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11과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비교

        한혜수,전병운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17 특수교육논집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role of the social studies of basic curriculum in 2015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ocial studies of 2011 basic education course and the social studies of basic curriculum of 2015.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literature research methods. In order of the curriculum, personality, goal, cont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were compared. In the Social Studies of basic curriculum in 2015, we tried to apply the competencies implemented in the goal and personality in all areas. And it showed that the integration of the contents system is focused on the domain and it provides the experiences and integrated experience that are not knowledge - centered. It shows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greatly reduced and the level is lowered to meet the purpose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concrete and practical methods and application methods have been established in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and a framework has been laid out so that a virtuous cycle of teaching and learning can take place.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because there is no specific study on whether the goals and achievement criteria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re valid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이 연구는 2011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와 2015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를 비교 분석하여 2015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가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알고자 하였다. 이에 교육과정의 순서에 따라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성취 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에서는 목표와 성격에서 구현한 역량을 전 영역에 걸쳐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내용 체계에서 영역별 통합을 지향해 지식 중심이 아닌 경험과 통합적 경험 제공하였으며, 성취기준을 대폭 줄이고 수준을 낮춰 기본교육과정 총론의 취지에 부합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교수·학습 및 평가에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법과 적용방법을 마련하여 교수·학습의 선순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틀을 마련하였다. 그렇지만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 및 성취기준이 중도장애학생에게 타당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독소분해세균 Pseudomonas otitidis HC3를 이용한 버섯 세균성갈반병 방제용 미생물의 특성

        한혜수,엄나나,전창성,정종천,오진아,차재순,이찬중 한국버섯학회 2011 버섯 Vol.15 No.1

        버섯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세균성갈반병은 주로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발생한다. 병징은 초기에 버섯 갓의 표면에 황갈색의 점무늬가 생기고 점차 진갈색의 불규칙한 큰 병반으로 확대된다. 발병이 심하면 버섯 표면은 점액성을 띄고 부패한다. 어린 버섯에 감염되면 뚜렷한 갈색 점무늬가 생기고 아주 어린 자실체는 전체가 갈변 부패한다. 이 병원균은 톨라신(tolaasin)이라는 독소를 분비하여 버섯의 세포막을 파괴하며, 세포막이 파괴되면서 분비되는 물질이 산화되어 갈색으로 변색되고, 세포의 파괴가 심하면 그 부분이 움푹 파이는 증상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P. tolaasii에 의해 생성되는 톨라신을 분해하는 균을 선발하여 방제에 이용하고자 실험을 하였다. P. tolaasii가 생성하는 독소를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세균들을 버섯배지로부터 분리하여 16s rDNA로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otitidis, Ochrobactrum anthropi, Bacillus safensis, Bacillus altitudinis 등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중 가장 효과가 좋은 Pseudomonas otitidis을 선택하여 독소분해 정도 및 배양특성을 조사하였다. 균의 최적 배양온도는 30℃였고, pH5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그리고 탄소원Dextrine을 가장 잘 이용하였고, 질소원은 Yeast extract, 아미노산은 Arginine을 가장 잘 이용하였으며, 톨라신 분해효과도 높았다.

      • 길항세균 Alcaligenes faecalis HC2를 이용한 버섯 세균성갈색무늬병 방제용 미생물의 특성

        한혜수,엄나나,전창성,정종천,오진아,이찬중 한국버섯학회 2011 버섯 Vol.15 No.1

        우리나라의 버섯 생산량은 매년 조금씩 증가하고 있으며, 버섯 생산의 안전성을 저해하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농가의 피해는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도 세균성 병원균에 의한 갈반병은 수확량 감소 및 품질 저하로 커다란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양송이버섯에 발생하는 세균성병해 중 Pseudomonas tolaasii는 세균성갈반병을 일으키고, Psudomonas agarici는 세균성갈색무늬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송이의 세균성갈색무늬병은 Pseudomonas agarici에 의해 일어나며, 갓 표면의 갈변증상에 의해 상품가치의 하락을 초래하여 재배농가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따라서 P. agarici에 대한 길항균을 선발하여 균의 동정 및 배양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길항미생물은 버섯배지로부터 분리한 1800균주 중 디스크 확산 법을 통하여 길항성이 높은 8개의 균주를 선발하여 16s rDNA로 동정한 결과 Alcaligenes faecalis, Enterococcus mundtii, Bacillus safensis 등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중 길항성이 가장 높은 Alcaligenes faecalis을 선택하여 배양특성을 조사한 결과 pH9와 30℃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탄소원은 Dextrose에서 가장 생육이 좋았고, 질소원은 Yeast extract에서 아미노산은 Proline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길항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길항세균 Pseudomonas azotoformans HC1을 이용한 버섯 세균성갈반병 방제용 미생물의 특성

        한혜수,엄나나,전창성,정종천,오진아,차재순,이찬중 한국버섯학회 2011 버섯 Vol.15 No.1

        우리나라 버섯재배 농가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세균성갈반병은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발생되며 초기에는 버섯 갓의 표면에 황갈색의 점무늬가 생기고 점차 진갈색의 불규칙한 큰 병반으로 확대되어 심하면 표면이 점액성을 띄고 부패한다. 본 연구에서는 Pseudomonas tolaasii에 대하여 길항미생물을 선발하고 길항미생물의 대량배양 조건을 설정하기위하여 최적 pH, 배양온도, 탄소원, 질소원 및 아미노산의 이용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P. tolaasii에 대한 길항균은 버섯 배지로부터 분리한 1800균주 중 길항성이 좋은 3균주를 선발하여 16s rDNA로 동정결과 Pseudomonas azotoformans,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Pseudomonas otitidis로 동정되었다. 이들 선발길항균 중 길항성이 가장 좋은 Pseudomonas azotoformans균주를 선택하여 최적배양조건을 조사한 결과 pH6과 20℃에서 가장 생육이 좋았고, 병원균에 대해 강한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탄소원의 선발에서는 Dextrine, Adonitol에서 균생육이 가장 좋았고, 질소원에서는 Soytone, Tryptone, Yeast extract에서 생육과 길항성이 좋았으며 아미노산은 Cysteine에서 가장 생육이 좋았다.

      • 버섯 세균성갈반병에 관여하는 병원균의 동정 및 유전적 특성 분석

        한혜수,전창성,정종천,오진아,공원식,차재순,이찬중 한국버섯학회 2011 버섯 Vol.15 No.2

        다양한 병원성 세균들이 양송이, 느타리, 팽이버섯 등에 갈반병, 세균성무름병, 미이라병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형광성 Pseudomonas에 의해 발생되는 세균성갈반병은 버섯재배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고 있으며, 재배농가에 많은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다. 비록 Pseudomonas tolaasii가 세균성갈반병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지만, 하나의 균에 의해서라기보다는 많은 세균들이 관여하여 세균성갈반병을 일으킨다는 보고도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버섯재배농가로부터 세균성 갈변증상을 보이는 병반으로부터 세균을 분리하여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분류·동정하였고, 분리 균주 중 P. tolaasii 로 분류된 세균에 대해 다양한 유전자 분석 및 생리·생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버섯의 갈반증상으로부터 180균주를 분리하였고, 17균주가 white line을 형성하였다. 이들 균주에 대한 16S rDNA 분석 결과 P. tolaasii (19 strains)와 Ewingella americana (14 strains)가 가장 우점하였다. 16S rDNA 분석에 의해 19균주가 P. tolaasii로 동정되었지만, rpoB gene 분석, RAPD, Rep-PCR, RFLP 분석, lipopeptide detection, specific PCR assay, 병원성검정 및 생리·생화적인 조사를 통하여 17균주는 P. tolaasii로 동정되었고, 2균주는 P. fluorescence와 많은 유사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 2균주에 대해는 추후 면밀한 조사를 통해 정확한 동정이 이루어 져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