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China and later Emperor of the Empire of China. During Im-O Gunran, Kim Chang-Hee, a reception officer of Joseon, collected 138 poems and 124 letters from 25 members of Wu Changqing’s staff and published Seok-neung-su-gan(石菱受柬). The poems and letters in this book cannot be found in any anthologies or correspondence books from the Qing Period. Seok-neung-su-gan holds a unique and important status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cultural exchange given that it was published in a special space, Hanyang (the former name of Seoul), and at a special time, the year 1880, when Daewongun was ousted. It is also meaningful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poems in the book, and Yuan Shikai was able to become an emperor on the basis of the power he amassed in Joseon.

      • KCI등재

        북미지역에 소장된 내한 의료선교사 편지 기록의 현황과 디지털 인문학적 활용 가능성

        허경진,한미경,이혜은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1

        1884년 한국에 온 최초의 의료선교사 Horace Allen이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제중원을 세운 뒤에 John Heron, Oliver Avison 등 외국인 의사들이 선교를 목적으로 차례로 입국하였다. 이들은 병원과 의과대학을 설립하고 진료와 교육활동을 통하여 근대의학을 보급하고 발전시켰다. 또한 체류기간동안 파송기관과 교회에 공적 기록물을 작성하여 보고하였고 동료, 후원자, 그리고 가족들에게는 개인적인 기록물을 남겼다. 개화기 이후 내한선교사들의 기록, 즉 보고서, 기행문, 편지, 일기, 사진, 구술자료 등은 우리나라 근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사료이다. 특히 일기나 기행문이 자세한 기록이기는 하지만, 일방적인 기록이기 때문에 과장되거나 불확실한 경우가 있는 것에 비해 편지는 수신자와 발신자 사이의 기록이기 때문에 사실 확인이 가능하고 회고록처럼 후일의 상황변동에 따라 수정하거나 변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학술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내한 의료선교사들의 1차적인 기록인 편지를 보다 포괄적으로 발굴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북미지역 29개 기관에 소장된 49개의 기록물 컬렉션을 조사하고 분석한 것이다. 또한 이들의 자료적 가치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인문학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근대사 연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The first Protestant medical missionary, Horace Allen, came to Korea in 1884 and built the first western-style hospital, Jaejungwon. John Heron, Oliver Avison and other foreign medical doctors soon followed. They established hospitals and medical schools, and, by treating patients and educating native doctors, they disseminated and developed modern medicine in Korea. At the same time, they wrote letters and reports to their sponsoring agencies, as well as family and friends, thereby leaving a vast body of literature that is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records left by foreign medical missionaries have been valuable resources for the study of Korean history. While all types of records, such as diaries, memoirs, reports and travel logs, are available, these tend to be exaggerated or unverifiable because they are unilateral records. In contrast, letters can be verified because they are bilateral records between the recipient and the sender, and cannot be modified or altered according to changes in circumstances. Despite the academic value of these materials, however,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efforts to discover or identify these primary data sources, or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m for scholars. This paper identified 49 archival collections from 29 institutions in North America. After analyzing their academic value, the paper will explore digital humanities options in utilizing the letters for future scholarship.

      • KCI등재

        필담과 표류기의 현장에서 편집 및 출판까지의 거리

        허경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4 일본사상 Vol.0 No.26

        In the premodern era, Kore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mostly left records when they met, namely in the forms of travel journals, written conversation and Chinese poem exchanges. Travel journals were a one-side account of what happened written by Joseon envoys upon their return to their homeland. Written conversations and Chinese poem exchanges were records exchanged between both parties, and mainly edited and published by the Japanese. Because publishing was time-consuming work which involved editing rough copies of written conversations and Chinese poem exchanges and engravings, Korean intellectuals returned to their country without verifying the printed versions. Therefore, there were possibilities that genuine records of written conversations and Chinese poem exchanges were modified to suit the intentions of the Japanese editors. Records of written conversations between Ji-hang Lee and a Japanese government official when Lee was washed ashore on Hokkaido were partially altered in a testimony presented to Dongnae officials after Lee returned. This could be considered as negligence. Jwagan Pileo by Hakuseki Arai, published with modifications 80 years later, was used to undermine the role of the Korean delegation. The editor of Gyedan Angmyeong, which captured a respectful exchange of written conversations in 1763, published the document with an aggressive preface even before the Korean delegation returned to Joseon.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written conversations that took place on-site and their printed versions cannot be easily dismissed as fabrication or distortion. However, there is need to study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rsation by writing it and its editing and publishing. In addition, when studying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to Korea-Japan relation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authenticity. 귀국한 뒤에 일방적으로 기록한 사행록보다는 현장에서 쌍방이 마주앉아 기록한 필담이 원래의 기록 그대로를 보여줄 가능성이 많다. 그렇지만 조선측 사행원들이 귀국한 뒤에 필담집이 출판되기 때문에, 조선 문인들은 필담초(筆談草)가 그대로 출판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다. 신묘사행(1711)의 정사 조태억과 에도막부의 시강(侍講)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필담은 조선과 일본에서 출판된 유일한 필담인데, 서로 다른 부분이 많다. 다른 필담집들이 통신사 사행 직후에 상업적으로 출판된 것과 달리 80년 뒤에야 정치적으로 출판되었고, 전집으로 다시 출판되었다. 스즈키 기미아츠[鈴木公溫]의 서문이 덧붙어 1789년 교토의 서점 하치몬지야 쇼베에[八文字屋正兵衛]에서 간행된 『坐間筆語 附江關筆談 全』은 역지빙례(易地聘禮)를 추진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이용하느라고 출판한 것이다. 통신사 사행원들과 일본 지식인들 사이의 필담은 민간외교의 한 형태였으므로, 서로 예의를 지키면서 진행되었다. 특히 일본 지식인 쪽에서는 필담을 얻어내기 위해 공손했지만, 출판할 때에는 독자들에게 자신의 위상을 돋보이기 위해 공격적인 서문을 쓰는 경우가 많았다. 내용을 변개한 것은 아니지만, 이중적인 태도는 분명하다. 조선 사신에 대한 일본 문사의 양면성에 대해서는 일찍 연구가 시작되었는데, 과연 뿌리 깊은 부정적 조선관에 기인한 것인지, 일본 국내 독자들에게 자신들을 내세우기 위한 것인지, 다양한 자료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본 지식인들만 현장의 기록을 변개한 것은 아니다. 무인 이지항이 북해도에 표류하여 마츠마에에서 공술한 기록과 귀국한 뒤에 동래에서 공술한 기록을 비교해보면, 달라진 부분이 상당히 많다. 다르게 기록된 부분이 이지항이 망각한 것인지, 은휘한 것인지, 하나의 자료만 가지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한일 관계를 연구할 때에 관련 기록들을 면밀히 검토해야 함은 분명하다. 앞으로 200여 종의 통신사 필담창화집을 모두 분석해보면 필담의 내용이 얼마나 변개되었는지, 마주앉아 필담하는 태도와 돌아서서 서문을 지어 출판하는 태도가 얼마나 이중적이었는지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선측의 표류기에도 이중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