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인 유학생 대상 역사 문화 교육 방안 -주제 중심 접근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함윤주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9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educational content fit for education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and search for practical educational methods for it. Chinese learners’ knowledge about the history and language of their own country can be utilized as a resource to broaden thei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when they study Korean history and culture. For educational content, the investigator found a topic in Choi Chi-won, a Confucian scholar from Unified Silla, since he w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enabling a historical recognition for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organizing specific content and devising proper instructional methods.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and theme-based instruction, which is an approach to language education that organizes content around a selected topic. One of the theme-based instructional models, the Six-T's approach in Stoller and Grabe(1997) was consulted to design a lesson and organize educational material for concrete lesson examples.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method of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learners’ knowledge about their own culture and language and also thei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stead of the old one-sided delivery method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 도시공원 타당성조사 방법 개선방안 연구

        함윤주,김제국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0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Vol.2020 No.-

        LIMAC에서는 2015년부터 장기미집행공원 문제가 대두되면서 주로 도시지역권 근린공원과 같은 대규모 공원에 대한 타당성조사를 수행해왔다. 본 연구는 LIMAC 타당성조사에서 도시공원이 제공하는 다양한 사회적 편익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경제성 및 정책적 분석의 방법론적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경제성 분석과 관련하여, LIMAC 타당성조사에서는 공원의 사용가치와 비사용 가치를 포괄적으로 추정할 수 있고, 사전적인 계획 단계에서도 가치를 추정할 수 있는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사용하여 편익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 관련 제도 및 법령에 대한 분석, 선행연구 등 문헌 조사를 통해 도시공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도시공원은 비사용가치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입장에서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여 발생하는 직접적인 사용가치가 상당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직접사용가치에 한하여 도시공원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여행비용법으로 가치를 추정하고 이를 조건부가치측정법과 비교하여 수렴 타당성(convergent validity)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당초 조건부가치측정법으로 도시공원의 다양한 편익을 포괄하여 가치가 추정된다고 전제하였으나, 직접사용가치만 추정한 여행비용법의 결과보다 낮은 수준으로 도시공원의 가치가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공원이라는 공공재가 비사용가치보다는 사용가치의 비중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해석이 본 연구에서 살펴본 도시공원 관련 이론적 논의 및 본 국내외 선행사례와도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현재 본 조사에서 차용한 여행비용법은 이미 조성된 공원의 경우 구득 가능한 통계자료의 표본수 한계 및 대체재에 개인의 방문행태 자료를 구득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전적으로 계획 단계에 있는 사업에 대해 시범적으로 사용한 여행비용법 적용 방식은 전통적으로 기존에 조성이 완료된 대상지에 적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향후 조성예정인 대상지에 대한 이용행태를 가정하여 질문하는 진술선호 형태의 여행비용법이다. 향후 LIMAC 타당성조사에서 여행비용법을 사전계획 단계에 있는 공원에 대해 적용한다면 본 연구에서와 같이 진술선호 여행비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다만 영국 및 일본에서와 같이 기조성된 공원에 대한 물리적 환경 자료 및 개인의 행태 자료가 수집된다면 사후적으로 이미 조성된 공원에 대한 평가도 가능하고, 사전적으로 계획 단계에 있는 공원에 대한 평가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정책적 분석과 관련하여, LIMAC 타당성조사에서는 도시공원의 모든 편익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경제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도시계획전문가로 구성된 실사단을 운용하여 정책적 분석을 강화하였다. 실사단은 현장 방문 및 지자체와의 면담 등을 통해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공원의 입지, 지형, 해당 지자체 토지 이용 특성 등을 분석하여 공원 조성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그러나 개발공원별 평가의 일관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보다 체계적인 틀 안에서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도시공원 평가 관련 지표를 살펴보고, LIMAC 타당성조사에서 평가해야 할 주요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도시계획 관련 전문가를 외부 연구진으로 초빙하여 공동으로 정책적 평가 관련 지표를 조사하였으며, 평가(안)에 대하여 관련 전문가 대상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LIMAC 타당성조사의 정책적 평가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표를 제시하였다. 판단기준은 크게 세 가지 부문으로 나뉘며, 대부분의 세부평가지표들은 공식통계자료의 구득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일부 지표(예: 환경ㆍ생태축과의 연계, 도시방재 필요성 등)의 경우에는 도시계획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거쳐 평가할 필요가 있다. 도시공원 조성 필요성 판단기준 지표는 총 20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표별로 총 5단계로 나누어 A~D로 등급을 매길 수 있으며 등급별로 1~5점까지 점수화하였다. 각 지표에 대하여 모두 A등급(5점)을 받을 시 종합점수 100점을 받게 된다. C등급은 각 지표의 중간값이므로 종합점수가 D등급(40점)일 경우 해당 공원의 조성 필요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판단기준(안)은 실제 타당성 조사 과제에서 향후 일정기간 운용을 통해 개선ㆍ보완될 필요가 있겠다.

      • 문화시설 수요추정 개선방안 연구

        함윤주,조현민,김지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9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Vol.2019 No.-

        본 연구는 지방재정투자사업으로 추진되는 문화시설 타당성 조사에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요를 추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화시설의 수요추정은 최근 생활SOC 사업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의 실질적인 수요 파악을 체계적으로 한다는 측면에서 정교함과 일관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 타당성조사 지침에서는 지방재정투자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수요추정 방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시설 수요추정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중력모형과 관련하여 예비타당성조사 및 지방재정투자사업 타당성조사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사안들을 검토하였다. 특히 대표적인 문화시설인 도서관과 문화예술회관을 연구의 대상으로 정하여 각 시설의 수요 및 공급 관련 이론적 논의 및 사례를 검토하였으며, 수요 추정 시 각 시설의 특성이 고려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대상은 실증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문화시설로 설정하였으며, 다양한 가정(준거시설 선정, 영향권 설정, 거리 및 규모의 민감도 설정) 하에 중력모형을 적용하여 수요를 추정하고, 추정된 수요와 실제 수요를 비교하여 오차율이 가장 적은 모형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실증분석 결과의 요지는 문화예술회관의 경우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문화예술회관의 경우 수요추정을 위한 유사시설 선정은 수요의 여건이 유사한 지역을 조사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을 통해 유의한 변수 및 가중치 등을 검토하고, 지역의 문화수요 여건이 비슷한 집단을 식별하기 위해 수요여건을 나타내는 종합지수를 산정하였다. 그러나 준거집단 설정 시 종합지수 외에도 1)특·광역시와의 연접 여부 또는 주변지역의 대규모 공연장 존재 여부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는 특·광역시 내 공연시설 또는 주변지역의 대규모 공연장으로 인해지역 내 수요가 이동할 유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영향권의 설정 범위에 따라 이용수요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 중력모형에서 가정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가정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특·광역시와 연접하지 않고, 주변지역에 대규모 공연장이 없는 경우, 영향권은 지자체 내로 한정할 수도 있고 지자 체 범위를 벗어나서도 검토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러 준거시설을 기준으로 검토한 후 오차율과 표준편차가 적은 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거리는 영향권에 상관없이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공연장의규모와 관련해서는 현재 이용수요와 정비례한다는 관계식이 성립하지 않은 것으로 나 났다. 다만 현재 문화예술회관 관련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대(1,000석 이상)/중 (300~1,000석 미만)/소(300석 미만)의 범위 내에서 유사시설을 선정한다면 중력모형 내에서 규모변수는 1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서관의 경우 문화예술회관과는 수요 및 공급 특성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도서관은 문화예술회관에 비해 보다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시설이며 현재 공급되고 있는 시설이 지역 내에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영향권이나 준거시설 설정에 있어서 다른 기준이 필요하다. 영향권과 관련해서는 이미 선행연구나 중앙정부 차원에서 도출한 최소 공급기준이 있으므로 이를 준용하여 나머지 중력모형 자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의 이용수요는 영향권을 도보권으로 설정한 경우, 영향권내 거리의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면적만을 고려한 일반적인 규모변수보다는 건물 면적, 직원 수, 자료 수, 자료구입비 또는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규모변수를 적용할 때, 수요추정의 예측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문화시설별 수요추정 체계가 개선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eline for demand analysis in the feasibility study for the investment in cultural facilities by local governments. Demand analysis for cultural facilities requires a rigorous and consistent appraisal to investigate the actual demand in the region. This becomes more important since the current government plans to expand public investment in social overhead capital which is particularly related to evey day life of local residents. However, there is lack of methodological guidance specified for the project by local governments in the existing guide for feasibility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related to the demand analysis for cultual facilities, in particular using gravity model which is commonly applied in the Preliminary Reasibility Study by PIMAC(Public Investment Management Center) and the Feasibility Study on local government projects by LIMAC(Local Investment Management Center). A typical example of cultural facilities invested by local governments is concert hall or library. Thus this study looks into the theoretical aspects of demand and supply for these two types of facilities and reviews previous feasibility studies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facility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mand analysis. Finally, this study takes an empirical approach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gravity model using various hypotheses on reference site, impact area and distance or size sensitivity in the model. The analyses aim at identifying the best model which produces the smallest difference from the actual number of visitors of each type of facilities.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 정책 개선 방안 연구 - 이중언어교육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

        함윤주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0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in South Korea, identify their problems, and search for their improvement measures. This study found problems in the ongoing shortage of teachers and teaching materials for bilingual education and the insufficient foundation for effective education despite the fact that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for ten years as par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the nation. The study thus conducted a critical analysis of actual bilingual education in the n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representative theorists that emphasized a need for bilingual education and did research on its positive effect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y recognized the value and importance of bilingu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lored policy directions to respect language diversity and provide equity pedagogy,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It has, however, its share of limitations by remaining at the level of proposing comprehensive directions and making comprehensive proposals. Future studies will need to propose specific policy plans based on the survey and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to figure out the environ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language use and bilingual literacy.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문화시설 수요추정 개선방안 연구: 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함윤주(咸允珠),김연준(金淵俊),홍근석(洪槿碩) 한국정책과학학회 2020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시설 수요추정 방법론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중력모형의 방법론적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으로 현재 운영 중인 문화예술회관 가운데 4개의 사례집단을 설정하였으며 다양한 가정(준거시설 선정, 영향권 설정, 거리 및 규모의 민감도 설정)을 적용한 중력모형을 통해 수요를 추정하고 이를 실제 수요와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집단 설정 시 특별・광역시와의 연접 여부, 인접 문화예술회관의 공연장 규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광역시와 연접하지 않고 인접지역에 대규모 공연장이 없는 경우, 영향권 설정은 지자체 내로 한정할 수도 있지만 지자체 범위를 벗어나서도 검토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규모변수 설정 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용수요와 정비례하는 관계식이 성립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the demand analysis for cultural facilities, in particular using gravity model which is commonly applied in the feasibility study. Among various types of cultural facilities, concert halls are studied to analyze the accuracy of demand forecasting of gravity model with various hypotheses on reference site, impact area and distance or size sensitivity in the model. The analyses aim at identifying the best model which produces the smallest difference from the actual number of visitors of concert ha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ference site needs to be chosen based on whether the study area shares border with metropolitan city and how large concert hall its border sharing city has. Second, if the study area does not share border with metropolitan city and there are no such large concert halls in neighboring local authorities, the impact area can be expanded beyond the border of the study area. Third, the demand is not directly porportional to the size of concert hall as in generalized gravity model.

      • KCI등재

        여행비용 접근법을 활용한 서울숲의 방문가치 산정

        함윤주(Yun Ju Ham),이주석(Joo Suk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6

        도시지역 쾌적성을 위하여 도시공원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공원의 가치는 대부분 조건부 가치측정법이나 헤도닉 가격모형 등 가치산정방법론으로 추정되어 정책수립과정에서 과소평가된 경향이 있어 왔다. 예를 들어 조건부 가치측정법의 경우 가상의 시나리오에 방문여부와 상관없이 지불의사를 묻기 때문에 다양한 편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헤도닉 가격모형의 경우 혜택을 입는 수혜자를 인접지역 가구로 한정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문자의 사용가치를 기반으로 공원의 가치를 산정하는 여행비용 접근법을 활용하여 기존에 조건부가치측정법과 헤도닉 가격모형을 활용하여 산정된 서울숲의 가치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동북권 5개 구와 동남권 3개 구에 거주하는 서울숲 방문경험자 774명을 대상으로 여행비용 접근법을 적용한 결과, 1회 방문시 1인당 가치는 9,920.63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연간 서울숲 방문자를 고려하여 환산하면, 서울숲의 연간 방문가치는 2017년 방문객 기준으로 659.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적용한 연구에서 도출된 서울숲의 총가치 944억원과 헤도닉가격모형을 적용하여 도출된 16.1억원과 비교해 보면 여행비용 접근법의 분석결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urban parks are increas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fort of living environment. However,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 value of urban parks in the policy establishment process since most of the valuations have applied the valuation methods such a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the hedonic pricing metho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ould suffer from various hypothetical bias since the willingness to pay is measured irrespective of the visit of respondents. On the other hand, the hedonic pricing method limits the beneficiaries to the residents near the urban parks. In these respects, the travel cost model can provide more reasonable information about the value of urban parks compared to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the hedonic price model. Therefore, this study uses the travel cost model to estimate the value of Seoul forest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estimated by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or the hedonic pricing method in the existing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visit value of Seoul forest by the travel cost method is 9,920.63 won per person which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estimates in the existing stu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