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이주노동레짐의 형성과 권리 결핍

        한준성 ( Jun Sung Han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7 韓國 政治 硏究 Vol.26 No.3

        한국의 지난 30여 년의 이주노동정치사에서 고용허가제 입법(2003년)은 한국 이주노동레짐을 형성시킨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고용허가제의 입법 과정을 기존 연구가 충분히 해명하지 못한 이주노동정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고용허가제 도입이 보여주는 제도적 변화의 의미와 한계를 이주노동레짐이라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을 가지고 설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우선 고용허가제 도입이 이주노동운동의 내적 분화와 고용허가제 옹호연합의 형성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졌다고 설명한다. 이어서 고용허가제 도입을 기점으로 형성된 이주노동레짐의 권리 결핍 문제가 극복되지 못한 원인을 고용허가제 옹호연합이 최소주의 목표에 기반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이주노동자 권리와 관련된 주요 정책 영역들에서 이주노동정치가 한계를 보였다는 점에서 찾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최근의 개방적 이민정책 논의를 이주노동레짐의 권리 친화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회 구조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In the course of the last three decades of migrant labour politics in South Korea, the legal introduction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in 2003 was a critical event in that it led to the formation of the Korean migrant labour regim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political process that led to the legal introduction of the EPS in the context of migrant labour politics, and to explain the meanings and limits of the institutional changes that resulted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EPS, with the concept of migrant labour regime. This article first explains that the EPS was introduced through two main phases: the first characterised by internal division within the migrant labour movement, and the second by the formation of the pro-EPS coalition among the moderate migrant labour movement, the Ministry of Labour, the Blue House, and the ruling party. Next,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Korean migrant labour regime’s low level of rights orientation can be attributed to the minimalist (or relatively weak rights-based) approach of the pro-EPS coalition, and to the ongoing limits of migrant labour politics in key policy areas related to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 KCI등재

        민주화 이후의 이주노동정치사: 초기(1987~1993)

        한준성 ( Jun Sung Han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4 韓國 政治 硏究 Vol.23 No.2

        ‘이주노동정치’는 이주노동의 유입, 존재양태, 기존 사회와 맺는 관계, 관련 제도의 도입과 변천 등을 둘러싸고 관련된 주요 영역들 내지는 세력들 간에 벌어지는 힘과 가치정향의 충돌과 타협, 작용과 반작용 등의 복합적 상호작용들로 구성되는 정치적 현상이다. 그러한 점에서 1980년대 후반부터 이주노동의 국내 유입이 본격화되면서 시작된 ‘이주노동정치사’는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의 성격을 판별하는 하나의 시험대이다. 본고의 목적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1987년부터 산업연수생제도의 전면화가 결정된 1993년 말까지의 이주노동정치사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정책사나 운동사의 관점들을 포괄하면서도, 보다 중요하게는 정치사의 시각에서 행정, 경제, 노동, 시민사회 간 관계들의 복합적 전개과정에 주목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arly stage (1987~1993) of the history of migrant labor politics in South Korea. The underlying as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migrant labor issues represent a comprehensive political phenomenon, in which conflicts and compromises amongst key actors and spheres involved incessantly take place regarding a variety of issues, including the influx of migrant workers, their incorporation into the receiving society, and migrant labor policies. Employing the new concept of “migrant labor politics”, this research, therefore, also takes up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history in order to sharpen our knowledge and evaluation of the complex formation of the migrant labor politics of South Korea. In light of this, the main focus is on the ongoing political relations among the four main spheres in particular ― the administration, the economy, the labor unions, and civil society.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o sharpen the assessment of the state of democracy in South Korea, a migrant labor-receiving country in the international labor market.

      • KCI등재

        1995년 이주노동자 명동성당 농성과 이주노동정치 지형의 변화

        한준성(Han Jun Sung) 역사비평사 2015 역사비평 Vol.- No.111

        Since the late 1980s, the influx of foreign migrant workers into South Korea has been accelerating. With the government adhering to its policy principle of the prohibition of employment and settlement of unskilled foreign workers, the overall status of migrant workers was very flexible and unstable due to the expediency and malfunctioning of the government’s de-facto migrant labour policies. As a result, the migrant labour movement emerged as a new type of rights-based social movement. In turn, this movement triggered ongoing conflicts and compromise among the key actors involved in migrant labour politics. Among other major political events that took place in the history of migrant labour politics, this paper examines the Nepalese workers’ sit-in protest at Myeong-dong Cathedral in January 1995. Even though it is well established that this event has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course of migrant labour politics since then, it is hard to find any study that provides a detailed understanding and thorough assessment of this historical event. To rectify this, this paper explains in detail the complex causes and processes of the sit-in protest and its influence on migrant labour politics.

      • KCI등재
      • KCI등재

        유럽 이주민 통합 정책의 주류화: 덴마크 사례를 중심으로

        한준성 ( Jun Sung Ha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7 담론 201 Vol.20 No.3

        유럽에서는 인정의 원리에 입각한 다문화주의 정책이 거센 비판을 받으면서 새로운 이주민 통합 접근으로 동화적 색채가 짙은 시민 통합(civic integration)이 강조되어 왔다. 그리고 그와 함께 혹은, 그 연장선상에서 이주민 통합 정책의 주류화(mainstreaming) 추세가 나타났다. 이것은 이주민 통합의 문제를 독립된 정책 영역으로 구분하는 이주민 특정적 접근과 달리 이주민 통합을 일반 정책영역들의 문제로 재정의하는 정책적 접근이다. 이 논문은 유럽의 이주민 통합 주류화 추세의 배경, 특징, 한계와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유럽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주류화를 추진해온 국가들 가운데 하나이면서 이주민 밀집 도시들을 중심으로 ‘다양성’과 ‘포용’의 지향 아래 이주민 통합을 적극적으로 주류화하고 있는 덴마크 사례에 주목한다. 이 논문은 우선 유럽의 이주민 통합 주류화를 이론, 추세, 지향의 세 측면에서 설명한다. 이어서 덴마크에서 정부와 도시 단위에서 추진되어 온 이주민 통합 주류화 사례를 분석한 뒤 마지막으로 이주민 통합 주류화의 도전 과제와 가능성을 살펴본다. In Europe, the overall policy focus on immigrant integration has increasingly shifted from multiculturalism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ognition towards civic integration with its assimilationist approach. Mainstreaming immigrant integration(hereafter MII) is a new policy trend having arisen with, or in the extension of, this shift. MII represents a shift in policy focus from immigrant-specific towards generic and poly-centric approach to immigrant integr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features, limits and possibilities of MII. For more detailed understanding,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ase of Denmark, whose central government and cities have actively been promoting MII. This article firstly explain MII in Europe in terms of theory, policy trend, policy orientation, and subsequently analyzes the cases of MII initi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Denmark and the two main cities of Copenhagen and Aarhus. Finally some suggestions are presented on the conditions that need to be met for the successful MII.

      • KCI등재

        박정희가 만든 집: 초기 복지정치의 유산

        한준성 ( Jun Sung Ha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2 東亞 硏究 Vol.31 No.1

        This paper aims first to figure out the features of welfare politics during Park Jung Hee era, and then to understand the effects that they had on welfare reforms since democratization. In particular, anticommunism and economic developmentalism, state corporatism, Park`s leadership are explained as three main pillars that combined to constitute the features of welfare politics during Park`s era. And those features include fiscal conservatism, dependence on self-welfare in the private sphere, the low level of welfare, the lack of labor-inclusiveness, democratic deficit in the welfare design, selective and residual welfare system. Finally, this paper argues that most of those features as the legacy of welfare politics during Park`s era have managed to survive to this day, restricting drastic reforms of welfare system.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ark`s era, and help reflecting on the historicity of Korean welfare politics for the sake of a more democratic and substantial design of the current welfar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