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3D-DCT 계수를 적응적으로 이용한 비디오 워터마킹

        한지석(Ji Seok Han),신현빈(Hyun Bin Shin),문영식(Young Shik Moon)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A

        비디오는 인접한 프레임들간에 유사성이 있는 연속된 프레임들로 구성된다. 만약 인접한 프레임들간에 유사성이 존재하는 영역, 즉 움직임이 없는 영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면 워터마크는 인지되기 쉽다. 본 논문에서는 워터마크의 투명성과 강인성을 위하여 이와 같은 비디오의 특성을 고려한 3D-DCT 계수를 이용한다. 즉, 3D-DCT 압축을 위한 양자화 상수에서 민감도를 유도하고 전역적인 움직임에 비해 지역적인 움직임이 큰 영역의 민감도를 조절한 후 움직임의 크기에 비례해서 시각적으로 중요한 계수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실험을 통하여 비디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3D-DCT 계수를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과 비교해서 PSNR은 유사하지만 JND를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워터마크의 투명성을 보장하였고 MPEG 압축 및 시간적 공격에 대한 강인성은 약 5% 정도의 성능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통계적 임계값을 이용한 축구경기의 하이라이트 장면 검출

        한지석(Ji Seok Han),박기태(Ki Tae Park),이종설(Jong Sul Lee),이석필(Seok Pil Lee),문영식(Young Shik Moon)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Ⅱ

        동영상 자동 분석은 비디오 데이터의 내용 기반 색인과 검색을 위한 첫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형적인 구조를 가진 뉴스와는 달리 비정형적인 특성을 가진 축구 동영상에서 사용자의 관심이 되는 하이라이트 장면의 영상 특징을 이용하여 그 구조를 분석하여 하이라이트 장면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전 연구를 토대로 그라운드영역과 골대 유무에 따라 하이라이트 후보 장면을 찾는 과정에서 경기마다 달라지는 임계값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이 여러 종류의 축구 경기 하이라이트 분석에 있어서 그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3D-DCT 계수를 적응적으로 이용한 비디오 워터마킹

        박현(Hyun Park),한지석(Ji-Seok Han),문영식(Young-Shik Moon) 한국정보보호학회 2005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논문에서는 JND를 기반으로 한 3차원 지각 모델을 제시하고 비디오의 특성을 고려하여 3D-DCT 계수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비디오는 인접한 프레임들간에 유사성이 있는 연속되는 프레임들로 구성된다. 만약 인접한 프레임들간에 유사성이 존재하는 영역, 즉 움직임이 없는 영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면 워터마크는 인지되기 쉽다. 그러므로 워터마크의 투명성을 위하여 움직임이 있는 영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야 하고 강인성을 위하여 삽입되는 워터마크의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워터마크의 투명성과 강인성을 위하여 비디오의 특성을 고려하여 3D-DCT 계수를 이용한다. 즉, 3D-DCT 압축을 위한 양자화 상수에서 민감도를 유도하고 전역적인 움직임에 비해 지역적인 움직임이 큰 영역의 민감도를 조절한 후 움직임의 크기에 비례해서 시각적으로 중요한 계수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비디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3D-DCT 계수를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과 제안한 방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비록 PSNR은 유사하지만 JND를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워터마크의 투명성이 보장되고 MPEG 압축 및 시간적 공격에 대한 강인성은 약 3~9% 정도의 성능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introduces a 3D perceptual model based on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 and proposes a video watermarking scheme which is perceptual approach of adaptive embedding in 3D-DCT domain. Videos are composed of consecutive frames with many similar adjacent frames. If a watermark is embedded in the period of similar frames with little motion, it can be easily noticed by human eyes. Therefore, for the transparency the watermark should be embedded into some places where motions exist and for the robustness its magnitude needs to be adjusted properly. For the transparency and the robustness, watermark based on 3D perceptual model is utilized. That is, the sensitivities from the 3D-DCT quantization are derived based on 3D perceptual model, and the sensitivities of the regions having more local motion than global motion are adjusted. Then the watermark is embedded into visually significant coefficients in proportion to the strength of motion in 3D-DCT domai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mproves the robustness to MPEG compression and temporal attacks by about 3~9%, compared to the existing 3D-DCT based method. In terms of PSNR, the proposed method is similar to the existing method, but JND guarantees the transparency of watermark.

      • KCI등재
      • TV Anytime 규격에 의거한 색인 및 Presentation 시스템 구현

        박기태(Ki Tae Park),황두선(Doo Sun Hwang),이형진(Hyung Jin Lee),한지석(Ji Seok Han),이종설(Jong Sul Lee),조위덕(We Duke Cho),문영식(Young Shik Moon)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Ⅱ

        사용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워하는 시간에 TV를 통해서 볼 수 있게 된다면, 즉, 보고 싶을 때 보고 싶은 방송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게 된다면 사용자는 방송시간에 맞추어 TV를 보지 않아도 되고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느라 시간을 보낼 필요도 없어질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바로 디지털 콘텐츠와 이를 가정에서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의 발달이 바탕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 색인 기법 및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 및 비디오를 브라우징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현에 대해서 기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