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눈물길미세내시경 소견에 따른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 분석

        이정민(Jungmin Lee),한지상(Jisang Han)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12

        목적: 눈물길폐쇄 환자에서 눈물길미세내시경상 관찰되는 폐쇄의 위치와 정도가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8년 8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눈물길미세내시경하 실리콘관삽입술을 시행 받은 120안 7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차트 리뷰를 시행하였다. 수술 성공률과 환자의 임상양상, 수술 전 관류검사의 결과, 눈물길미세내시경 관찰양상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으며, 눈물길미세내시경상 관찰되는 폐쇄의 위치와 정도를 분류하였다. 결과: 눈물길미세내시경하 실리콘관삽입술을 시행 받은 120안 중 수술 성공은 101안(84.2%)이었다. 미세내시경상 눈물소관협착 41안(34.2%), 눈물소관폐쇄 35안(29.2%), 코눈물관협착 24안(20.0%), 코눈물관폐쇄 28안(23.3%)이 관찰되었다. 눈물소관과 코눈물관의폐쇄의 위치에 따라 성공률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폐쇄 정도에 따라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41, p=0.018). 결론: 눈물길미세내시경 소견을 바탕으로 코눈물관폐쇄를 분류할 수 있으며, 폐쇄의 위치는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과 관계가 없었고, 눈물길폐쇄의 정도는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In patients with lacrimal passage obstruction, the location and severity of the obstruction observed in lacrimal endoscopy were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 success rate of silicone tube intubation.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120 eyes of 74 patients who underwent lacrimal endoscopy (RUIDO fiberscope; Fibertech Co., Tokyo, Japan)-assisted silicone tube intubation from August 2018 to October 2019. The analysis included clinical characteristics, irrigation test results, lacrimal endoscopic findings, and analyzed factors associated with surgical success. The location and severity of the obstruction observed by lacrimal endoscopy were classified. Results: Of the 120 eyes that received lacrimal endoscopy-assisted silicone tube intubation, 101 eyes (84.2%) were successful in surgery. Canalicular stenosis in 41 eyes (34.2%), canalicular obstruction in 35 eyes (29.2%), nasolacrimal duct stenosis in 24 eyes (20.0%), and nasolacrimal obstruction in 28 eyes (23.3%) were observed in lacrimal endoscopy.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obstruction of the canaliculus and nasolacrimal duct, it was observed that surgical success was affected by the severity of the obstruction (p = 0.041 and p = 0.01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severity of the lacrimal passage obstruction observed during lacrimal endoscopy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uccess rate of lacrimal endoscopy-assisted silicone tube intubation. However, the location of the obstruction in the lacrimal passag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uccess rate.

      • 농업용 저수지에서 월류방지구조물의 경제성 검토

        이달원 ( Dalwon Lee ),한지상 ( Jisang Han ),이영학 ( Younghak Lee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1시간 누적 강수량 50mm 이상, 3시간 누적 강수량 90mm 이상이 동시에 관측되거나, 1시간 누적 강수량이 72mm를 넘는 강수 상태를 뜻하는‘극한호우’개념은 수해로 인한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기상청에서 행정안전부를 거치지 않고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하는 기준이 되었다. 축조된지 50년 이상 경과 된 노후저수지가 87% 비율을 차지하는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경우, 극한호우 발생 시 저수지 설계강우량을 초과하여 월류가 발생되고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하게 되므로 극한강우에 대한 수리시설물 기준을 재정비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농업용저수지는 홍수방어 및 조절을 통한 재해대비 기능이 미흡하고 지형적으로 담수에 유리한 고지대나 인구밀집지역의 상류지역에 위치하게된 경우가 많아 월류로 인한 붕괴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그 동안 노후된 저수지 보강사업으로 추진해온 둑 높이기 사업은 월류 방지 측면에서 효과적이지만 경제적, 제도적 및 기술적인 측면에서 장기간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후 변화에 따른 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단기간에 월류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월류방지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 저수지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우수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댐마루에 Gabion 옹벽, 콘크리트 Parapet 등의 월류방지구조물을 설치하여 제체높이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저수지 전체 붕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단기간 내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은 안정성뿐만 아니라 경제성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둑 높이기 사업이 완료된 현장과 Gabion 옹벽 및 콘크리트 Parapet 등의 월류방지구조물을 대안으로 설치할 경우의 3가지 방법에 대한 경제성을 평가하여 어떠한 방법이 효과적인지를 검토하였다. 시공재료비는 둑 높이기 사업이 월류방지구조물에 비해 1/10 정도로 낮게 나타났고, 운반비용은 둑 높이기 사업이 Gabion 옹벽의 약 5배, 콘크리트 Parapet의 약 2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토사 운반비· 중장비· 인건비를 고려할 경우, 둑 높이기 사업은 콘크리트 Parapet 보다 높게 나타났고, Gabion 옹벽은 재료비 자체가 고가이며 쇄석과 상당량의 철망이 존재하기에 운반비용과 중장비 사용 비용이 높게 나타났다. 콘크리트 Parapet은 재료비에 레미콘 운반비가 포함되어 있고, 펌프카를 제외한 별도의 중장비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체 시공비가 제일 작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콘크리트 Parapet이 가장 경제성이고, Gabion 옹벽, 둑 높이기 사업순으로 나타났다.

      • 지진이후의 수압 거동이 소규모 흙제방에 미치는 영향성 검토

        이영학 ( Younghak Lee ),이달원 ( Dalwon Lee ),한지상 ( Jisang Han ),( Testuo Tobita ),( Soichiro Yamakawa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일본에서 지진에 의해 피해를 입은 제방댐의 대부분은 소규모 흙댐이었으며, 진도 M5.4의 지진에서도 제방의 파손 및 붕괴가 발생된 바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일시적인 침투 또는 지진문제로 발생되었다는 시각보다 오랫동안 지진의 영향을 받아오면서 제체 약화에 의해 발생된 문제로 보는 시각이 적합하다. 또한, 소규모 흙댐은 유지관리 측면에서 내진성능이 현저히 부족한 상태로, 침투와 지진의 연계적 거동에 대한 제체의 안전성을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방댐에서 침투와 지진의 연속성이 제체에 미치는 영향을 시각화하고 지진 이후의 문제점을 상세히 검토하기 위하여 원심모형실험에 의해 1차 침투 - 지진 - 2차 침투로 이어지는 연계적 수압-변형 거동을 모사하였다. 실험모형은 원심가속도 50G 에 맞추어 1/50 로 축소하였고, 수압의 지속적 작용을 모사하기 위해 하류측에서 수중펌프에 의한 순환방식을 채택하였다. 상류측 수위는 홍수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점성유체를 사용하여 50로 조정·적용하였고 지진조건은 1.0m/s2의 지진 가속도를 적용하였다. 지진 이후 하류사면 천단부와 댐마루 경계부는 균열부위가 미세함에도 불구하고 2차 침투에 의해 크게 확장되었으며, 사면 활동의 임계원이 시작되는 지점도 중첩되어 붕괴 취약부로 검토되었다. 또한, 지진에 의해 댐마루 표면에서 형성된 균열은 2차 침투가 진행됨에 따라 종방향 균열과 함께 단시간내에 제체높이의 73.3% 지점 부근까지 균열의 깊이가 확장되어 1.0m/s2의 지진 가속도만으로도 제체에 이상변화가 발생되었다. 댐마루에서 균열에 따른 변형률을 비교한 결과, 상류사면은 침투가 중요한 지배요소가 되고, 댐마루는 지진이 지배요소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 후 공극수압은 상류사면과 중앙에서 1.4-1.5배, 하류측은 2.1배, 비탈끝은 3.0배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대적으로 상류수위에 가까운 상류사면과 중앙에서 지진으로 인한 제 체 내부의 상태변화를 야기하여 하류측과 비탈끝의 수압상승을 촉진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변위, 변형 형상, 공극수압 결과로부터 각 단계에서의 침투와 지진에 따른 붕괴현상을 발생되지 않았지만, 오랫동안 지진과 침투의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 제체내부에 균열을 발생시키고 전단강도를 약화시켜 제체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재해대응은 댐마루 가까운 하류사면 천단부에서 균열 깊이 억제와 개선방법이 필요하고, 제체 하류존의 수압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안이 지진재해와 관련된 저수지의 재해예방 및 재해완화조치의 방향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실내모형실험에 의한 월류방지구조물의 적용효과

        이영학 ( Younghak Lee ),이달원 ( Dalwon Lee ),류정현 ( Junghyun Ryu ),윤보라 ( Bora Yun ),한지상 ( Jisang Han ),조재욱 ( Jaewook Jo ),이풍현 ( Punghyun Lee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이상기후에 의한 강우 변동성이 과거보다 높아지면서 홍수재해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의 농업용 저수지는 대부분 계곡, 산지, 농어촌 지역에 분포되어 홍수의 영향을 받기 쉬운 지형에 노출되어 있어 유사시 발생된 월류에 의한 파손 및 붕괴 등 피해가 향후 가중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저수지의 댐마루는 면적이 좁아 월류 시 침식변형이 커짐과 동시에 침투수가 하류사면에 도달하는 시간이 빨라질 수 있어 댐마루 구조물 적용은 월류방지 뿐 아니라 댐마루 차수에 따른 제체 안정성 확보에 중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화된 농업용 저수지의 댐마루 상부에 이상강우에 의한 월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월류방지 구조물을 설치하고 실내대형모형실험을 통하여 적용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월류방지 구조물은 2가지 형식으로 계단형 Gabion 옹벽은 구조물에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Geomembrane과 Core를 사용하였고, Parapet 구조물은 댐마루에 Concrete로 축조하였다. 수위조건은 홍수위, 댐마루 수위, 월류수위로 변화시켰고, 제체 변형과 구조물 접속부에서의 누수 등을 측정하였다. 계단형 Gabion 옹벽의 경우 댐마루 상류부와 하류부에 설치된 수평 변위계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체의 수축 및 팽창 시 약간의 변형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직 변위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변화폭은 Parapet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큰 것으로 나타났다. Parapet 구조물의 경우 댐마루 하류부에 설치된 수평 변위는 변화가 없고, 수직 변위계도 변화폭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계단형 Gabion 옹벽에 비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류방지 구조물과 댐마루 경계부에서의 수위상승에 따라 포화도가 증가하지만 누수는 발생하지 않았고, 하류사면에서도 단계별 수위상승에 따른 공극수압은 급격한 증가 현상을 나타냈지만 침윤선은 형성되지 않아 침투수가 수직 및 수평 필터를 통해 Toe drain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2가지 형식의 월류방지 구조물은 부등침하와 누수 등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이 작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소한 변형과 함께 누수가 발생 되지 않았고, 단기간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월류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우수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균일형저수지에서 복통균열에 의한 침투특성

        이영학 ( Younghak Lee ),이달원 ( Dalwon Lee ),류정현 ( Junghyun Ryu ),윤보라 ( Bora Yun ),한지상 ( Jisang Han ),조재욱 ( Jaewook Jo ),이풍현 ( Punghyun Lee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structural faults of deteriorated conduits cause reservoir embankment failure, the mechanism of which was analyzed by examining the failure shape, pore-water pressure, and settle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eepage characteristics determined by the three-dimensional seepage- deformation coupled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e hydraulic gradients were distributed below the conduit and gradually extended toward the regions above the conduit of the downstream slope. The results indicate that piping above the conduit near the downstream slope was likely. The exit hydraulic gradient in the risk zone of the downstream slope was in the range of 0.5-0.75, and the stability of the embankment was smaller than the reference safety factor (SF = 2.0). By tracking the vulnerable areas of the slope based on the hydraulic gradient distribution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a potential failure surface could be formed at heights equal to 1.4-2.4 times (h2) the height (h1) of the downstream side’s conduit. 2. Reviewing the settlement in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ettlement was concentrated in the central zone of the embankment where the conduit was located. Under these conditions, if the increase in PWP and the action of self-weight continue in the central zone of the embankment, it is presumed that it will be the first risk area that threatens the stability of the embankment. 3. The evaluation of the time of failure based on the experimental and analysis result sand the amount of water storage capacity in the Sandae Reservoir indicated that the measurement method (settlement and water storage capacity) was less sensitive to deformation changes than the monitoring method. 4. Based o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settlement in the dam crest and the time that is expected to elapse before failure can provide significant insights into the type of pre-reinforcement required to prevent or minimize the failure of the dam crest due to the fact of conduit leakage. Overall,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guidelines for the appropriate reinforcement and design of conduits in old reservoi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