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소년 축구팀의 체력 및 기본기술 수준과 경기력의 관계

        함상헌 ( Sang Heon Ham ) 한국스포츠코칭학회 2015 한국스포츠코칭학회지 Vol.1 No.1

        이 연구는 유소년 축구선수들의 체력과 기본기술 수준 및 경기력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부 전국축구리그 서울특별시 권역리그 참가하고 있는 2개의 팀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팀을 대상으로 주축선수 13명의 체력과 축구 기본기술을 리그 시작 전에 측정 하였으며 경기력은 리그가 끝난 후 평가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15.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유소년 축구선수들의 체력과 기본기술 수준이 경기력과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소년 S팀의 측정한 평균치는 505 Agility Test 4.62초, 트래핑 2.38개, 드리블 11.49초, 슈팅 1.08개, 헤딩 .92개로 측정됐으며 유소년 I팀은 505 Agility Test 4.81초, 트래핑 1.62개, 드리블 13.91초, 슈팅 .92개, 헤딩 .62개로 측정됐다. 둘째, 유소년 축구팀의 체력 및 기본기술에 대한 차이는 부분적으로 505 Agility Test(p=.042), 트래핑(p=.017), 드리블(p=.001)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유소년 축구팀의 체력 및 기본기술은 경기력과 상관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ify relationships among youth soccer players’ physical strength, level of basic skills, and athletic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two teams participat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City league of the national elementary school soccer league in were selected. Targeting the selected teams, main 13 players’ physical strength and basic skills were measured before begging of the league, and their athletic performance was evaluated after the league was over. For a data analysi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PSS PC+ 15.0 Version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results of analyzing relationships among youth soccer players’ physical strength, level of basic skills, and athletic performance through these procedures are as below. First, the averages of youth S team were 505 agility test 4.62 seconds, trapping 2.38, dribble 11.49 seconds, shooting 1.08, and heading .92, and those of youth I team were 505 agility test 4.81 seconds, trapping 1.62, dribble 13.91 seconds, shooting .92, and heading .62. Second, youth soccer teams’ physical strength and basic skills had partial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505 agility test (p=.042), trapping (p=.017), and dribble (p=.001). Third, youth soccer teams’ physical strength and basic skills had correlations with athletic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