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 증진을 위한 현직교사교육의 효과교육대학원 수업을 중심으로
한종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6 유아교육학논집 Vol.10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in-service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7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scale and mathematics autobiographies, journal of lessons and articles, field experience case study paper of participants and journal of researcher. The result shows that a teacher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Specifically, the changes occurred in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1) perceptual change regarding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2) listening to children, 3) reflective thinking on mathematics education and collaboration 4) confidence, passion, change in executing capability.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 증진을 위한 현직교사교육 안을 구성하고, 이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의 유아수학교육 수업에 1학기 동안 적용하였다. 현직교사교육은 유아교사가 수학 교육 내용 지식과 적절한 수학 교수 방법을 익히고, 수학에 대한 바람직한 신념과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참여자 간의 학습 협력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현직교사교육 과정에서양적ㆍ질적 자료를 수집ㆍ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초기 참여자들은 수학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전통적 신념을 지녔고 수학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효능감이 부족했지만, 현직교사교육을 통해 수학과 수학교육을 재발견하고, 유아들에게 귀 기울이며, 수학 교수에 대한 자신감, 열정, 실천력의 변화를 나타냈으며, 이 과정에서 수학과 수학교육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참여자 간의 협력을 보여주었다.
한종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6
This study investigates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The subjects were 388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27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kindergartens or day care centers. Data were obtained by questionnaires. The majors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The majority of pre-service teachers had mixed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lso,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re-service teachers’ grade level and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2. The majority of in-service teachers had mixed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lso,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in-service teachers’ years of schooling,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3. In-service teachers had more non-traditional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than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수학의 본질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강원지역의 3년제와 4년제 유아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88명,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현직유아교사 270명으로 전체 658명이였다. 선행연구의 도구들을 재구성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 F검증, 사후검증 Scheffé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의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은 전통적 신념과 비전통적 신념의 중간 수준의 혼합적 신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학제, 유아수학교육 수업의 수강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현직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도 전통적 신념과 비전통적 신념의 중간 수준의 혼합적 신념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연령, 경력,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력, 유아수학교육 수업의 수강여부, 현직교사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현직교사가 예비교사보다 좀 더 비전통적인 신념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 관련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가정수학활동의 현황과 어머니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관계
한종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mathematics activity and mothers' attitude about mathematics. The subjects were 292 parents of three to five years old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ome mathematics activity is rarely conducted. Analyzing in detail, nondirective home mathematics activity is more frequently conducted than directive home mathematics activity. It was found that nondirective home mathematics activity was more frequently conducted when mothers have college degree. On the contrary, directive home mathematics activity was found out to be frequently carried out when children are older. Mothers' attitude about mathematics was revealed as moderate level. Analyzing by category, attitude to 'value of mathematics in society' was the most positive and 'motivation in mathematics' was the most negative. Also those who have college degree were more positive generally. Nondirective home mathematics activity was correlated with mothers' attitude about mathematics, but directive home mathematics activity was not corrected with mothers' attitude about mathematics. 본 연구는 가정수학활동의 현황과 어머니의 수학에 대한 태도가 어느 정도인지, 두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만3~5세 자녀를 둔 292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결과 가정수학활동은 자주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비지시적 가정수학활동이 지시적 가정수학활동보다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비지시적 가정수학활동은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이상인 경우 더 자주 이루어졌고, 지시적 가정수학활동은 유아의 연령이 많을수록 자주 실시되고 있었다. 어머니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며, 하위범주 중 '사회에서 수학의 가치'에 대해 가장 긍정적이고, '수학에 대한 동기'가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별 수학에 대한 태도는 대졸이상인 경우 대졸미만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수학활동의 현황과 어머니의 수학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는 비지시적 가정수학활동의 경우 어머니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지시적 가정수학활동의 경우 상관관계가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종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7 유아교육학논집 Vol.11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학부모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가정수학교육 현황, 학부모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에 따른 가정수학교육 현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 신도시에 위치한 유치원 2곳과 어린이집 4곳의 학부모 총 296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유아수학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수학을 문자 언어보다 덜 중요한 교과로, 주변의 사물이나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놀잇감 활용을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인식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수학교육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였고, 초등 1학년 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 요구 도는 중간 정도였다. 수학교육 지도 시 시간 부족을 가장 어려운 점으로 꼽았고, 수학교육을 걱정하는 부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교육을 많이 시키지 않고 초등학교에 들어가 힘들어하는 것을 보고 걱정과 압박감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수학교육 현황은 일상수학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학원수강과 학습지 중 한 가지 이상을 하는 유아가 매우 많았다. 마지막으로 학부모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에 따라 가정수학교육 현황이 분석되었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교육에 대한 제언 등이 논의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s' recognition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status of home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se purpose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296 parents of three to five year old children from 2 kindergartens and 4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newly developed cities of Kyungki province.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es were as follows: Most of the par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ut recognized mathematics education as less important one than literacy education. Also most of them recognized the utilization of things around or manipulative materials a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and were satisfied with the mathematical education in young children institutes. The results showed that requirements for carrying out the education of first grade mathematics in kindergarten is at middle level. Another thing analyzed was the time allocation is the most difficult thing in conducting mathematics education. It also showed that many parents are worried about mathematics education and that they feel pressured by the reality other children have hard time in elementary due to little amount of pre-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t showed that mathematics through everyday activity is applied mostly in home mathematics education but a high portion of children are also taking private institute courses or home-delivery study material. Finally, the difference between home mathematics education conduction status by the parents' recognition of children mathematics education was analyzed. Based on this, recommendations for parent education was discussed.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종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on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were 420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kindergartens or day care centers. Data were obtained by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self-esteem,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self-esteem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predicting variables for their happiness. In particular, self-esteem was more influential variation than professional recognition.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인식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서울, 경기, 강원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전문성 인식, 행복감 측정도구를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처리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전문성 인식과 행복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인식은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4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전문성 인식보다 행복감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구중심 수학교육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한종화,박찬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학논집 Vol.8 No.1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dentity changes in a teacher's mathematical educational beliefs and their teaching methods, when participating in on Inquiry base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eachers so as to test their aptitude and beliefs regarding mathematics before partaking in this program. As a preeducation for teachers, the possibility of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psychology, concept and teaching method about inquiry based approach were covered and reflective discussion was carried out during program execution process. Qualitative data regarding the teaching process from the class program, teacher's journals and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Teachers were surprised at the children's mathematical capabilities which lead to reflections on past mathematical teaching methods. Teachers also pitied children who were deficient in their mathematical abilities. The overall belief regarding mathematics and its teaching methodologies held by teacher's as well as those of parents were affected by the results. 본 연구는 탐구중심 수학교육의 실천과정에 나타난 교사의 수학교육 관련 신념과 교수실제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의 실행에 앞서 교사의 수학교수 전반에 관한 생각을 알아보는 면담과 탐구중심 수학교육에 대한 사전교육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참여관찰, 심층면담, 교사의 저널쓰기가 진행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얻어진 자료들은 텍스트분석 되었다. 연구결과 교사는 유아들의 수학적 능력에 놀라움과 그동안의 자신의 수학교수에 대한 반성, 유아들의 수학 능력에 대한 믿음을 보여 주었고, 수학의 본질에 대한 신념과 부모들에 대한 인식, 수학 교수방법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한종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5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 전체와 하위 범주 모두 수학에 대한 신념과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에 대한 신념과 수학교수효능감 중 하위 범주 '개인적 효능감'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 전체 및 모든 하위 범주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교사의 수학 관련 교사교육에 있어서 세 변인의 관련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이 계획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attitudes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201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kindergartens or day care centers. Data were obtained by questionnaire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relations were show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Second, the positive relations were not show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ird, the positive relations were show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한종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4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n infant and toddler teacher education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infant and toddler teaching efficacy and their realization about infants and toddlers,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nd infant and toddler car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4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t a four-year univers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n infant and toddler teaching efficacy scale and journals of lessons and articles, observation reports, interviews. Results show that an infant and toddler teacher education course is effective in improving teacher’s infant and toddler teaching efficacy. Positive results were seen in the following 3 categories: 1) infants and toddlers are active, independent, and attractive beings with full capacity 2) infants and toddler teachers, who were seen as a mother-like nannies with no need of expertise, began to be considered as a favorable career with unique skills; and 3) prevailing opinions about infant and toddler care used to be negative, but gradually their significance and value started to be realized. 본 연구는 질적인 영아보육 실행을 위해 예비교사를 위한 영아관련 수업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였다. 예비교사를 위한 영아관련 수업은 영아발달‧영아프로그램‧보육프로그램 관련 교재들, 영아교사교육 연구물들을 기초로 영아교사의 영아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영아, 영아교사, 영아보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함양하고자 개발되었다. 예비교사를 위한 영아관련 수업은 영아기 뇌 발달, 영아보육의 필요성과 동향, 영아발달, 영아발달 지원 방법, 보육시설 영아반의 환경구성, 영아반 보육프로그램 계획, 일과운영, 영아반 적응, 교사의 역할 등의 내용을 강의뿐 아니라 퀴즈, 토론, 시청각자료 시청, 어린이집 영아반 관찰, 관찰 보고서 작성, 조별 면담, 저널쓰기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개발된 수업은 영아와 관련된 교과목 수강 경험이 없는 G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34명에게 한 학기동안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예비교사의 영아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영아, 영아교사, 영아보육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인식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기에 예비교사들은 영아를 무능하고 수동적인 존재로 인식하였지만 점차 능동적이고 독립적이고 매력적인 능력자로 인식하였다. 영아교사에 대해서는 전문성이 필요 없이 엄마처럼 보육하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영아교사가 되길 희망하지 않았지만 점차 영아교사를 영아에게 특화된 전문성을 지닌 존재로 인식하였고 영아교사가 되길 희망하였다. 또한, 수업 초기에는 영아보육 자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였지만 점차 영아보육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다.
수학교사교육 강좌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모의수업과 유아 대상 수업을 중심으로-
한종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5
This study developed a class for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comprising both simulated instruction and instruction with young children. Consequently, it was applied to 2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in their third year at G university.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with the qualitative data collected by the writing of journals and interview.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y opened their mind to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by changing their thoughts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ing. It also indicated that they feel it is hard to construct good mathematics teaching plans although they recognized that a high quality early childhood mathematics class is necessar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ble to enhance their insight into mathematics education classes through simulated instruction and practice teaching skills for the classes feeling comfortable in front of their friends. They felt joy by just being with children and experienced classes not performed as expected, discovered young children’s reactions which were not recognized in their own classes by attending classes of their peers. They could see how they act by post-instruction video analysis and rerecognize fully the meaning of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mathematic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iscussed in great depth and further avenues of research were considered. 본 연구는 모의수업과 유아 대상 수업을 병행한 수학교사교육 강좌를 구성하여 4년제 G대학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7명에게 적용하였다. 저널쓰기, 면담 등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강좌를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수학과 수학교수에 대한 생각을 바꿔 수학과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마음을 열었고, 좋은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필요함을 인식하였지만 좋은 수학수업 계획을 걱정하고 어려워했다. 예비교사들은 모의수업을 통해 좋은 수학교육에 대한 안목을 키우고, 수업에 필요한 교수 기술을친구들 앞이라 안전감을 느끼며 연습할 수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 대상 수업에서 유아와의 만남 자체가 즐거움이었고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는 수업을 경험했고, 유아들의 여러 모습을발견하였다고 하였다. 수업 동영상 분석을 통해 유아들과 함께 하는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였고, 실패한 수업은 없다며 교육의 의미를 재인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관련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