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양 검정법을 활용한 경북 지역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 발생 현황

        한채민,김상국,신종희,김진원,권중배,신용습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acetolactate synthase (ALS) inhibiting herbicide resistant weeds on paddy at 269 sites by soil sampling in Gyeongsangbuk-Do of Republic of Korea from November to April in 2017 and 2018. Pyriminobac-methyl and imazosulfuron were treated at 5 days after irrigation and herbicide resistant rate and occurrence area were estimated based on the number of survived weeds. The herbicide resistant rate and occurrence area were 39.7% and 39,555 ha, respectively, in Gyeongsangbuk-Do which was 2 to 2.5 times higher than those in 5 years ago. The herbicide resistant rate for Yeongju city and Cheongsong county was commonly highest at 66.7%, Cheongdo county was lowest at 5.6%. The herbicide resistant occurrence area for Sangju city had the largest at 6,090 ha, Cheongdo county was the lowest at 135 ha.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was Monochoria vaginalis (26.9%), followed by Schoenoplectiella juncoides (14.5%), Lindernia dubia (12.1%), Echinochloa oryzicola (2.8%), Cyperus difformis (1.7%), and Blyxa aubertii (0.8%).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and occurrence rate of resistant weed species to and ALS inhibiting herbicide among area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M. vaginalis, S. juncoides, and L. dubia are more than 50% resistant to ALS inhibiting herbicides, intensive management is required. 본 연구는 2017, 2018년 11월부터 4월까지 경북지역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수행되었다. 경북지역 내 22개 시·군 총 269지점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피리미노박메틸·이마조설퓨론 합제를 처리 후 생존개체를 조사하여 저항성률을 판단하였다. 경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 비율은 39.7%로 발생 면적은 39,555 ha로 조사되었다. 동일한 검정법으로 수행한 2012년 연구결과에 비해 5년 사이에 발생 비율은 23.8%, 발생면적은 17,532 ha 정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군별 저항성 논잡초 발생 비율은 영주시와 청송군이 66.7%로 가장 높았고 청도군은 5.6%로 가장 낮았다. 발생 면적은 상주시가 6,090 ha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었고, 발생 비율과 비슷한 양상으로 청도군이 135 ha으로 가장 낮았다. 경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 발생 비율이 가장 높은 초종은 물달개비26.9%, 올챙이고랭이 14.5% 및 미국외풀 12.1% 순으로 각각 발생 면적이 28,950 ha, 14,520 ha 및 10,384 ha 이었다. 3초종은 경북지역 내 모든 지역에서 ALS 저해제 제초제에 저항성이 높아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

        『조선풍토가집(朝鮮風土歌集)』의 북한 지역에 관한 일고찰 ― 평안도와 함경도를 중심으로 ―

        한채민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8

        본 논문은 1935년 간행된 『조선풍토가집(朝鮮風土歌集)』을 대상으로 지금까지 고찰된 바 없었던 북한 지역, 그중에서도 「평안도・함경도」 편에 수록된 단카를 분석하고 재조일본인의 ‘북조선’에 대한 인식 및 표상을 도출하여 공백 지대가 존재하는 ‘조선색’을 보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제강점기 북한을 소재로 한 문예물이 존재하긴 했지만, 『조선풍토가집』은 한반도 최대 단카집으로 다수의 가인들이 참여하여 단카를 창작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층위의 목소리가 존재하며, 조선의 풍광, 조선인, 문화 등 다방면에 걸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동안 이 가집에 대한 연구는 경성, 경주라는 주요 도시와 풍토를 키워드로 한 분석이 이루어졌는데, 조선의 특수성을 규정하고자 하는 이 가집의 창간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상당수의 단카가 수록된 북한 지역을 시야에 넣어 고찰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조선의 풍토나 조선색을 논하고자 할 때 빈번히 거론돼 온 민둥산, 온돌, 기생 등은 ‘북조선’ 관련 단카의 경우 해당하지 않거나 거의 언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북조선’의 특수성과 이에 대한 재조일본인들의 관심은 ‘남조선’의 것과는 확실히 다른 측면이 있다. 평안도와 함경도를 읊은 단카를 분석한 결과, 재조일본인들은 조선인의 생활상보다 자연, 고대 회화, 고적에 관심이 많았고, 산업・군사기지로서 활용도가 높은 지역으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내지인들을 위한 관광과 연결되는 측면이 있고, 또한 대륙 진출을 위한 잠재성이 큰 지역으로 간주했던 것으로도 파악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pplement the color of Joseon through analysis of tanka in Pyeongan-do and Hamgyeong-do by deriving the Japanese perception and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The Joseon Natural Features Tanka Anthology published in 1935 until now. The Joseon Natural Features Tanka Anthology is the most significant Tanka anthology focused on the Korean Peninsula. To meet the purpose of publishing The Joseon Natural Features Tanka Anthology, which aimed to define the unique nature of Joseon, studying the North Korean area which contains a considerable number of tanka is necessary. This is because the peculiarity of North Korea and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in it are certainly different from that of South Korea.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Japanese were more interested in nature, ancient paintings, and place of historical interest than the lives of the North Koreans. They consider North Korea as area of high utilization and utilize it as industrial and military base. This is connected to tourism for the Japanese, and they also considered the region having great potential for continental expansion.

      • KCI등재

        동아시아 고전 서사의 트랜스미디어 연구 : NHK 대하드라마 <다이라노 기요모리(平清盛)>를 중심으로

        한채민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3 일본연구 Vol.39 No.-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 of NHK’s epic drama “Tairano Kiyomori Is a Dairano” based on classical Japanese narratives such as “Heike Monogatari”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media storytelling. Through transmedia storytelling,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NHK’s epic drama and what message it tried to send using classical narratives in a social atmosphere that was in despair due to national disasters and economic crises. First of all, the drama introduced the myth of Kiyomori as a basic frame of the drama. His hostility to his father of imperial descent, his mother’s sacrifice, motivated him to transcend his authority by competing with imperial figures all his life, and his mother’s unjust death sought to draw attention from viewers by creating a dramatic story that drove him to change the absurd worl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hree-step change in Nietzsche’s spirit was introduced into the drama to urge viewers to live the value of their lives and their creative lives like children playing. In addition, Kiyomori, who lives in the spirit of a child, showed behavior patterns of desire, innovation, and competition, suggesting that it was linked to modern political heroes and the trend of the times, so we could grasp the hero image that Japan was looking for at that time. NHK’s epic drama <Dairano Kiyomori> was produced with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social context. 본고는 헤이케모노가타리 를 비롯한 일본 중세의 고전 서사를 토대로 창작된 NHK 대하드라마 <다이라노 기요모리는>라는 문화콘텐츠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공영방송이라는 NHK 대하드라마라는 특성과 동일본 대지진이라는 국가적 재난과 경제 위기로 절망에 빠져있던 사회적 분위기에서 고전 서사를 이용하여 어떤 메시지를 발신하고자 했는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통해 작품을 고찰했으며, 이 드라마는 ‘악인’ 표상의 기요모리가 가진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키기 위해서 오토 랑크의 영웅 신화를 드라마 전체의 기본 틀로서 도입한 것이 확인된다. 황가 혈통의 아버지에 대한 적대심, 어머니의 희생은 그가 평생을 황실의 인물과 경쟁하며 그 권위를 뛰어넘고자 하는 동기가 되었고, 어머니의 억울한 죽음은 그가 부조리한 세상을 바꾸려 노력하는 동력이 되었음을 만들어냄으로써 시청자들의 주목을 끌어내고자 하였다. 또한 니체의 정신의 세 단계 변화를 드라마 내에 도입하여 시청자들로 하여금 놀이하는 아이와 같이 몰입하여 사는 인생의 가치를 전달하고 창조하는 삶을 살도록 촉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이의 정신으로 사는 기요모리가 욕망, 혁신, 경쟁이라는 행동양상을 드러내는 것을 보여주고, 이것이 현대 정치 영웅과 시대사조와 연동되어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당시 일본이 바라던 영웅상을 파악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근대국민국가와 식민지주의를 둘러싼일본의 중세적 세계관 -19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발행된일본어 문헌을 중심으로-

        한채민 실천민속학회 2022 실천민속학연구 Vol.39 No.-

        본고는 1930년대 초 일제가 15년 전쟁기 단계로 들어가던 시기에 식민지 조선에서 발행된 『세계의 일본사 논고(世界の日本史論稿)』와 『신국일본(神國日本)』의 내용과 성격을 고찰하였고, 그 결과 신국 사상과 무사 정신이라는 ‘중세적 세계관’이 부각되는 측면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두 서적의 내용 분석을 통해서 황국신민으로서의 긍지를 갖을 수 있는 것과, 외지 조선에서 재조일본인들과 조선의 지식인들을 규합할 강력한 논리를 중세적인 것에서 찾고자 했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공통적으로 국가를 매우 중시하고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국민상이 요청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일본 국민의 우월한 면을 드러낼 수 있는 신국사상과 근왕 정신이 뛰어난 무사로서의 자세가 요구되었던 것이라 파악된다. 대동아공영권의 사상의 내적 논거이기도 한 ‘이에(家)’의 원리는 혈연과 그 이외의 구성원을 포함하는 공동체적 성격의 사회 조직을 뜻하지만, 가부장적인 충효 사상이 결합되어서 가족국가주의가 되었고, 천황을 중심으로 온 국민이 통일되는 것을 추구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론들은 특히 근대의 초극에서 논의되던 점들과 대동아공영권 사상의 토대가 되는 개념과 매우 흡사한 것인데, 따라서 이미 1930년대 초부터 근대의 초극과 대동아공영권에 관한 종합적인 개념들이 형성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구스모의 꽃(クスモの花)』에 나타난 태평양전쟁기 일제의 지배 이념

        한채민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3 No.-

        『구스모의 꽃』은 태평양전쟁기에 생성된 인도네시아 동화집으로 인도네시아의 신화 및 설 화를 일본 아동들에게 읽히기 위해 아동문학 작가인 고이데 쇼고가 20편의 이야기를 선집해 서 동화풍으로 개작한 것이다. 작가는 이 동화집의 서문에서 대동아공영권 사상하 동남아시 아를 이끌 리더로서 일본 소국민의 사명을 인식하길 바란다는 집필 목적을 분명히 명시하였 기 때문에, 먼저 당시 대동아공영권 사상의 내적 논거와 함께 내용이 분석될 필요가 있다. 또 한 수록된 이야기가 인도네시아의 신화나 설화를 토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원전과의 본문 대조를 바탕으로 ‘동시대 일본인 연구자의 민속학적 관점’과 기타 당대 유통된 담론들과 함 께 검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상의 점들을 고려하여 내용 분석을 한 결과, 작품에는 먼저 인도네시아와 일본의 고유한 특성들이 유사함을 강조하고자 하는 측면이 돋보였다. 수록된 일화들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들을 유형화해보자면 신국사상과 가족국가주의, 아시아 연대와 무사 정신, 그리고 남양 의 자원에 관한 지식의 획득이라는 측면으로 나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작가가 태평양전쟁을 상당히 의식하면서 신중히 작품을 집필했다는 점과, 소국 민들이 인도네시아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일본의 ‘고유성’과 가치를 재확인하게 되는 이중의 학습효과를 의도했다는 것이다. 또한 동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남양의 자원을 습득하게하여, 소국민이 장차 활동할 지역을 선행학습하게 되는 측면도고려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Flower of Kusumo is an Indonesian Fairy Tales Collection created during the Pacific War. Children's literature writer Koide Shyogo selected 20 stories and adapted them into a fairy tale style for Japanese children to read Indonesian myths and tales. In the preface to this fairy tale book, the author clearly stated the purpose of writing that he hopes the Japanese children to recognize the mission of Japan, as a leader to lead Southeast Asia. So the contents of the book need to be analyzed with the internal principles of the Greater East Asia Co prosperity Sphere discourse at the time. In addition, since the book was made based on Indonesian myths and tales, it is essential to review it with the concurrent Japanese researcher's folklore perspective and other discourses distributed at the time and the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tex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the argument that emphasized the similarity betwee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onesia and Japan first stood out in the work. The most prominent features in the anecdotes found in the book can be categorized into the aspects of the thought of divine kingdom, the Doctrine of Family and Nation, Asian Solidarity and Bushido, and acquiring knowledge about the resources of Southeast Asia. What can be seen from these analysis results is that the author was very conscious of the Pacific War and carefully wrote the work, and that it intended a dual learning effect that reaffirmed Japan's “uniqueness” and value in the process of learning Indonesia.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re was an aspect in which Japanese children learned in advance the area where they would be active in the future by naturally being familiar with resources of Southeast Asia while reading fairy tales.

      • KCI등재

        『대동아권동화총서』, 소환되는 트랜스 동아시아 문화의 기억-『공자님과 거문고 소리(孔子さまと琴の音)』를 중심으로 -

        한채민,허일륜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5 No.-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 and significance of Confucius and the sound of Geomungo published in the second volume of The Great East Asian Fairy Tale Series in the 1940s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the text had a relevant meaning associated with the cultural imagination of East Asia as a cultural community and recalling Trans-East Asian Memories. On the surface, the Chinese fairy tale collection is characterized as an introduction to Chinese characteristics and worldview and presents an attitude of respecting China as the origin of Japanese Confucian, Buddhist, and Taoist ideas. Second, considering that it was during the Pacific War, the author carefully selected and refined the stories so that small Japanese citizens could acquire state-centered thinking, loyalty ideas, and warrior spirit through Chinese fairy tales. Third, the author seems to have expected children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China by finding cultural similarities between Japan and China and placing what is known as the “uniqueness of Japan”, Mono-no-aware throughout the work. In conclusion, the Chinese fairy tale collection recalls the Trans East Asian memory that Japan embraced through cultural exchanges with China in the past and argues that a similar and differentiated Japanese culture was formed as a result in hopes that Japan and China will build a strong relationship. 본 논문은 1940년대 생성된 대동아권동화총서(大東亞圈童話叢書)의 제2권으로 간행된 중 국 동화집인 공자님과 거문고 소리(孔子さまと琴の音)를, 단순히 ‘대동아공영권’ 사상이 반영 되었는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단선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트랜스 동아시아를 회고하며 문화 공동체로서의 동아시아를 상상한 현재적 의미를 지닌 텍스트으로서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그 내용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중국 동화집은 표면적으로 중국의 특성과 세계관을 소개하고자 한 특징이 있고, 일본의 유・불・도 사상의 원류로서 중국을 존중하는 태도가 엿보인다. 둘째로, 태평양전쟁기임을 감안하여, 일본의 소국민들이 중국 동화집을 통해 국가 중심적인 사고, 충 효 사상, 무사 정신을 습득하도록 작가가 신중히 이야기를 선별하고 표현을 다듬은 것이 확 인된다. 셋째로, 작가는 일본과 중국의 문화적 유사성을 강조하기 위해 세심히 원전을 선별하 고 개작했으며, 특히 모노노아와레(ものの哀れ)라는 ‘일본의 고유성’으로서 알려진 사항을 작 품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중국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아동들에게 기대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마음 챙김 명상 기반 단기 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성인의 회복탄력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에 미치는 효과

        한채민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6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research aimed at developing and validating a program that utilizes mindfulness meditation techniques to increase resilience and reduce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To conduct the study, a total of 98 adult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and a needs assessment survey was conducted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cused on mindfulness. Among the adults in their 20s to 50s located in Gyeongsangnam-do, 15 adul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a total of 10 sessions of 80 minutes each, based on mindfulness theory, were conducted.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15 adults, did not receive any intervention. Three measures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study: resilience,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mindfulness. The statistical analysis involved conducting repeated measures ANOVA to analyze the pre- and post-test change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indfulness-based short-term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resilience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ddition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sub-factors of mindfulness, specifically nonjudgmental acceptance and attentional focu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defusion and present moment awareness.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short duration of the program over two days, which could have made it challenging to induce significant changes in mindfulness. Neverthel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onfirming that a short-term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to enhancing resilience and reducing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본 연구는 마음 챙김 명상 기법을 활용하여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부적응적 자기 초점주의 감소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성인 총 98명을 대상으로 마음 챙김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상남도에 소재하는 20~50대의 성인 중 실험그룹에는 15명의 성인들이 참여하였으며, 총 10회기, 80분간의 마음 챙김 이론에 기초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에 참여한 15명의 성인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측정하기 위해 회복탄력성, 부적응적 자기 초점주의, 마음 챙김 세 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통계 결과 분석은 반복측정 변량분석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과 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음 챙김 기반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회복탄력성과 부적응적 자기 초점주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 챙김의 하위요인 중 비판단적 수용과 주의집중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탈중심적 주의와 현재 자각 점수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양일간의 짧은 프로그램 시간이 마음 챙김 변화를 일으키기 어려웠던 점이 작용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마음 챙김에 기반한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회복탄력성을 향상하고 부적응적인 자기 초점주의를 줄이는데 효과적인 접근법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세 일본의 한반도 인식 연구 -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의 신라 관련 서술을 중심으로 -

        한채민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1 No.-

        본 연구는 중세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 중 하나인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에서 한반 도와 관련된 사항들을 분석하여 중세 일본이 한국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고, 관계성은 어떠 했는지, 그것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작품에서 한반도에 관 한 표상은 주로 신화와 종교적인 사항들에서 나타나고 있다. 『헤이케모노가타리』는 13세기 초에 만들어졌는데, 그 이전부터 두 나라 사이의 외교적・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신라와 신라 인들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존재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라에 대한 표상은 반드 시 일관되었다고 볼 수 없는데, 작중에서 겐지를 지지하는 온조지(園城寺)의 수호신인 신라 의 신, ‘신라대명신(新羅大明神)’의 이름이 위급한 상황에서 세력을 하나로 규합하기 위한 목 적으로 언급되기 때문이다. 가마쿠라 막부를 창건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조상들이 중세 이전부터 대대로 신라대명신을 숭배하며 성장해 온 점, 신라명신에 관한 어가(御歌)가 존재하 는 점은 ‘신라의 신’에 대한 신앙이 널리 행해졌고 ‘신라의 신’을 각별하게 여겨왔음을 나타 낸다. 한 문학 작품에서 신라에 관한 멸시와 혐오가 묘사되는 가운데, 한편으로 ‘신라대명신’ 에 대한 숭경심이 포착되는 것은 한반도에 대한 이중적 인식을 나타낸다고 보인다. 이는 국 가 차원에서는 불화가 존재했지만, 일본에 오래전부터 정착해서 일본 사회의 발전에 큰 공헌 을 했던 신라 이주민 공동체의 긍정적인 영향력이 ‘신라대명신’의 이름으로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점들이 시사하는 바는 한일 양국은 오랜 기간 갈등을 겪어왔지만 함께 의미 있는 역사를 만들어왔다는 점이며, 앞으로도 소통하고 교류를 통해서 모두가 발전할 수 있는 길을 도모해야 한다는 점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Heikemonogatari,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works of the Middle Ages, to examine how medieval Japan perceived Korea,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and its significance. In the classic work,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ppears mainly in myths and religious matters. Heikemonogatari was created in the early 13th century, and it seems that there was a negative image of Silla and the Silla people due to diplomatic and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the representation of Silla is not necessarily consistent, as the name of Silla's god, the Silla Daimyojin, the guardian deity of Onjoji, who supports Genji, is called upon in an emergency situation to unite the forces. The fact that the ancestors of Minamoto no Yoritomo, who founded the Kamakura Shogunate, grew up worshipping the Silla god for generations before the Middle Ages, and that there was a poetry about the Silla god, indicate that faith in the Silla god was widely practiced and the god was considered particularly special. While there are contempt and disgust about Silla in Heikemonogatari, the fact that it also depicts the reverence for the “Silla Daimyojin” seems to represent a dual perce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lthough there was a discord at the national level, the positive influence of Silla's immigrant community, which had long been settled in Japan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Japanese society, seems to be expressed in the name of “Silla Daimyojin”. The above points suggest that Korea and Japan have been in conflict for a long time, but they have made a meaningful history together, and that we should continue to communicate and promote ways for everyone to develop through exchanges.

      • KCI등재

        전시 총동원기 반도의 군신(軍神)과 다이헤이키(太平記)의 세계 - 한반도에서 발행된 미디어 매체의 기사를 중심으로 -

        한채민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학 Vol.54 No.-

        This paper examined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Kamikaze and Japanese war heroes, and found out the ideal modern Japanese national image was based on the character of Taiheiki. Ultimately, The purpose of paper is how the world of Taiheiki expanded to colonial Joseon. Korean Kamikaze suffered in a dual discriminatory structure that they were viewed as a pro-Japanese group Korean who fought for Japan and despised by the Japanese in the unit for being Koreans. Although they were Korean elites who were educated in Kōminka, they had no loyalty to Emperor of Japan except for a few and were sharing illusion of Naeseonilche. However, most of the Korean Kamikaze were born in the aviation boom strategy and some Korean Kamikaze had a strong sense of Kōmin, so none of them were free under the influence of imperial Japan. Korean Kamikaze is related to Japanese war hero, which is not just about securing troops and mobilizing war, but was a collaboration o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who wanted to awaken Japan's superiority to the West through military spirit, loyalty and character. The words and actions of Japanese war hero were influenced by the world of Taiheiki, and the stories of Kusunoki and his family were the archetypes and foundations for the modern national image of the war era. Imperial Japan attempted to use Masashige Kusunoki and his family members as an ideal image for Imperial subjects through various commemorative events and cultural events to expand the world of Taiheiki on the Korean Peninsula. 본고는 ‘군신’이 된 조선인 가미카제 특공대원과 일본의 군신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전시 총동원기 일본의 근대국민상이 중세문학 작품인 다이헤이키 에 그 기원을 두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다이헤이키 의 세계가 식민지 조선에 어떻게 확장되어 갔는지 밝혀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인 특공대원은 일본을 위해 싸우는 친일파 조선인이라는 시선과 부대 내 일본인들로부터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멸시를 받는 이중의 차별 구조 속에서 고통스러워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들은 황민화 교육을 받은 조선인 엘리트였음에도 소수를 제외하고는 천황에 대한 충성심이 없었고 내선일체의 허상을 공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조선인 특공대원들은 대부분 항공열 전략 속에서 탄생했고, 황민의식이 투철했던 조선의 군신도 존재했기 때문에 그들 모두 제국 일본의 영향권 하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조선의 군신은 일본의 군신과도 관련이 있는데, 일본에서 군신의 형상화는 단순히 병력 확보와 전쟁동원의 차원이 아닌 군신의 기개와 충성심, 인격을 통해서 서양과 준별되는 일본의 우수성을 일깨우고자 했던 관민의 공동작업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일본 군신의 언설이나 행위는 중세 문학 작품인 다이헤이키 의 세계와 구스노키 마사시게, 그리고 그 가족의 미담에서 영향을 받았고, 구스노키와 그 가족의 일화는 군신의 원형이자 전시기 근대국민상을 형성하는 토대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제국 일본은 한반도에도 다이헤이키 의 세계관을 확장시키기 위해, 각종 기념제와 문화 행사를 통해서 구스노키 마사시게 및 그 가족의 인물을 이상적인 황국신민의 상으로 삼도록 시도하였다.

      • KCI등재

        동아시아 청년이 내면화한 중세적 일본정신과 제 양상―『태풍』 속 트랜스아이덴티티와 타자 인식을 중심으로―

        한채민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일본학연구 Vol.68 No.-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medieval Japanese spirit that emerged from the 1930s to Defeat of War, through Choi In-hoon’s Typhoon and how the colonial Joseon youth who accepted it cooperated in war, problems in trans-identity, and influences in recognizing others. Choi In-hoon created a Typhoon based on his colonial experience, and in it, the identity conflict and anguish of colonial youth deeply infiltrated the medieval Japanese spirit are well revealed. Otomenak feels inferior to his country, draws a heroic worldview due to his refracted desire for recognition, and chooses trans- identity as a Napaj person. Even after he realized that the gap between the ideals and reality of Napaj was quite wide, his way of thinking of recognizing the world and others surrounding him is mostly through the frame created by Napaj. Even though Karnos encouraged Otomenak to change his name to live as an Aisenodin and he carried out a second trans-identity through activities to help the independence of the weak countries and the unification of Arroke, it was found that the medieval Japanese spirit still influenced his unconsciousness. Considering the above points, it is judged that more act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point of connection between the Middle Ages and the modern era in Japan and the situation in which Japanese medieval ideas were extended to colonial Joseon. 본 논문은 1930년대부터 패전까지 부각되었던 중세적 일본정신에 관해서 알아보고, 이를 수용한 식민지 조선의 청년이 전쟁에 협력하게 되는 양상과 아이덴티티를 트랜스하는 데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 그리고 타자를 인식하는 데 있어서 어떤 영향력을 미쳤는지를 최인훈의 『태풍』을 통해서 파악하고자 한다. 최인훈은 자신의 식민지 경험을 바탕으로 태풍 을 창작하였고, 그 안에는 중세적 일본정신에 깊이 침투된 식민지 청년의 정체성 갈등과 고뇌가 잘 드러나 있다. 오토메나크는 조국에 대한 열등감을 느끼고 굴절된 인정욕구로 인해 영웅적 세계관을 그리며, 나파유(일본)인으로서의 트랜스아이덴티티를 선택한다. 그는 나파유주의의 이상과 현실의 간극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깨닫고 난 후에도,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 타자를 인식하는 그의 사고법은 대부분 나파유가 만든 프레임을 통해서이다. 심지어 카르노스의 권유로 아이세노딘인(인도네시아)으로서 살고자 개명을 하고 약소국들의 독립과 애로크(한국)의 통일을 돕는 활동을 통해 두 번째 트랜스아이덴티티를 단행하지만, 여전히 중세적 일본정신은 그의 무의식속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점을 고려하면 일본의 중세와 근대와의 연결 지점, 일본의 중세 사상이 식민지 조선으로 확장된 상황에 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한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