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승불교의 信觀

        한태식(보광) 한국정토학회 2006 정토학연구 Vol.9 No.-

        Frequently, people say that we believe Buddhism. However, when they happen to encounter the question of the religious objective in the Buddhism, there would be no definite answer to the question. The reason would be that they view Buddhism as a self-power religion.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religious objective would be simple if they simply believe a god like what a Christian does, but it is not so in Buddhism. Buddhism is not that kind of the simple faith. Even if it is so, Buddhism does not only insist a self-power alone. Also there exist lots of the other-power aspects in Buddhism. This dissertation studies a view of the faith in Mahayana Buddhism. Buddhism starts with a faith and ends with a fruit of wisdom. That is to say, faith is a beginning and wisdom is an accomplishment in Buddhism. In the early Buddhism, a faith was viewed as one of the practice virtues among the five roots or the five powers of the Buddhist priests as well as the five properties of the Buddhists. Among practice virtues, a faith was the first to be addressed. But a faith is indicated to a beginning of enlightenment in Mahayana Buddhism. In Mahayana Buddhism, it has been discussed specifically about the question of the religious objective. According to a Nirvana Sutra, it is the right belief if we have a faith in the Causality and the Triratna, it is the wrong belief if we do not have a faith in the Causality and the Triratna. But according to an awakening of faith sutra, there are four pieces of faith on True thusness and Triratna. Even 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utras, the two sutras obviously indicate the four pieces of faith as the religious objective. Faith on Triratna is the religious objective throughout both Mahayana and Hinayana Buddhism. About methodological aspects of faith, Sechin insisted on five mindfulness gate and Mamyung insisted on five practices. I hope that the Korean Buddhism take a right way with the practice of the above mentioned faith.

      • KCI등재

        정토교의 수행방법론

        한태식(보광),강동균 한국정토학회 2008 정토학연구 Vol.11 No.-

        먼저 정토수행으로는 믿음이 가장 중요하다. 극락정토와 아미타불의 존재에 대한 믿음 없이는 극락왕생과 깨달음을 인정할 수 없다. 첫째는 『無量壽經』의 “至心信樂欲生我國乃至十念”을 중심으로 信과 願과 回向을 살펴보았다. 실은 참으로 지극한 마음으로 믿기만 하여도 이미 모든 수행은 완성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둘째는 信心이 없는 사람이나 임종자를 위하여 가장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아미타불의 명호를 듣기만 해도 왕생이 가능하다고 한다. 셋째는 정토교의 가장 대표적인 수행방법은 염불수행이다. 이를 제18원의 乃至十念을 중심으로 칭명염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넷째는 염불선수행은 한국불교에서 가장 많이 행해지고 있는 방법이다. 禪修行을 표방하는 수행자들이 많이 실천하고 있는 방법으로 이를 觀念念佛, 禪淨雙修, 念佛公案의 수행법으로 분류해 보았다. 이는 觀察門에 해당한다. 다섯째는 참회와 지계수행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참회의 방법으로 널리 행하는 것은 예배, 절이며, 지계는 오계와 팔재계, 구족계 등의 수지를 말한다. 이와 같은 정토수행법은 가장 쉬운 믿음에서부터 聞名과 稱名, 觀念, 念佛禪, 懺悔와 持戒 등 다양하다. 이는 누구나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현대인들에게 가장 적합한 수행법으로 생각된다. The most essential element of the Pure Land practice is the faith on the Pure Land of Happiness(極樂淨土)and Amita Buddha, which makes it possible to acknowledge rebirth in paradise(極樂往生) and enlightenment. First of all, this article contemplates faith(信), vow(願) and a Buddhist memorial(回向) focusing on JiSyimSinYoYokSaengAhGookNaeJiSyipNyum(至心信樂欲生我國乃至十念) in 『MooRyangSooGyung(無量壽經)』. In fact, all the Buddhist practices can be thought to be already completed only with sincere faith. Secondly, this is the easiest way for people with no religious conviction or the dying to practice. Only listening to the words Amita Buddha enables people who recite it for rebirth in paradise. Third, the practice of the invocation is the one that represents all the practices taught in Pure Land sect. The Buddhist invocation of the names of Buddhas(稱名念佛) is examined in this article focusing on NaeJiSyipNyum(乃至十念). Fourth, the invocation practice is the most common Buddhist practice that is performed in Korean Buddhism. This is especially advocated by people who follow Seon practice of Buddhism. This article attempted to classify it into GwanNyumYumBul(觀念念佛), SeonJeongYumBul(禪定念佛), and YumBulGongAn(念佛公案), which come under GwanChalMoon(觀察門). Fifth, repentance(懺悔) and Buddhist commandments(持戒) are examined. Buddhist rituals and bows are the most common ways of repentance and commandments such as five commandments(五戒), eight commandments(八齋戒), GooJock commandments(具足戒). There is a wide variety of Pure Land practices from the faith on Pure Land which is the easiest way, to MyungMoon(聞名) and ChingNyum(稱念), and to GwanNyum(觀念), YumBoolSeon(念佛禪), repentance(懺悔) and commandments(持戒). As described above, this Pure Land practice can be the most suitable practice for modern people as a way of practicing Buddhism with no hindrance of time and space.

      • KCI등재

        나옹왕사의 정토사상이 한국불교신앙에 미친 영향

        한태식(보광) 대각사상연구원 2008 大覺思想 Vol.11 No.-

        본 논문은 나옹왕사의 정토사상이 한국불교신앙에 미친 영향 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나옹의 정토사상의 염불관은 稱名念佛과 觀念念佛및 唯心淨土의 念佛禪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서민대 중들을 위하여 吏讀文字를 사용하여 알기 쉬운 방법으로 가사형태의 西 往歌와 僧元歌등의 노래를 짓기도 하였다. 둘째, 그의 염불가사를 통한 불교신앙 고취에 있어서, 우선 西往歌의 염불권유방법은 서론, 본론, 결론의 3단으로 구분되며, 이를 그 내용상으 로 세분하면 8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염불하지 않는 중생들을 경책하면 서 적극적으로 염불하여 서방정토 극락세계에 왕생할 것을 권하고 있으 며, 출가자들에게 염불을 권유하고 있다. 다음으로 僧元歌는 吏讀文字로 표기하였다는 점에서 국문학의 가사문 학연구에 큰 의미가 있다. 염불권유방법은 처음의 序歌에서는 인생이 무 상함을 노래하였고, 本歌에서는 무상의 노래와 더불어 생노병사와 인간 사의 여러 가지를 예로 들면서 어리석은 중생들이 염불을 하지 않고 핑 계만 대고 있다고 꾸짖고 있다. 셋째, 나옹왕사의 염불의례가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 았다. 먼저 그의 歌頌이나 법어 중에 영가를 위한 글이 많다. 일반적으로 서두에는 선법문을 주로 하였으나 후반에서는 정토회향을 하고 있다. 다음으로 한국불교의례집의 증명단과 축원문에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비중이 높다. 대부분의 의례집에서 증명단을 설치할 경우 指空, 懶 翁, 無學이 빠지지 않고 모셔진다. 모든 불사에 있어서 증명법사의 지위 에 이르렀거나 기일을 전국적인 불교행사로 행하여졌다고 한다. 그런데 아침예불에서 모든 사람을 위해서 행하는 行禪祝願에서 나옹스님의 發願 文이 行禪祝願文으로 널리 애송되고 있다. 이러한 나옹스님의 발원은 오 늘날 한국불교인들 모두의 발원이기도 하다. First of all, Na-Wong's view of recitation of the Pure-Land idea is divided into three types, 1) Chingmyungyumbul (稱名念佛), 2) Gwannyumyumbul (觀念念佛), and 3) Yusimjeongto (唯心淨土)'s Yumbulseon (念佛禪). He composed songs such as Seowangga (西往歌) and Jeungwonga (僧元歌) by using Sadokmunja (吏讀文字) to teach the common in an easier way. Secondly, his suggestion of recitation in Seowangga (西往歌) is broken up into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in terms of inspiring the faith of Buddhism into the common through recitation of the Sutras. This is also classified as 8 stages in its content. Warning people who don't recite the Sutras, he encouraged them to recite with desire for rebirth in the Land of Happiness, and suggested Buddhist monks to focus on recitation of the Sutras. Third, Jeungwonga (僧元歌) that is written in 吏讀文字has its significance in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verse literature. The introduction of this book sings the uncertainty of life. Giving birth, aging, illness, and death in its body as examples, he scolded the ignorant mortal for giving excuses about not reciting. Fourth, the influence of Na-Wong's recitating ceremony on Korean Buddhism was contemplated. There are many writings for the dead in his songs and literature. He generally taught Zen in the introduction and finished the writing with Jeongtohwehyang (淨土廻 向). Lastly, it should be clearly acknowledged that Na-Wong's songs comprise a vast part of Korean Buddhist ceremony prayer. In most written prayers, Jigong(指空), Nawong(懶翁), and Muhak(無學) are accompanied. Na-Wong master's prayer (發願文) has been widely used as Haengseonchukwonmun (行禪祝願文) for morning prayers for all beings. This prayer of Na-Wong master's has become today's all Korean Buddhist's prayer.

      • KCI등재

        四溟堂 惟政의 정토사상

        한태식(보광) 한국정토학회 2011 정토학연구 Vol.16 No.-

        四溟堂 惟政(1544-1610)은 西山大師의 法嗣로서 선교에 통달하였고, 詩文에도 능하였으며, 壬辰倭亂을 맞이하여 儀僧軍을 이끌고 전쟁에 직접 참여하여 나라를 구하였다. 또한 전후의 처리를 위해 일본에 講和使 역할도 하였다. 그의 사상적인 측면은 간화선 중심의 無字公案 수행을 하였으며, 교학적으로는 법화경 과 정토교학을 깊이 공부하였다고 보여진다. 뿐만 아니라 儒佛仙의 삼교에도 밝았으며, 사대부들과도 넓게 교류하였다. 그의 많은 시문에는 불교교학적인 내용보다 자연을 읊은 서정시와 상소문 등의 글이 많다. 그의 정토사상을 나타내고 있는 자료로는 圓俊長老法華後跋 가 대표적이다. 여기서는 타력신앙과 指方立相的인 정토에 대해여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있다. 특히 그는 唯心淨土보다는 칭명염불을 중시하고 있으며, 서방극락정토가 존재함을 분명히 하고 있다. 또 그가 지은 彌陀造成點眼疏 와 畵諸佛菩薩慶讚疏 등에서도 극락정토에 대해서 설하고 있으며, 극락왕생천혼문으로는 華嚴經後跋 , 韓方應薦父母印經跋 , 覺林寺尋劒堂落成疏 , 月精寺法堂改椽疏 등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백련결사도량의 승려들에게 지어준 몇 편의 게송에서 그가 백련결사를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는 백련결사의 염불행자인 것 같기도 하다. 이 밖에도 그가 전쟁에서도 항상 수지하였던 호신불의 복장이나 강화사로서 일본에 갈 때 관음상을 모시고 가면서 항상 예불이나 기도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는 점도 그의 정토사상과 신앙적인 측면을 가름해 볼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끝으로 그가 지은 「浮石寺安養樓重創記」는 부석사 안양루가 그대로 현세 정토임을 대변하고 있다고 하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그의 정토사상은 정토삼부경을 중심으로 하는 지방입상적인 정토이며, 칭명염불을 수행의 일과로 삼았다고 보여진다. Samyeongdang, Yujeong (1544-1610) was the authorized successor of Seosandaesa, who mastered the Zen sect and non-Zen sect of Buddhism, was skilled in the poetry and prose, and saved the country by participating in the war leading the voluntary Buddhist army in the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also played the role of peace delegate to Japan for the post-war treatment. In his ideology aspect, it looks that he had disciplined the Mujagongan based on the Ganhwaseon and studied the Beobhwagyeong [Siddharma Pundarika-Sutra] and the pure land theory in depth in terms of the non-Zen sect. In addition, he was bright in the 3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lso he interchanged with the noble class scholars. There are lots of lyric poems reciting the nature and appealing works more than the contents of Buddhistic lesson in the plenty of his poetry and prose. The Wonjunjangrobeobhwahubal is the representative material expressing his pure land ideology. It suggests the Taryeok faith [the faith by the other’s power] and the directional & tangible pure land positively. Particularly, he took serious view on the Chingmyeongyeom -bul [invocation to Buddha] rather than on the Yusimheongto [spiritual pure land], and stated clearly that there exists the Buddha’s nirvana pure land. Also, he explained the nirvana pure land in the several Soh [alienation verses] he composed, and put stress on the Buddhist invocation in the Geuklakwangsaengcheonhonmun [writing on the dead person’s soul for easy passage into eternity]. We can see that he paid keen attention on the white lotus fraternity in several verses he had composed for the Buddhist monks in the white lotus fraternity training center. So, it looks that he was the Buddhist invocation pilgrim of the white lotus fraternity. In addition, it is the evidence to discern his pure land ideology and his aspect of faith that he always possessed the clothing of guardian Buddha in the war and that he did not neglect the invocation and prayer all the time holding the statue of Buddhist Goddess when visiting japan as the peace delegate. Finally, it may not be the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Buseoksa Anyangru Jungchanggi」 [reconstruction story of Anyang Building of Buseoksa Temple] he wrote is speaking by proxy that the Anyangru of Buseoksa Temple is the pure land of this life.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his pure land ideology had been the directional tangible pure land based on the Jeongtosambugyeong [three Sutra of pure land], and he had practiced the daily discipline of invocation to

      • KCI등재

        한국 정토사상의 특색

        한태식(보광)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3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정토사상을 중심적으로 논하다가 보니 신라시대의 정토논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정토사상을 논한 정토관련 주석서가 신라시대의 자료뿐이라고 하는 한계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정토수행이나, 정토신앙, 정토문화는 제외하고 오직 정토사상만을 중점적으로 분석하므로 한계성이 있었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한국 정토사상은 정토삼부경 중심으로 골고루 연구 되었다. 일부학자들이 한국은 관무량수경 을 소흘히 하였다고 하는 점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신라시대의 대부분의 정토교가들은 정토삼부경을 골고루 다루고 있으나, 단지 현존하는 자료로는 관무량수경 의 주석서가 남아있지 않을 뿐이다. 심지어 반주삼매경 의 연구도 있었으며, 이러한 사상적인 기반위에 한국의 만일염불결사가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는 48대원을 중시하였다. 48대원의 호칭한 것은 정토사상의 일대변혁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이다. 이러한 원명의 호칭이 오늘날까지 한국불교에서는 장엄염불로 남아 널리 애송되고 있다. 즉 48대원이 의례화될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고 보여진다. 셋째는 十念을 중시하였다. 특히 48대원 중에서도 제18원과, 제19원, 제20원을 중시하였으며, 이 중에서도 십념염불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을 하였다. 십념은 무량수경 의 乃至十念과 관무량수경 의 具足十念에 대하여 논사들에 따라서 그 해석법이 달랐다. 넷째는 唯心淨土 중심의 念佛禪을 중시하고 있다. 고려시대 이후 선불교의 번창으로 정토교학은 자취를 감추고, 선종에 흡수되어 선수행의 방편으로 행해지기도 하였다. 중국의 永明延壽의 염불선이 도입되어 오늘날까지 한국불교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어찌보면 한국불교단 순한 선종이 아니라 염불선 중심의 法眼宗이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점은 조선 淸虛休靜대에 까지 법안종의 염불선의 正法眼藏이 계승되어왔다. 다섯째는 정토교학과 신앙이 널리 유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淨土宗 이라는 종파가 형성되지 못하였다. 이점은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정토사상과 신앙이 너무나 보편화되다가 보니 종파형성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고 있다. This thesis revolves around the idea of Pure Land dating back to the Shilla era in analyzing that in Korean Buddhism. Firstly, the idea has been researched a lot, centered around the Three Sutras of the Pure Land. It is hard to agree with those scholars who say Korea neglected the Amitāyur-dhyāna-sūtra, because it is just that the data and material remaining now rarely include the tome’s commentary, not that those followers of the idea during the era disregarded any of the three sutras. Moreo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had been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 Pratyutpanna-buddha-saṃmukhavasthita-samãdhi-sūtra. Those are thought to constitute Pure Land Buddhism of the country. Secondly, the idea has emphasized the 48 Great Wishes of Amitaba, whose denomination was truly a revolution of the idea. The song is still widely recited in Korea as a Buddhist prayer. Judging from this, it seems that the idea of Pure Land contributed to the 48 Great Wishes’ becoming part of Buddhist practice in Korea. Thirdly, the idea has focused on the Ten Thoughts and, especially, the 18th,19th and 20th among the 48 Great Wishes while giving avariety of interpretations of the Prayer of the Ten Thoughts. The interpretation of the Ten Thoughts differed depending on who interpreted it. Fourthly, the idea has aimed towards the invocatory Zen of the Mind-Only Pure Land. Since the Goryeo Dynasty, Zen Buddhism had prospered, driving out the study of the Pure Land or absorbing the idea as a way to practice Zen, until YongMing YanShou’s invocatory Zen found its way to Korea from China to influence Korean Buddhism up to now. In this vein, Korean Buddhism might not be a simple Zen Buddhism but one revolving around invocatory Zen. This peculiarity lasted until the Joseon Dynasty. Fifthly, Korean Buddhism could not see the sect of the Pure Land sect forming in spite of the wide-spread teachings and belief of the idea. It seems that was because of, as mentioned earlier, the belief’s and idea’s being too popular that stemmed a sect from forming.

      • KCI등재

        대한불교조계종의 출가자 현황과 출가 제도의 개선방안

        한태식(보광) 대각사상연구원 2012 大覺思想 Vol.17 No.-

        대한불교조계종의 출가자의 현황과 출가제도의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현대사회는 출가수행자의 길을 선뜻 선택할 수 있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아니다. 최근에 들어서 출가자의 숫자는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추세로 간다면, 불조의 명맥조차도 단절되지 않을지 심히 염려스럽다. 현행 종단의 출가제도에는 구조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음도 부인할 수 없다. 첫째는 저출산 시대에 맞는 출가자 양성정책과정을 세워야 한다. 조계종단의 미래를 볼 때, 최소한 출가자의 숫자가 20,000명은 되어야 하 고, 사찰 수는 10,000개가 있어야 한국전통불교의 명맥을 유지하고 국민 을 포교하고 가람을 수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제도라 면 지금보다도 숫자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젊은 출가자들이 대거 득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군법사나 군법당을 통한 출가자 양성과 권유도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며, 출가에 대한 홍보프로그램의 전문화, 단기출가체험학교의 운영 등도 도입해야 한다. 또 한편 유ㆍ소년들의 출가를 유도하여 세간에 물들지 않은 동진출가 제도의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과거에는 동진출가를 최상의 출가로 생 각하였으나 현재는 학력이나 연령을 기준으로 삼다보니 동진출가의 길을 막고 있는 셈이다. 무엇보다 불교계의 어린이포교나 청소년회관의 운영,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도 중요한 방안 중하나일 것이다. 다음으로 고령화시대에 맞추어서 출가연령의 제한도 완화해야 한다. 현재는 50세 이하만 출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이제는 그 이상 도 풀어야 한다. 완전히 개방하기가 어렵다면, 고령자의 출가에 대해서는 특별전형위원회를 설치하여 고령자도 진정한 발심출가의 의지가 있다면, 길을 막지 말아야 한다. 이는 부처님의 계율정신에도 어긋나는 일이다. 한편 고령자 가운데는 사회에서 봉직했던 전문분야를 잘 살려서 특수분 야 포교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면, 종단으로서는 중요한 인재를 영 입하는 경우가 되므로 일거양득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장애자 출가문제이다. 부처님의 교단은 사회로부터 존경 받는 공동체가 되 어야 하므로 신체적인 장애나 질병이 출가의 길을 막을 수 있 다. 부처님 당시의 초기교단에서는 출가의 길에 차별법이 없었으나 점차 적으로 사회로부터 비난이 일자 부처님께서는 차법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현대사회에서는 장애자나 질환자에 대한 어떠한 차별도 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자들의 출가를 봉쇄한다면 이는 엄연한 장애차별이라고 하는 인권문제에 크게 저촉된다. 물론 종교나 종 교인이라고 하는 특수한 경우이지만, 성직자로서의 업무나 수행을 하는 데 특별한 지장이 없다면, 출가의 길을 허락해야한다. 이러와 같은 장애 자출가 문제도 특별전형위원회를 두어서 엄격한 심사를 거처 출가를 허락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studies about current state of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in Korean Buddhist Jogye Order and issues in the system of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Current society does not have social atmosphere where you can easily choose to become a Buddhist priest. In such trend, there is a doubt whether the founder of Buddhism is inherited. Also it cannot be denied that current system of entering Buddhist priesthood in the religious order has structural problems. First, training policy course for Buddhist priest must be established which fits with the period of low-birth. In looking at the future of Jogye Order, minimum number of Buddhist priest must be 20,000 and 10,000 temples are required in order to maintain life of Korean traditional Buddhist, evangelize people and protect Buddhist temples. However, in a current system, it is forecasted that the number will decrease even lower than now. In order to resolve this, a method for spiritual awakening of large number of young Buddhist priests must be sought. Training buddhist priest and suggestion through Gunbeopsa(Military Buddhist priest) or Gunbeopdang(Military Buddhist Sanctuary) are also one of the important methods while specializing promotion program about joining Buddhist priest and operating short-term joining Buddhist priest experience school must be introduced. Furthermore, by inducing youths and young adults' joining Buddhist priest, a method of Dongjinchulga(Dongjin; Another name for a Buddhist novice, or a young boy who has not yet taken the vow to becom a monk, chulga; Renunciation of the secular life to become a monk, join the monastic order) system which people are not dyed in the world must be sought. In the past, Dongjinchulga was regarded as the best way of joining the Buddhist priesthood but nowadays, the standard is set according to academic career or age and these are blocking Dongjinchulga. Above all, Buddhist evangelising children, operating youth center, childcare center or kindergarten are also one of the important methods. Next, limit on joining the Buddhist priesthood age must be loosened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Currently, it is regulated that only people under 50 years can join the Buddhist priesthood, but it must be loosened over this age. If it is difficult to fully open, special screening committee must be established regarding older people's joining the Buddhist priesthood so if an aged has a sincere will to join the monastic order, there must be no restriction. This is against religious percepts of Buddha. In the meantime, by reviving special field of aged priest who served in the society and allow them to act as evangelists of special fields, it will be a case to adopt key human resources in the religious order so it will be like killing two birds with one stone. In addition, there is an issue about disabled people's joining Buddhist priesthood. Buddha's religious order must be a community which gets respect from a society therefore physical disability or disease cannot block a way of joining Buddhist priesthood. In the early religious order of Buddha's period, there was no law on discrimination in a way to joining Buddhist priesthood but as there arose criticism from society, Buddha set a differentiation law. However, in current society, there should be no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or people with illness. In spite of this, if disabled people's joining Buddhist priesthood is closed, it largely conflicts with humanitarian issues called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Of course it is a special case of religion or religious people but if there is no inconveniences in carrying on duty or training as priests, joining Buddhist priesthood must be allowed. Issues such as disabled people's joining Buddhist priesthood also must have a special screening committee, passing strict screening and allow to join Buddhist priesthood.

      • KCI등재

        백용성스님의 초기수행과 보광사ㆍ도솔암의 인연

        한태식(보광) 대각사상연구원 2009 大覺思想 Vol.12 No.-

        용성스님의 초기수행은 禮拜와 陀羅尼持誦을 통하여 업장을 소멸하고 난 뒤 無字話頭를 들어 깨달음을 얻었다. 용성스님은 고운사에서 수월스 님의 지도로 禮拜와 大悲呪로 신심을 굳건히 하고 업장소멸한 후 初見性 을 하였다. 그에게 대비주를 지도한 수월스님에 대하여 학계에서는 다소의 오류가 있었다. 대부분이 경허의 제자 水月音觀이라고 하였으나, 논자 의 조사에 의하면, 고운사의 水月永旻임을 밝히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이 있었던 것은 거의 동시대에 비슷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不忘念智를 성취 한 선지식들이었기 때문이었다. 본인은 고운사의 水月永旻禪師의 碑文을 검토하여 밝히게 되었다. 다음으로 용성스님이 초기에 수행한 다라니수행이 선문에서 수용하게 된 연유와 과정을 밝혔다. 용성스님은 千手呪를 하였으므로 이를 정리하 여 한글본의 『千手經』을 譯述하였으며, 六字呪도 한글 『六字靈感大明王經』을 譯述하였다. 일찍부터 禪門에서는 千手呪를 수용하여 조석독송 및 祈禱, 齋의식 등에서 사용하였다. 또한 수행방법으로도 수용되었으며, 그 공덕에 대한 믿음도 많아 널리 사용되었다. 천수주 가운데서도 伽梵 達摩譯本이 주로 애송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독송용 『千手經』으로 의식전에 반드시 독송되고 있다. 한편 六字呪는 10세기 말경 天息災에 의해 번역된 『佛說大乘莊嚴寶王經』卷4에 실려 있다. 이 경은 흔히 “옴마니반메훔”으로 알려져 있는 六 字呪이다. 용성스님은 大悲呪와 함께 六字呪도 염송하였다고 한다. 용성 스님은 『六字靈感大明王經』번역본에서 “모든 경전은 벼의 껍질과 같고 이 다라니는 백미와 같다”라고 하는 경전구절을 인용하면서 이 다라니 염송을 강조하고 있다. 끝으로 용성스님과 보광사 도솔암의 인연에 대하여 논하였다. 용성스 님은 초기수행을 대부분 보광사와 도솔암에서 하게 되었다. 당시의 나이 로는 19세에서 21세 사이이며, 밝혀진 것만도 3차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1차는 19세 때에 보광사 도솔암에서 대비주와 육자주를 염송하여 “통밑 이 빠지는 것”과 같은 경지를 체험하여 1차 오도송을 읊었다. 2차는 20 세 때에 보광사에서 『六祖壇經』을 구해보게 되었으며, 이때 본 『六祖壇 經』은 용성스님의 대각교운동의 指南으로 삼게 되었다. 3차는 21세 때에 보광사 도솔암에서 無字話頭를 타파하여 2차 오도송을 읊게 되었다. 그러므로 용성스님과 보광사 도솔암의 인연은 참으로 소중하였으며, 이러 한 수행으로 뒤에 3․1 독립운동이나 대각운동의 전개에 밑바탕이 되었 다고 보여진다. Yong-Seong Seon master achieved the extinction of his karma through his early practice of worship (禮拜), recitation of Darani (陀羅 尼持誦). Then, he attained his first illumination with the koan of the letter Mu (無), under Soo-Wer sunim's guidance in Gowunsa. The identity of Soo-Wer sunim has been controversial in the academic world. On examination through careful research, he has been found to be Soo-Wer Yeong Min(水月永旻) of Gowunsa. The confusion regarding his identity is thought to have continued because there were several contemporary Buddhist teachers who achieved Boolmangnyeomji (不忘念智) through similar practices. This article presents the reasons and courses of Seon Buddhism's embracement of Yong-Seong's early Darani practice. As Yong-Seong sunim practiced and examined Cheonsuju(千手呪) and Yukjaju(六字呪), he translated the related Buddhist sutras into Korean - 『CheonSooGyung(千手經)』and 『YukJaYeongGamDaeMyeongWangGyeong (六字靈感大明王經)』respectively. YukJaju is found in the fourth volume of 『BoolSulDaeSeungJangUmBoWangGyeong (佛說大乘莊嚴寶王經)』translated by CheonSikJae (天息災) in the late 10th century. YukJaJu is a mantra well-known as Om Mani Padme Hum. Yong-Seong sunim recited this mantra along with DaeBiJu (大悲呪). In the translated edition of 『YukJaYeongGamDaeMyeongWangGyeong(六字靈感大明王經)』, he put stress on the importance of recitation of YukJaJu by quoting an metaphor from the sutra 'all Buddhist sutras are husk of rice whenYukJaJu is the very core of rice itself.' The last thing this article focuses on is his early practice mainly done in Bogwangsa and Dosolam. His age then was between 19 and 21, and his three main activities in these places during this period have been discovered. The first one was what he expressed as 'the bottom of a barrel vanished' in his first song of enlightenment. He attained this first illumination at the age of 19 through recitation of DaeBiJu and YukJaJu. At age 20, he was introduced to the Buddhist script titled 『YukJoDanGyeong(六祖壇經)』in Bogwansa and adopted it later as a guide book for his DaeGakGyo (大覺敎) movement. When he was 21, he vanquished his koan of the letter Mu and composed his second song of enlightenment. Yong-Seong Seon master's strong ties with Bogwansa Dosolam is considered valuable and this connection provided the solid basis for his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1 and for his Great Enlightenment movement(大覺運動).

      • KCI등재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존재에 관한 연구

        한태식(보광),강동균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4 No.-

        본 논문에서는 서방정토극락세계와 아미타불의 존재와 장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국토와 부처님은 법장비구의 출가와 발원에서 시작되었다. 그 동기는 이상국가의 건설과 지도자의 탄생을 갈망하는 마음이었다. 48대원의 발원과 오랜 수행으로 극락정토가 이루어졌고, 아미타불이 탄생하였다. 극락정토의 依報莊嚴은 대지와 寶樹와 法音樹, 蓮池, 功德水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기세간적인 장엄은 물질적인 장엄이다. 극락정토는 물질적은 절대적으로 풍요로운 세계이다. 조금도 부족함이 없는 세계, 완전히 만족한 세계를 표방하고 있다. 그 근거로 각 경전에서 설하는 증거를 제시하여 실존함을 증명코자 하였다. 다음으로 아미타불과 성중들에 대한 正報莊嚴을 살펴보았다. 아미타불은 10겁전에 성불하였으며, 無量光, 無量壽의 부처님이다. 영원한 지혜광명의 부처님이고, 영원한 생명의 부처님인 것이다. 이에 대해 각 경전과 논서들을 증거로 제시하면서 그 존재와 실재를 증명코자 하였다. 이는 정신적인 장엄이며, 안락의 세계이다. 마지막으로 指方立相的인 정토와 아미타불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밝혔다. 극락정토는 서방으로 십만억불토를 지난 곳에 분명히 존재한다고 정토계 경전에서는 설하고 있다. 그러나 어리석은 중생들은 이에 대해 의혹심을 가지면서 믿고 있다. 이를 반신반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邊地에 胎生으로 태어난다고 한다. 특히 원효는 정토와 아미타불의 존재를 믿지 않는 것은 부처님의 五智를 의심하는 것이므로 邊地에 태어난다고 하엮다. 그러면서 그는 仰信, 應信, 伏信을 설하고 있다. 그 경지는 중생의 알음알이로 알 수 있는 경지가 아니므로 부처님의 말씀을 믿어야 한다고 하였다. 오늘날 불자들 가운데에는 의혹중생이 많으며, 唯心淨土로 이해하여 관념론적인 정토로 해석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는 참으로 경계해야 할 신행방법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We studied about the land of Sukhavati(the buddhist elysium, the pure land of Amitabha) in this paper. We also looked into the existence and decoration of Amitabha. This land of Buddha and Buddha have originated from the renunciation and pray of Dharmākara ( Amitabha's name before he became Buddha). The motive has come from his earning for establishment of an ideal land and the birth of a leader. Prays and long practicing of 48 temples have accomplished the land of Amitabha and made possible the birth of Amitabha. Euibojangeum (the decoration of land) is expressed with terms like, Bosu(a tree of treasures), Beopumsu(sounding tree), Yeonji(a lotus pond) and Gongduksu(water). The decoration for land is a physical decoration. The land of Amitabha is a land of an absolute abundance materially. It claims to a wantless and completely satisfied world. And this paper was aimed at proving the existence of it by showing evidences that every sutra preaches as grounds for that. And then we studied about Jungbojangeum (the decoration of Buddha's body) for Amitabha and Bodhisttvas in the pure land of Amitabha. Amitabha became a Buddha kalpa ten ago and he is a buddha for Mujooryang(ceaseless light) and Muryangsoo(ceaseless life). He is a buddha for eternal light of wisdom and eternal life. and for this, we also aimed at proving his actual being by providing every sutra and discussing theory. This is a mental decoration and the world of comfort. And finally we ascertained the existence of the land and Amitabha in terms of directional orientation. The Sukhavati sutra says Sukhavati surely exist about hundred thousands of a hundred million west. But the foolish people have a doubt about this even though they believe in it. We can say it 'half in doubt'. They are said to be born in the borderland. Especially Great Master Wonhyo said doubting about the existence of pure land and Amitabha is nothing less than a doubt about the five wisdom of Bhudda and the people who doubt it would be born in the borderland. Then he preaches Angsin (belief without doubt), Eungsin (belief with responding) and bosin(belief with respect). He also said the stage of belief cannot be obtained with acquaintances other than believing in Buddha's words. Today, we can see a lot of foolish people who believe with doubt and many people understand it as Eushimjungto(the idea that Sukhavati is in buddhist's mind) and interpret ideally. We cannot help but say this is a way of belief that we must be wary of.

      • KCI등재

        義天大覺國師의 慈愍三藏 『淨土慈悲集』 간행에 관한 연구

        한태식(보광) 한국정토학회 2020 정토학연구 Vol.33 No.-

        초록 close 당나라 慈愍三藏(680-748)의 정토교학은 정토의 삼류파 중 하나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淨土慈悲集』 3권을 출간하여 여산 혜원이나 도작, 선도류와 다른 정토교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일찍이 자료가 희귀해져서 널리 알려지지 못하였다. 그런데 송나라 元照律師(1047-1116)가 이를 개판하여 널리 유포하려고 하였지만, 法英선사 등 선종에서 선을 비판하는 내용이 있다고 하는 이유에서 자민삼장이 직접 저술한 眞撰이 아니라 원조가 자민삼장의 명의를 假託하여 출판한 것이라고 관청에 금지령을 내려 줄 것을 요청하는 소장을 제출하였다. 선종과 결탁한 관가에서는 대장경 목록도 자세히 살펴보지 않고 금서령을 내려서 유포를 금지하여 송나라에서는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그러나 義天大覺國師(1055-1101)가 송나라 유학 중 원조율사에게서 계율과 정토를 공부한 인연이 있어서 서로 편지를 내왕하던 중 우연히 해외 여행객으로부터 3권 중 상권을 입수한 의천은 이를 고려에서 개판하여 유포하였다. 그러면서 이를 편지로 원조율사에게 보고한 것이 「答大宋元照律師書」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도 이 책이 널리 유포되지는 못한 것 같았다. 오랫동안 자료를 찾지 못하다가 700년만인 1900년 초에 오노겐묘(小野玄妙)교수가 대구 桐華寺에서 그 일부를 발견하여 대정신수대장경 보유판 85권에 편입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의천의 『정토자비집』 고려 개판이 갖는 의의와 중요성을 다루었으며, 자민삼장의 정토교학과 의천의 정토사상 연구에도 크게 기여 하고 있음을 밝히게 되었다 The Pure Land teachings of Cimin (慈愍, 680-748), one of the three main streams, played a crucial role in of the Chinese Pure Land Buddhism. He published the Collection on Compassion of the Pure Land (Jeongto jabei jeb, 淨土慈悲集) in three volumes so that he unfolded his teaching different from those of Huiyuan (慧遠, 334-416) or Daochuo (道綽, 562-645). The collection of works, however, became so scarce that it was hardly known to the public. Even though Yuanzhao (元照, 1047-1116) tried making a revised version to be widely distributed, the Jeongto jabei jeb 淨土慈悲集 vanished due to a decree to forbid the book, which was a slander conducted by the members of the Seon Buddhism(禪宗). Nonetheless, Uicheon (義天, 1055-1101), one of the major Korean scholarly monks of the Goryeo dynasty, acquired the first volume of the Jeongto jabei jeb 淨土慈悲集 by chance, revised the text, and published. It is the Da dasong yuanzhao lushi shu 答大宋元照律師書 that Uicheon reported the process to Yuanzhao by letters. However, it seems that the Goryeo version of the Jeongto jabei jeb 淨土慈悲集 had never been widely spread out as well. It has been lost for a long time, but 700 years later Japanese professor Ono Genmyō (小野玄妙) discovered some parts of the text in Donghwa temple (桐華寺) in the early 20th century. so that it became incorporated into vol. 85 of the Taishō Tripiṭaka. This article deals with the historical meaning and its implication of the Goryeo version of the jeongto jabei jeb 淨土慈悲集, which was reedited by Uicheon. It is hoped that this article contributes to the study on the Pure Land teaching of Cimin as well as that of Uicheon.

      • KCI등재

        정토교에서의 깨달음 문제

        한태식(보광),강동균 한국정토학회 2009 정토학연구 Vol.12 No.-

        정토신앙의 첫걸음은 믿음이다. 아미타불과 극락정토의 존재에 대한 믿음 없이는 정토신앙은 성립될 수 없다. 믿는 마음을 내는 것이 바로 발보리심이다. 이 발보리심은 정토왕생의 正因이다. 淨土三部經에서도 發菩提心없이는 왕생이 불가능함을 설하고 있다. 이러한 發菩提心이 往生의 正因이라고 하는 설은 신라의 元曉에서 더욱 분명히 밝히고 있다. 원효는 隨事發心이나 順理發心에 관계없이 발심의 공덕은 무량하므로 왕생의 정인이라고 한다. 비록 발보리심을 내었다가 다시 退轉心을 내더라도 발심한 공덕으로 왕생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러나 念佛은 왕생의 助因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따라서 발보리심이 정토왕생의 정인이며, 깨달음의 첫걸음임을 말하고 있다. 다음으로 정토수행 중에서 생전에 증득할 수 있는 것이 見佛三昧이다. 見佛은 부처님의 존재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가지게 되며, 의심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로 인하여 不退轉位를 성취한다. 이 불퇴전위는 보살 十住位 중 제7不退轉位이지만, 때로는 아뇩다라삼약삼보리로부터 불퇴전의 위치를 뜻하기도 한다. 그리고 견불은 定中의 견불과 夢中의 견불이 있음을 설하고 있다. 또한 정토교학에서 見佛은 禪宗의 見性과 같은 경지임을 설하기도 한다. 끝으로 왕생자의 證得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왕생자는 臨終 이후에 가능한 일이다. 그 증득의 단계를 살펴보면, 첫째 극락세계에 왕생하는 사람은 無生法忍을 성취하여 불퇴전지에 이르러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무생법인의 경지는 그 계위에 따라 다르게 해석하지만, 보통 初地로 볼 수 있다. 둘째는 왕생자가 一生補處를 증득하는 경우이다. 이 때는 51位等인 覺地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왕생자 중에서도 중생구제의 원을 세우고 다시 오탁악세로 願生을 할 경우에는 일생보처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왕생자가 바로 성불하는 것이 아니라 三輩九品의 품위에 따라서 그 시기는 각각 달라짐을 말하고 있다. The first step of Pure land faith is to believe the existence of Amitaba Buddha and Pure land. Raising the believing mind is none other than raising enlightening mind. Enlightening mind is the fight cause of being reborn in the pure land. It is certainly explained in <Three sutras of Pure land>. Shilla Master Wonhyo made it clear saying that the merit of raising enlightening mind had no limit, resulting in the right cause. The merit is so great that it is still effective even though one retreats after raising one's mind. However, chanting the Buddha is only assisting cause for being reborn in the pure land. Next, it is 'samadhi by seeing the Buddha' which can be attained during one's life. Seeing the Buddha deletes all doubts, resulting in the status of no regression. Tht status means the 7th status of Bodhisattva, often no regression from the supreme enlightenment. Seeing the Buddha is possible both in the meditation and dream. In pure land teaching, seeing the Buddha indicates the same position as seeing the Buddha nature in the Zen sector. Finally, the paper examined attainment of the reborn person. First, the person reborn in the pure land attains no-birth dharma, and takes the status of no regression. Such status of no-birth is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mensions, generally considered as first status. Second, the reborn person attains the status of one-life place, which is the status of realization among 51 statuses. In this case, if one wants to save sentient beings and returns to the world, one is excluded from the one-life place. Therefore, the reborn person does not become a buddha, the time is diverse following the stat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