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rum vaspin levels and its relation to body fat and fitness

        한태경,조진경,하창덕,강현식 한국운동영양학회 2013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17 No.3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serum vaspin levels with body fat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CFR) in young men. In a cross-sectional study, we examined 396 young Korean men (mean age, 23.8 ± 2.5 years) who were recruited from two campuses of S university. Body fatness and fasting levels of serum insulin, adiponectin, and vaspin were measured. CRF was quantified as the minute volume of oxygen consumption (VO2) measured during a graded treadmill test. In the present analyses, we determined individuals to have either low (bottom 25%), middle (mid-level 50%), or high (upper 25%) CRF levels based on their age-adjusted VO2 max values. We also assigned individuals to either a lean weight (LN) or obese (OB) group based on body fatness levels,in which a BMI value 25 kg/m2 was used as an indicator of Pacific-Asian obesity. Group analyse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body fatness and CRF on BMI, fasting insulin, and vaspin, such that among men with low CRF within the obes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asting insulin (P = 0.001), HOMA-IR (P < 0.001), and serum vaspin (P = 0.017) levels than the lean group. Further,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CRF (P = 0.023), BMI, and fasting insulin (P = 0.050)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individual variation in serum vaspin concentrations. I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low CRF along with high body fatness and an elevated fasting insulin level are associated with elevated serum vaspin levels in young Korean men.

      • KCI등재

        영상검지자료를 활용한 신호교차로 접근차량의 탄소배출량 추정

        한태경,고준호,김대진,박종한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6

        대한민국에서 수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은 전체의 16.5%이며, 이 중 도로교통 부문이 96.5%를 차지한다. 따라서 도로교통 부문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 교차로의 확대에 따라 교차로를 통과하는 개별차량에 대한 모니터링 기회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장래 자율주행차 보급 확산에 따라 개별차량주행 자료 수집 가능성 또한 커지고 있다. 이에 맞춰 강남구 소재 5개 교차로에 설 치된 영상검지기를 통해 얻은 차량의 차종, 교통량, 속도, 가속도와 같은 실제 데이터를 활용 해 신호교차로에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CO2 배출 현황 조사를 실시했다. 이렇게 수집된 데 이터를 초당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개량된 MOVES-Matrix 모형에 대입해 2개 대형교차로와 3 개 소형교차로에서 하루 동안 발생하는 CO2 배출량은 평균 3.1톤임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실제 개별차량 데이터와 개량된 모형을 활용한 CO2 배출량 분석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 는 한편, CO2 배출량을 보다 더 정확히 조사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한다. Carbon dioxide (CO2) emissions from the transportation sector in South Korea accounts for 16.5% of all CO2 emissions, and road transportation accounts for 96.5% of this sector’s emissions in South Korea. Hence, constant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on methods to reduce CO2 emissions from this sector. With the emerging use of smart crossings, attempts to monitor individual vehicles are increasing. Moreover, the potential commercial deployment of autonomous vehicles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individual vehicle data. As such, CO2 emission research was conducted at five signalized intersections in the Gangnam District, Seoul, using data such as vehicle type, speed, acceleration, etc., obtained from image detectors located at each interse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pplied to the MOtor Vehicle Emission Simulator (MOVES)-Matrix model–which was developed to obtain second-by-second vehicle activity data and analyze daily CO2 emissions from the studied intersections. After analyzing two large and three small intersec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3.1 metric tons of CO2 were emitted per day at each intersection. This study reveals a new possibility of analyzing CO2 emissions using actual individual vehicle data using an improved analysis model.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ore accurate CO2 emission analyses.

      • KCI등재

        Effects of Acute Exercise on Serum Vaspin and Insulin Resistance in Normal and Pre-Diabetes Middle-Aged Women

        한태경,강현식 한국운동영양학회 2012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16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te exercise on blood vaspin, glucose level,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middle-aged women with pre-diabetes. Nineteen middle-aged women (normal women, , n = 11) and women with pre-diabetes, (n = 8), who were apparently healthy and not taking any medications affecting their blood pressure, or blood glucose, participated. Body fatness parameters including body mass index, body fat percentage,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measured using a bio-impedance analyzer. Resting blood pressures was measured in duplicate, and mean valu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Regardless of group assignments,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a 3-day consecutive walking exercise at an intensity of 65% VO2max targeting an energy expenditure of 1200 kcal (400 kcal per day). The major outcome variables include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glucose, vaspin, interleukin-6, and adiponectin levels. Unlike normal women, women with pre-diabetes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p < 0.025) with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response to acute exercise. The findings suggest that acute exercise results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sulin sensitivity without any change in serum vaspin levels in women with pre-diabetes.

      • KCI등재후보

        20대 템플스테이 참여에 대한 연구: 심리적 안녕감, 마음챙김, 자기자비를 중심으로

        한태경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22 명상심리상담 Vol.28 No.-

        본 연구는 20대 템플스테이 참여 형태와 효과를 다른 연령대와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연령대별 템플스테이 참여자의 참여형태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20대 템플스테이 참여자와 다른 연령의 템플스테이 참여자의 마음챙김,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 평균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대별 템플스테이 참여자의 참여형태에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령대별 템플스테이 참여자의 참여형태 중 템플스테이를 통해서 도움 받고 싶은 부분에 대해 살펴본 결과, 20대~50대 모두 ‘심리정서’에 있어서 도움을 기대하고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템플스테이 참여자의 참여형태 중 템플스테이 참여 동기에 대해 살펴본 결과, 20대~30대는 ‘스스로 정보를 찾아보고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하게 된 여러 연령대에서 ‘친구의 권유’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대 템플스테이 참여자와 다른 연령대(30대, 40대, 50대, 60대)의 템플스테이 참여자의 마음챙김,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 평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대인관계, 개인적 성장에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템플스테이 참여자와 30대 템플스테이 참여자의 마음챙김,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의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자아수용에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템플스테이 참여자와 40대 템플스테이 참여자의 마음챙김,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의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템플스테이 참여자와 50대 템플스테이 참여자의 마음챙김,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의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대인관계, 개인적 성장에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대 템플스테이 참여자와 60대 템플스테이 참여자의 마음챙김,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의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기자비의 하위요인인 자기친절과 마음챙김은 20대의 평균에 비해 60대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환경에 대한 통제는 60대의 평균이 20대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개인적 성장은 20대의 평균이 60대의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대의 템플스테이 참여 형태와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20대의 템플스테이 참여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20대 맞춤형 템플스테이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통학형태에 따른 학업스트스와 공격성에 한 연구

        한태경,권오규,우상구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통학형태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와 공격성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독립 표본 T 검증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공격성과 학업스트레스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시험 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성적 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간접적 공격성, 과민성, 폭력성 그리고 부정적 성향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았다. 둘째, 등교형태에 따른 공격성과 학업스트레스 중 대중교통이 자가용, 도보형태에 비해 공부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고, 진로 스트레스는 대중교통이 도보에 비해 높았으며, 폭력성은 대중교통이 자가용, 도보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언어적 공격성은 도보형태가 자가용, 대중교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교 생활에 있어 스트레스와 공격성은 대중교통이 다른 요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도보형태는 다른 잠재적 학교 요인과 같게 나타났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에서 부정성을 제외하고 공격성은 학교 거리가 반경 5km 일때 높게 나타났다. 넷째, 부정성을 제외하고 학업스트레스에서 가장 높은 요인은 20분 이상 일때 공격성이 가장 높다고 나타났다.

      • KCI등재

        PC-1 K121Q 유전자변형에 따른 복부비만 중년여성의 12주간 댄스스포츠에 수행 후 비만지표 및 대사증후군 변화의 비교

        한태경,우상구 한국운동영양학회 2007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PC-1 K121Q gene variants modulated the degree to which participation in a 12 weeks of a dance sports program improved obesity and its related metabolic syndrome in abdominally obese, middle-aged women. A total of 57 subjects (K121K genotype, n = 37; K121Q + Q121Q genotype, n = 20) voluntarily participated in 12 weeks of supervised dance sports program (60~70% HRmax),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ssay was used in this study. Two-way RMANOVA analyses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 PC-1 genotype, participation in the 12-wk dance sports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most of body fatness indices along with TC and blood glucos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time × genotype interactions in changed scores in body weight and HDL-C level such that those with K allele carriers had greater improvements in body weight and HDL-C than those with Q allele carriers. I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PC-1 K121Q gene variants can modulate responses of obesity and its related metabolic markers to an aerobic exercise training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