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타이완의 초등 사회과 교육 비교 연구

        한춘희(Han Choon Hee),김정호(Kim Jeong 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민주 시민 과 현대 공민 의 양성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와 타이완의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와 타이완은 모두 초등학교 3학년부터 사회과를 학습하고 있으며, 두 나라 모두 사회과를 통합 사회과로 운영하고 있다. 둘째, 사회과 목표와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민주시민양성 을, 타이완은 현대공민 양성 을 목표로 삼고 있는데 이것은 미국 사회과의 영향을 받은 탓이다. 셋째, 사회과의 내용에 있어 우리나라는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별로 통합적인 내용 구성을 모색하고 있으나, 타이완은 우리나라의 제7차 교육과정에서 기준으로 삼았던 인간과 공간, 인간과 시간, 인간과 사회의 개념에 도덕과 내용을 적용한 9개 의 주제로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넷째, 사회과의 교수․학습 방법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교육과정에 10개를 제시하 고 있는 있으나, 타이완은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명시하고 있지 않다. 다섯째, 초등 사회과 교과서 출판과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국정 체제를, 타이완은 검인정 체제를 택하고 있다. 여섯째,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와 관련하여 두 나라 모두 사회과 지도서는 크 게 2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 부분은 사회과 지도를 위한 기초 분야로 사회과 교 육과정과 관련된 내용을 교사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 해설하고 있다. 두 번째 부 분은 교수․학습의 실제 부분으로 자료 제시, 보충 설명, 지도안 제시, 수업 방법 안 내 등의 형태를 띠고 있다. 위와 같이 우리나라와 타이완의 초등 사회과는 성격 및 목표, 그리고 교과 명칭에 서 큰 차이가 없고, 교수․학습 내용도 지리, 역사, 일반사회의 지식, 기능, 가치․태 도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과의 학습목표 설정과 학습내 용 제시에 있어 우리나라는 영역별로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있으나. 타이완은 주제 별로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것은 교과서 내용 구성의 차이로 이어지고 있 다. 특히 통합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이라는 측면에서 우리나라와 타이완은 서로 공 통점이 있으나 타이완의 경우 사회과와 도덕과를 통합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을 운영 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큰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curricula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Korea and Taiwan, to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o present suggestion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curricula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Korea and Taiwan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democratic citizens and modern citizens are as follows. First, Korea and Taiwan begin teaching social studies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s. As for organization of social studies, Korea establishes the third-fourth grade group and the fifth-sixth grade group in the grade-cluster system for social studies, while Taiwan establishes the second phase including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s and the third phase including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 for social studies. Second, Korea and Taiwan have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both elementary social studies support integration in domains, content,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Third, as for the objective of social studies, Korea aims at educating democratic citizens and Taiwan at educating modern citizens, aims that are affected by American social studies. Fourth, as for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Korea integrates contents by domain including geography, history, and general society, while Taiwan contains nine themes including the concepts of humanity and space, humanity and time, and humanity and society that were the standard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Korea, as well as ethics and contents. Fifth, as for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social studies, Korea clarifies ten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urriculum while Taiwan does not have concret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urriculum. Sixth, in publishing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Korea is government-designated but Taiwan is authorized. Seventh, the teachers guide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of both countries has roughly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as the basic field for teaching social studiesexplains contents related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eachers; the second section as the practical field in teaching and learning includes educational materials, supplementary explanations, guidance plans, and methods of giving lessons. As mentioned above,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of Korea and Taiwa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ature, objectives, and name of the subject.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re common in both countries, including geography, history, and knowledge, functions, values, and attitudes of general society as the basis of the curriculum. However, in establishing learning objectives and presenting learning contents, Korea establishes a system by domains while Taiwan has a system by themes, a difference that leads to a difference in organizing contents of the textbook. In particular, in the aspect of operating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aiwan is sufficiently different from Korea in integrating social studies and ethics in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espit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 사회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한춘희(Han, Choon Hee),김준혁(Kim, Jun Hyuk)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8 사회과수업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3․4학년 사회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교사 들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3․4학년 2학기와 5․6학년 사회과 교과용도서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현재 3․4학년 사회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3․4학년 교과용도서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특히 교과서의 주제 마무리와 빈칸 채워 넣기 중심의 단원 정리 활동, 부록으로 제시된 활동자료, 지도서의 매 차시 제시 된 학습지와 예시 답안, 사진이나 삽화에 대한 설명 및 예시 발문을 제시한 ‘수업 안내’ 부 분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 비율이 높았다. 반면, 교과서의 학생 흥미 반영 여부, 학생의 수준 을 고려한 수준별 학습 가능성, 지도서의 교사용 전자 저작물(CD)이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부정적인 평가 비율이 높았다. 그러므로 향후 초등 사회과 교과용도서는 주요 사실 및 개념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자료 제공, 직관적인 교과서 내용 소개와 핵심 발문 제시, 학생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활동자료로 구성된 부록 확대, 교사용 전자저작물과 디지털 교과서의 홍보 강화와 내용 및 형식 개선 등을 고려하여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use of the textbooks for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3rd and 4th grade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obtain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s for the next social studies textbooks by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246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social studies in the 3rd and 4th grade in Seoul and Busa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valuation of the 3rd and 4th grade textbooks is generally positive. Especially, they were evaluated positively that filling out blanks at the end of the every unit, the activity materials presented in the appendix of the textbooks, explanation of pictures and illustrations, questions in the lesson guide of the teachers’ guides.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positive evaluation of teachers CD and digital textbooks was relatively low and the rate of negative evaluation was high. Therefore, upcom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should provide intuitive contents presenting key points, various evaluation materials, expand appendixes with activity materials to encourage student participation. Teachers’ CD and digital textbooks are necessary to be promoted and developed in improvement of contents and form.

      • KCI등재

        델파이 조사 방법에 의한 초등학교 사회과 지도서 개선 방안 탐색

        한춘희(Han Choo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usage of the teachers’ guides(TGs) of social studie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27 experts of social studies participated in the third phase of Delphi survey to present their opinions on the evalution of the current guidance and how to improve the TGs. As a result of the survey divided into 4 areas such as general information and guide about textbook,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current TGs was in a good level. But, the lack of guidance on curriculum subject learning and creative & convergent teaching-learning method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ems to be a factor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utorial. In the improvement plan, textbooks-instruction plan-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evaluation plans and items need to be integrated and presented for non-major in social studies teachers. There were a controversial issue on the provision of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However, there were also many opinions that it is resonable to provide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within a range easy to understand and directly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TGs.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사회과 지도서의 실태를 파악하고 지도서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총 27명의 사회과 교육 전문가들이 약 2개월 동안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에 참여하여 현행 지도서에 대한 평가와 지도서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현행 지도서에 대해 총론, 교과서 안내 등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설문한 결과, 응답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대체로 현행 지도서가 양호한 수준이라 평가했다. 다만,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범교과 주제 학습이나 창의·융합형 교수 방법에 대한 안내가 부족하다는 지적은 향후 지도서 개발시 고려할 요소로 보인다. 개선 방안에 있어서는 비전공 교사를 위해 교과서-지도 안-교수·학습 자료-평가 계획과 문항 등이 일체화되어 제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문적 배경 지식의 제공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나 이해하기 쉽고 교수·학습 지도와 직접 관련되는 범위에서 제공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향 탐색

        한춘희(Han, Choon-He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2 No.-

        본 논문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스마트 교육전략에 따라 본격적으로 보급될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바람직한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디지털 교과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실수업개선과 학생별 맞춤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과서 발전 방안의 하나이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란 교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디지털 교과서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수ㆍ학습을 목적으로 초ㆍ중ㆍ고에서 학생들이 학습의 기본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된 것으로, 서책형 교과서가 가지는 장점을 살리고 검색ㆍ내비게이션 등의 부가적인 편의 기능, 애니메이션ㆍ3D 등 멀티미디어 학습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학습 교재이다. 또 디지털 교과서는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의 평면적이고 선형적인 기존 서책형 교과서와 달리 소리,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 현실 등의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자료 수집, 내용전달매체, 학습방법, 접근성, 재사용성과 확장성 등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유용성과 활용성을 가지고 있다.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는 디지털 교과서 본연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과의 성격과 본질에 충실하고,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고, 내용 구성의 내적 측면과 외적 체제에서 질이 높은 교과서가 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생들의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고, 교사와 학생이 쉽게 활용하고 함께 만들어가는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디지털 교과서의 유형은 온라인형과 오프라인형, 교사용과 학생용, 분과형과 통합형, 주교재와 보조 교재, 열린 교재형과 폐쇄형 교재 등 다양하다. 사회과의 본질과 특성을 고려한다면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가 동시에 개발되어야 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언제든지 활용이 가능하고, 교사용과 학생용을 구별하여 개발하고, 열린 교재형으로 개발되어 학생들이 지식의 구성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협의, 고민을 통하여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사회과의 특성을 살린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 또 교사들이 수업 주도권을 갖고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이 즐겁게 배우고 활동할 수 있고, 사고력이 신장시킬 수 있는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which will be in full-scale distribution in the near future according to the Smart Education Strateg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igital textbooks are part of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design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per-based textbooks and help to improve classroom lectures and run customized curriculums for individual students. However, education in a true sense happens through clos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themselves. Digital textbooks are made based on the content of a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to use as a basic material for the sake of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They are digital learning materials that highlight the advantages of paper-based textbooks and perform additional convenience functions such as search and navigation and multimedia learning functions such as animation and 3D. Unlike conventional paper-based textbooks that are planar and linear ones based on texts and images, digital textbooks provide a rich range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sound, video, animation, and virtual reality and further offer a variety of usefulness and usability in terms of data gathering, content delivery media, study methods, accessibility, reusability, and scalability.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ollowing directions while making utmost use of the original advantages of digital textbooks: they should be loyal to the nature and essence of social studies, allow the students to do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mselves, and offer high quality in the internal aspect of content organization and in the external system. They also should allow students to do individual level-based learning and enable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easily use and build them together.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digital textbooks including on- and off-line textbooks, teachers' and students' editions, separate and integrated, main and auxiliary, open and closed textbooks. Considering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paper-based ones. They should be accessible both on- and off-line anytime and separately developed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y should also be open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knowledge formation themselves.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social studies digital books should be searched for through sufficient research, discussion, and agreement about them and by fully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In addition, they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can allow teachers to utilize various materials with teaching initiative in their hands and in such a way that students can enjoy learning and activities and enhance their thinking skills.

      • KCI등재

        핵심역량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한춘희(Han Choon Hee),신범식(Shin Bum Si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4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의 한 가지 대안으로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핵심역량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기 위해 사회기능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과 비교ㆍ분석하였다. 두 접근 모두는 통합적인 접근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바람직한 시민을 육성하기 위한 노력에서 시작되었다. ‘핵심역량’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이 향후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서 하나의 대안으로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통합 논의는 사회기능 중심 교육과정 통합에서 시작해 주제 스트랜드 중심 통합 논의와의 연속선상에 논의되어야 하며, 하위 항목 수준에서도 많은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둘째, 미래 사회에 꼭 필요한 핵심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한 사회과 교육 전문가들의 논의가 활성화되고, 핵심역량 실체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이 함께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기능, 주제 스트랜드, 핵심역량의 연속성 속에서 무엇이 교육과정 스코프와 시퀀스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지 그 타당성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며, 교과-경험, 학문-학습자가 만나는 지점에 대한 확장된 논의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core competence that is newly discussed as an alternative for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with social function-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order to identify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the core competence. Both the ‘social function’ curriculum and the ‘core competence’-centered approach of futuristic curriculum were from the efforts to solve problems caused by rapidly-changing society, explosive increase in knowledge, and expression of various points of issues through integrated approaches rather than fragmented ones and to foster desirable citizens. For ‘corecompetence’- centered curriculum development to be effective as an alternative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future, some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as follows. First, discussion of integration of core competence-centered curriculum is similar to the discussion of topic strand-centered integration started from the previous curriculum integration centered on social function, having sufficient similarity with the levels of the established sub-items. Second, the sub-items of various items in the core competence established as the basis of futuristic curriculum showed high duplication in abilities and in consequent had lower possibility in realiz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concrete educational objectives. Therefore, discussion among experts in social studies subject should be activated on selecting core competence needed in society in the future. Third, in-depth academic discussion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social function, conception of study, topic strand, and core competence as the criteria in the discussion of integration, in order to identify which would serve as a scope of curriculum for providing the foundation for Korea’s education.

      • KCI등재

        학교현장의 수업설계 실태에 대한 생태학적 탐색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한춘희 ( Choon Hee Han ),정한호 ( Han Ho Je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ocial study instruction design in public schools in order to assist instruction design to proceed in a correct direction. This research was an attempt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social study instruction design in public school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adaptation, harmony, and change.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the key data collected in this research. The group interviews were executed by 7 teachers(male 1, female 2). And in-depth interviews were executed by 3 teachers(male 3, female 3).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various official school events were regarded as important work of teachers in school environment, and teachers` instruction design activities irregularly occurred and rarely ever practiced. Contrary to the earlier stud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uses of unfaithful instruction design practices were not only because of teachers themselves, but also school workload situation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eachers recognized that `school performance` were very important aspects of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ied to spend time harmoniously in `new ecology` framed for oneself that was not `official ecology` like a instruction design & teaching but `school performance`. Also, they carried out `school performance` during the break time, lunch time, and after teaching. These phenomenon were found out in all of the data-diarie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result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초등 5·6학년군 사회과 교과용 도서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분석

        한춘희(Han Choon Hee),조의호(Jo Eui ho)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0 사회과수업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사회과 5․6학년군 교과용도서에 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과용 도서 개발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찾기 위해 실시되었다. 343명의 서울 지역 초등교사들이 총 33문항의 설문에 참여하여 현행 교과서의 내용, 외형, 구성, 지도서의 내용과 외형, 구성 등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조사에 참여한 교사들은 현행 사회과 교과서와 지도서가 대체로 양호한 수준이라 평가했다. 사회과 교과서의 경우, 수록된 사진과 삽화, 학생 수준에 적합한 내용 제시 방식과 다양한 코너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다. 지도서의 경우, 교과서 축쇄본과 함께 수록된 사진이나 삽화에 대한 설명, 학습지 및 평가지를 비롯한 교수․학습 자료와 USB에 담긴 전자저작물 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반면, 서책형 교과서의 경우 수업 시간 외 별도의 과제 부여가 필요한 것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지원 정도, 캐릭터의 효용성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또한, 디지털 교과서의 활용도 및 유용성 등에 관한 만족도도 낮은 편이었다. 이 같은 설문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사회과의 경우 서책형과 디지털형의 매체별 특성을 고려하여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교과용 도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년군별로 교육 내용과 학생 발달 단계를 고려한 차별화된 교육적 장치가 담긴 교과용 도서를 구안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pinions of teachers in the field and to extract implications for the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34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participated in a total of 33 questionnaires and presented their opinions on the contents, appearance, and composition of the current textbook, and the contents, appearance, and composition of the current guidebook.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responses evaluated that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guidebooks were generally satisfactory. In the case of social studies textbooks, satisfaction with the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included, the content presentation method appropriate to the student level, and various corners was high. In the case of guidebooks, there were relatively many positive evaluations of the description of photographs or illustrations included with the mini textbook,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workbooks and evaluation papers, and electronic works contained in USB.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ook-type textbooks, there were relatively many critical opinions on the need to assign separate tasks outside of class hours, the degree of support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s.

      • KCI등재후보

        초등 사회과 지도서에 대한 현장 교사 인식 및 개선 방안

        한춘희(Han Choon Hee),조의호(Jo Eui Ho)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9 사회과수업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현행 초등 사회과 지도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파악하고 차기 지도서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총 29문항의 설문에 대해 272명의 서울 지역 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여 현행 지도서의 활용 실태와 평가, 수업과 평가를 위한 교사들의 자료원, 차기 지도서 개선안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였다. 응답 결과는 교사들의 사회과 교육 전공 여부와 경력에 따라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교차분석(x2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에 참여한 교사들은 현행 지도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안내 기능이 만족스럽다고 여겼지만, 실제 지도서를 활용하는 빈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다. 교사들은 그 까닭으로 지도서가 수업의 실제에 대한 안내가 미비하고 학생 활동 자료, 평가 자료 등이 부족한 점을 꼽았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해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므로 교사가 사회과 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하는데 지도서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도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사회과 교육 학계의 요구보다는 현장 교사의 요구에 더 큰 비중을 두어 활동 자료, 평가 자료와 같은 교수⋅학습의 실제와 관련된 자료 제공을 중심으로 지도서를 개편해야 한다. 또한, 시의적이고 다양한 자료를 제 때 제공하고, 교사의 편리한 이용을 돕기 위해 온라인 사이트를 함께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opinions of field teachers about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guidebook and to prepare the improvement plan of the next one. Teachers in Seoul area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of 29 and presented opinions on the actual use and evaluation of the current guidebook and suggestions for the next on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lassifi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the teachers’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 and career experience,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ross-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 guidance function was satisfactory, but the frequency of using the social studies guidebook was not very high.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guidebook lacked guidance on the practicality of the lesson and lacked student activity data and evaluation materials.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eachers mainly use the online community of teachers to obtain the materials necessary for social studies lessons.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guidebook more actively in preparation and execution of the social studies lesson by the teacher,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guidebook should be put a greater emphasis on the needs of the teachers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an the demands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community. In addtion, the guidebook should be reorganized around the provision of materials related to the actual contents for the social studies lesson. Also, it is necessary to build an online site together to provide timely and diverse materials at the same time, and to help teachers to use them conveniently.

      • KCI등재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용 도서의 현장 타당도 분석과 평가에 관한 연구

        한동균(Han Dong Kyun),한춘희(Han Choo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는 2009 개정 사회과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사회과 교과용 도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사회과 교과용 도서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과 교과용 도서의 현장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부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이들 지역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6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에 의해 분석한 결과 현장 교사들은 사회과 교과서 내용의 제시 방법 및 사회과 교과서에 진술된 용어, 새롭게 구성된 편집 및 디자인 등 사회과 교과서뿐만 아니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서 비교적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과 교과서로 학생 중심의 탐구 수업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긍정적 반응과 부정적 반응이 비슷하며, 수준별 수업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또한 어려운 개념과 용어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캐릭터의 활용,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 반영, 학생의 생활 세계 반영, 자기 주도적 학습의 용이성에 대해서도 중립적인 의견이 많았다. 향후교과서 개발 시에는 학생 중심의 탐구와 수준별 수업 방법, 보다 효율적인 캐릭터 사용과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 학생의 생활 세계를 고려한 집필에 대해 고민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eachers’ feedback on the new social studies textbook developed by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ion in 2009.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improving social studies textbook. A survey was conducted on 697 social studies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Busa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survey result shows teachers give (1) positive feedback on the method of laying out contents, terminologies, new designs and layout of the textbook and a new guide book for teachers (2) similar number of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about running student-focused classes with the new textbook (3) prevailing negative feedback on by using the textbook (4) neutral feedbacks on utilization of characters to explain difficult concepts and terminologies, consideration of interest and learning level of students, reflection of realities in students’ lives and learnability of self-driven study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social studies textbook should be designed and developed in a way that offers students-driven classes and, an effective use of characters and reflection of interest levels, learnability and real lives of students

      • KCI등재

        메타 분석을 통해 살펴본 사회과 ‘핵심개념’의 특징과 시사점 탐색

        나경훈(Kyung Hun Na),한춘희(Choon Hee Ha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4 사회과수업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육과정 내 ‘핵심개념’ 관련 연구물을 메타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논의되는 사회과 핵심개념의 특징을 탐색하고, 그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18편의 논문을 추출하여 핵심개념의 정의, 종류,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개념이라는 표현이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연구자가 속해 있는 저변마다 다른 의미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로 교육과정 총론 개발진 및 해외문헌을 참고한 연구에서는 ‘추상적인 개념 수준’으로 핵심개념을 정의하였고, 사회과 내부적으로는 7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NCSS의 스트랜드를 차용하여 ‘일상 세계와 관련된 주제 수준’으로 핵심개념을 정의하였다. 우리나라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실제 나타난 모습은 ‘영역별 소재’ 로 정의되었다. 둘째, 핵심개념의 종류는 핵심개념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핵심개념을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개념 수준으로 정의할 때는 소수의 간학문적 개념으로 제시되었고, 우리나라처럼 핵심개념을 영역별 소재 수준으로 정의할 때는 다수의 영역별 소재로 제시되었다. 셋째, 핵심개념은 교육과정 문서 내에서 영역명으로 사용되거나, 탐구를 이끄는 매개체, 그리고 영역간의 연결고리로 활용될 수 있었지만, 우리나라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그 역할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초등사회과 핵심개념을 설정하기 위한 논의점 및 추수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meta-analysis of studies related to ‘core concepts’ with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e concepts of social studies discussed in Korea and to find their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18 papers were extracted and the definitions, types, and roles of key concept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expression core concept has been widely used sinc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was confirmed that it is used with different meanings according to the group which the researcher belongs. Directions of national curriculum developers and foreign literature researchers defined core concepts at the ‘abstract concept level’. And since the 7th curriculum,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internally applied the NCSS strand and defined core concepts at the ‘subject level related to the everyday world’. The appearance of the Korea’s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defined as ‘domain-specific material’, which is the lowest level. Second, the types of core concepts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the core concepts were defined. When defining core concepts at the level of universal and abstract concepts, they were presented as a small number of interdisciplinary concepts. And when core concepts were defined at the level of materials by domain, as in Korea, they were presented as multiple domain materials. Third, core concepts could be used as domain names within curriculum documents, as a medium to lead exploration, and as a link between domains, but their role was not clearly revealed in Korea’s curriculum documents. In this respect, discussion points and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to establish core concepts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