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율적인 학습모형 설계를 위한 ‘-아 버리다’와 ‘-てしまう’의 대조 연구

        허경행(Huh Kyunghang, 許慶行)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9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6 No.1

        外國語してと韓國語を學ぶ學習者にとって問題とをる要素には, 母國語と韓國語の違ぃだけではをく, 母國語と韓國語の類似性によるものもある。 特に日本人學習者の場合, 韓國語の‘-아버리다’の學習に困難を覺えることが多く見受けられる。 もちろん他言語圈の學習者に比べると日本人學習者には韓國語學習において數多くの利點があるのは事實。 しかし級學習者の場合, 日本語と韓國語で類似する表現の小さを意味の違いを把握できをぃことによる間違ぃが發生する確率高が。 日本人學習者には日本語をそのまま韓國語に置き換えようとする傾向がある。 そのたぬ日本人學習者にとって自然な韓國語を學習することは決してやさしぃことではなぃのである。 韓國語の‘-아버리다’と日本語の‘-てしまぅ’は兩方とも[完了]と[遺憾]の意味を表わす表現である。 そして[遺憾]の意味を表わす用法としては使い方もほほ同じである。 しかし[完了]のの場合には違ぃが見られる。 日本語の‘-てしまう’は完了した狀態を意味するのに對し, 韓國語の‘-아버리다’は動作の完了を意味する。 また話し手の心理を表わす場合もある。 日本人學習者はこのような違ぃを理解したうえじ‘-아버리다’の正確な用法を習得する必要がある。 韓國語な韓國語そのものとして接近する學習方法が重要であると考える。 There are many problems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their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learners could have difficulties in accepting and using unfamiliar expressions of foreign languages or having interferences due to the similarity between their first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Japanese learners learning Korean also have interference in learning '-아 버리다‘. Japanese learners learning Korean tend to learn Korean fast and easily due to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But the advanced level learner could be confused due to small differences in meaning, forms or use. Highly advanced learner could make awkward sentence. Japanese learners learning Korean tend to make to link Korean to Japanese and Japanese to Korean one to one. But this hinder learners in learning natural Korea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Korean itself. Especially learners need to pay attention to difference between '-아 버리다’ and Japanese '-てしまう'. Both '-아 버리다‘ and '-てしまう' have meanings of [completion] and [regret]. When they present the meaning of [regret], they are used in same way. But they present the meaning of [completion], they show the difference. Japanese '-てしまう' present the time of action completed or the state of action completed. But Korean'-아 버리다’ present the state of action completed and also process of action completed. Japanese '-てしまう' is often used to stress the time of action completed or the state of action completed. But Korean '-아 버리다‘ must express the speaker's subjective impression. Therefore Japanese learners need to pay attention when they express '-てしまう' with the meaning of [completion] in Korean '-아 버리다’. Korean '-아 버리다‘ represents the completed action. But Japanese have similar expressions. But they have differences. So Korean learners and Korean teachers need to approach Korean itself to help acquire the natural Korean.

      • KCI등재
      • KCI등재

        경찰의 범죄 대응능력의 진단 및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허경미(Huh Koung Mi) 한국공안행정학회 201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0 No.3

        여전히 시민이 경찰에 거는 기대는 범죄를 예방하고, 범인을 검거하는 조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경찰공무원의 증가 및 경찰관서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체범죄의 발생율 및 살인, 강도, 강간 등과 같은 흉악범의 발생율이 계속 높아지고 있어 범죄 대응에 성공적이지 못하다. 더구나 미국, 영국, 일본 등 우리보다 더 복잡한 사회 체계를 갖춘 국가들의 범죄발생율이 감소추세에 있고, 매 년 경찰공무원의 증원으로 경찰 1인당 치안수요 역시 점점 낮아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한국 경찰의 범죄대응 능력은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경찰의 목적은 범죄와의 대응, 그리고 경찰비용의 적정한 운용, 시민의 안전한 생활 보호 등에 있다라는 것을 전제로 현행 경찰효과가 제대로 달성되고 있는지를 공식범죄통계 및 경찰의 예산, 인력운용지표, 그리고 시민의 안전의식도 등을 통하여 살펴보고, 향후 경찰효과의 향상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경찰조직의 가장 근원적인 목적인 범죄의 진압자로서의 경찰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경찰업무 영역의 개편 및 정비작업이 필요하다. 현 경찰업무 중 정보, 보안, 외사 등의 업무는 사회불안 요인 및 외국인 등에 관한 첩보수집이 주요 업무인 바 이들의 업무영역은 그동안 폐지 또는 축소 등의 사회적 요구를 받아 왔다. 업무의 성격상 이 세 기능을 통합하고, 그 업무 영역을 축소해 해당 경찰력을 범죄대응 능력의 강화에 보탤 수 있다. 둘째, 경찰의 범죄대응능력을 진단해야 한다. 즉, 실제 발생하고 있는 범죄와 특징, 그리고 지역적인 치안수요의 특징 등을 반영하여 관할 경찰관서의 범죄대응 경찰력이 효과적으로 구성되고, 지원되며, 운용되는지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셋째, 경찰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경찰예산의 적정한 배정 및 활용이 필요하다. 경찰은 전체 예산의 70%를 인건비로 사용하고 있으며, 수사, 지구대 등 범죄대응과 관련된 예산은 지난 10년 동안 평균 4.09%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비해 비범죄 대응 부서가 사용하는 예산은 전체 예산 중 28.82%를 차지하고 있어 7배 이상이 투자되고 있다. 넷째, 2005년 이후 계속 증원하고 있는 경비경찰을 현행처럼 계속 증원할 것인지, 집회나 시위관리에 투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이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인력 운용계획이 있어야 한다. 경비경찰을 현행처럼 특별부대의 형태로 상설부서로 운영할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운용의 중심축을 위한 소규모 부대는 상설로 하되, 나머지 인력은 지구대, 파출소, 수사부서, 기타일반 부서 등에 분산시키되 수요가 발생할 경우 동원하는 형태로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집회시위 관리 훈련은 평상시 꾸준하게 직장훈련의 형태로 할 수 있으며, 이는 경찰공무원의 기초체력을 강화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olice to improve effectiveness. The police objective respond to crime, and to proper operate of the police budgets for the protect and preserve life and property of the citizens.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a police officer with official crime statistics and police budgets, personnel management indicators, etc., and also through the ritual of public safety. Many studies argues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police and crime prevention effect. However, still, citizens recognized the police organization as prevent crime and arrest criminals. Even though, Korea has increased the police officers and police organizations, the incidence of overall crime and violent crime such murder, robbery, rape are still growing. Therefore, the current South Korea had failed to respond to the police crime clear. In contrast, United States, Britain, Japan and other countries with a more complex social system, the trend of the crime rate has decrease. Therefore,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improved. First, restructuring and maintenance of police work area is needed. Intelligence gathering department as like information, security, foreign affairs should be integrated. These work criticized the invasion of privacy and Duplicate by citizens. Second, the police's ability to respond to a crime should be diagnosed Objectively. Crime and features, and local police demand should b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mand. And police effectively configured, and supported, and how operations for respond to crime should be diagnosed. Third, the proper allocation and utilization of the police budget is required for the effect of the police to achieve. 70% of the total police budget is used to pay. Investigations, correspondence and related crimes, including patrol bureau budgets average 4.09 percent over the past 10 years. In contrast, the non-criminal departments to use for 28.82% of the entire budget. It is investing more than seven times than correspondent crimes as pachulso, investigation budgets. Fourth, the total management plan is needed for the guard police. Even though, protest rally is more and more diminished, but guard police is more and more increased.. The guard police must be operating as a temporary unit. For the rest of the police should be placed to department crime prevention. The training of protest rally can be in the form on the job training. This will benefit the police to strengthen physical fitness.

      • KCI등재

        MMTF와 인간지각 특성을 이용한 결함성분 추출기법

        허경무(Kyung-Moo Huh),주영복(Young-Bok Joo)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3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9 No.12

        AVI (Automatic Vision Inspection) systems automatically detect defect features and measure their sizes via camera vision. Defect detection is not an easy process because of noises from various sources and optical distortion. In this paper the acquired images from a TFT panel are enhanced with the adoption of an HVS (Human Visual System). A human visual system is more sensitive on the defect area than the illumination components because it has greater sensitivity to variations of intensity. In this paper we modified an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in the Wavelet domain and utilized the characteristics of an HVS. The proposed algorithm flattens the inner illumination components while preserving the defect information intac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사기관의 피의사실 공표죄의 논쟁점

        허경미(Huh Koung Mi) 한국공안행정학회 201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2 No.2

        Media floods society with all kinds of information, including sensitive information from criminal case investigations. Information about ongoing criminal investigations is particularly appealing to the public, and thus of special interest to the media. Freedom of press and the public's right to know legitimizes the release of all available information to the public. However, release of sensitive case-related information by investigative agencies prior to public trial of defendants is both ill-advised and criminal under Korean law. Most importantly, premature release of information compromises the defendant's presumption of innocence among the public and criminal justice professionals. But nearly as important is the derogatory effect such release has on the lives of alleged criminals, the crime victims and their families, whose privacy may be thereby invaded, and the peace of their lives destroyed. Several steps should be taken to eliminate unauthorized disclosure of sensitive criminal case investigation information: First, we should characterize such unauthorized release as an abridgement of individual rights, and not just against national legal interests; Second, we should enact legal guidelines regarding disclosure of sensitive information to the public prior to trial of criminal cases, including limits to the nature of media's use of disclosed information; Third, we should differentiate between release of information according to categories of crimes being charged such that the more serious crimes charged would warrant heightened care of sensitive information; Fourth, investigative officers and citizens should be accorded the same protections as the suspects under investigation; protection. Fifth, victims should be especially guarded against unauthorized disclosure consequences so that they are not mentally/emotionally victimized a second time, this time by investigative agencies. 최근 한국 사회는 다양한 대중매체와 IT기기를 통하여 온갖 정보의 홍수 속에 노출되어 있으며, 범죄수사에 대한 정보 역시 예외가 아니다. 특히 사회적인 이목을 집중시키는 범죄의 경우 그 수사과정이 언론에 의하여 매우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속속들이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범죄수사 과정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는 대체로 국민의 알권리 보호 및 언론보도의 자유라는 관점에서 용인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수사기관의 기소 전 범죄수사 내용의 발표는 피의자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행위이며 동시에 무죄추정의 원칙에도 배치된다. 나아가 피의사실 공표죄의 구성요건을 충족시키는 행위이기도 하다. 또한 사건당사자, 즉 피의자 및 피해자의 사생활이 노출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가족의 신상정보가 유출되어 평온한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등의 부작용도 심각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박시후사건을 중심으로 경찰의 수사과정에서의 수사내용 공개 및 언론보도의 자유, 그리고 개인의 인권침해와의 충돌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대한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첫째, 피의사실 공표죄는 국가적 법익을 침해하는 범죄가 아닌 개인적 법익을 침해하는 범죄의 영역으로 포섭되어야 한다. 둘째, 수사기관이 발표할 수 있는 수사사실의 범주 및 언론의 취재범위, 방법 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 셋째, 언론 관련법의 정비를 통하여 언론계의 취재범위 및 수단, 그리고 보도의 범주를 좀 더 명확히 하여야 한다. 넷째, 수사기관 종사자 및 시민의 의식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건당사자의 적극적인 방어 및 대응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